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27 18:49
[삼국지2탄] 이번엔 지력빨 가봅시다. 재미있네요.
 글쓴이 : 제삼의눈
조회 : 738  

초한지까지 끼면 삼국지 연의가 너무 발리니깐 삼국지까지만 합시다.
저는 개인적으로 순욱을 최고로 칩니다.
보통 제갈량을 이야기 하지만 실제로 있었는지도 모르겠고
있다손 치더라도 스스로 바람을 일으키고(?ㅋㅋ) 적진 들어가서 말빨로만 싹 홀려버리는 그런 이야기는 쫌...

우리나라 지력빨 최고는 개인적으로 삼봉선생 즉, '정도전' 한표 던져봅니다.
39635_89154_5422.gif
이미 서양에 앞서 권력의 분립을 주장하셨고 유교의 철학만이 아니라 실질주의를 말씀하셨던
정도전에 한표 던져봅니다.

여러분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을 받아 가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도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이러한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진정한 세계의 평화가 우리나라에서, 우리나라로 말미암아. 세계에 실현되기를 원한다. 홍익인간이라는 우리 국조 단군의 이상이 이것이리라 믿는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81mOP 14-03-27 18:51
   
이순신도..
젠덴 14-03-27 18:51
   
강동6주를 세치혀로만 담판지은 서희?!!!!
빠다코코너… 14-03-27 18:52
   
곽가...
러다이트 14-03-27 18:57
   
삼국지는 가후 => 가후가 물먹인 인물들 보면 후덜덜함
우리나라는 세종대왕 => 인류유일 문자제작 공식인정
퐈이아 14-03-27 18:58
   
전투만 따지면 지력은 이순신 장군이 최고죠.. 학익진을 해상에서 응용한거나. 유인 신호체계 등등
일자진도 변형시켜서 많이 사용하시고.. 남해안 해안지형 적절히 잘 이용했구요..
포와 조총 해상과 육상의 장점과 단점을 제대로 파악하셨으니깐요..
소로행 14-03-27 19:00
   
다종 다양한 실학 저서를 남긴 다산 정약용?
일세를 풍미한 모략가 한명회?
아리까리현 14-03-27 19:07
   
삼국지에는 양수~~~
빠다코코너… 14-03-27 19:07
   
내가 뭔짓을 하던 귀신같이 알아채셨던 울 어머니.
제삼의눈 14-03-27 19:10
   
군주랑 장군감은 따로 가죠.

밑에 이미 여포랑 비견될만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연의 따라가자면 여포가 어디 장군입니까? 그냥 쌈질잘하는 운빨 장수지.
양자로 잘들어갔는데 어라? 쌈질을 잘해, 그래서 초선 만나고 적토마 선물 받고...
쌈질 잘하는 맛에 개기다가 나중에 훅~가는 전형적인 머리없는 쌈질꾼이지요.
장군감은 아니지요. 관우정도라면 모를까.

저는 연의 장수중 조자룡이 제일 좋습니다만 유비 말대로 정말 쓸만한 애가 앞뒤 안가리고 미친 충심에 목숨 내던지면 싫어 할 것 같습니다.

군주로 치자면 삼국지 수준에선 저는 조조를 치는데...
이건 뭐 우리나라엔 다들 생각하시는 그분이 계시니 패스~ㅎㅎ
     
제삼의눈 14-03-27 19:15
   
근데 생각해 보니 장군비교로 갈려니 우리나라가 좀 ㅎㄷㄷ하긴 하네요.
무력 장수는 생각나는 분들이 몇분 없는데 장군으로 가자면 생각나는 분들만 해도 어마어마 하네요.좀있다 [삼국지 비교 3탄] 통솔편 한번 가죠. 통솔편하면 우리나라가 압도적일것 같긴 한데...ㅋㅋㅋ
모래곰 14-03-27 20:16
   
위나라: 정사를 보면 정욱이 좀 비범하더군요. 그 외엔 곽가, 가후, 사마의.
오나라: 주유, 여몽, 육손. 여몽은 괄목상대로 유명하지만 그 전에서 생각하는 것을 보면
촉나라: 내정엔 제갈량, 병술엔 방통. 그 외엔 서서, 법정, 비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