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6-05-11 19:04
[기사] 美 MIT대, 한국어 정규과목으로 가르친다
 글쓴이 : 미소™
조회 : 3,360  



관련한 업무를 총괄한 MIT-Korea Program의 멧 벌트(Matt Burt)씨는 코리아타임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4년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9월에 시작하는 가을 학기부터 한국어를 정규 과목에 포함시키기로 했다"며 "과거 2-3년간 학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비인가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강좌에 학생들의 참여와 관심이 매우 높았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덧붙였다.

멋진 일이네요
앞으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에게 퍼지길 바랍니다. 우리 한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옥철아줌마 16-05-11 19:23
   
헐 저 학생들에게 부끄럽지않은 나라가되도록 일궈져야될텐데
기쁘기도하지만 걱정이먼저 앞서기도합니다 ㅠ
     
미소™ 16-05-11 19:39
   
어디든 양지와 음지가 같이 있는법이자나요

저를 비롯하여 이렇게 걱정을 하시는 님이나 다른 분들이 솔선수범하면 조금씩 나아지리라 믿쌉네다^^
비스마르 16-05-11 19:29
   
한글은 하루만에 배워도  한국어는 과연
     
미소™ 16-05-11 19:39
   
아마 어질어질하겠죠 그많은 표현법때문에 ㅋ
식커먼하늘 16-05-11 20:16
   
기본기를 배운뒤에 아마도 배우는과정에서 서양사람들 놀라겠죠! 표현법이 어마무시 하게 많다는걸 느끼는순간 .. 꼭 그날이 한글을 배우는 개개인에게 찾아올겁니다.
군말 16-05-11 21:29
   
한글은 우주최강 훌륭한 것이지만
한국어는 글쎄... 너무 어렵습니다 ㅠㅠㅠㅠㅠㅠ
     
운드르 16-05-11 22:20
   
한국어도 우주최강입니다. 그만큼 어렵죠 ㅋㅋ
사이드 16-05-11 22:12
   
보통 한국어 조사나 활용형이 너무 다양해서 외국인들에게 한국어가 어렵다 생각들 하시던데.
라틴어 계열 유럽언어 배우시면 동사 변형 보고 뒤로 넘어갈겁니다.
한마디로 아시아 언어라서 다른 어순과  어근등이 전혀 달라 단어를 다 외워야한다는 점 ,문화차이에서 오는 뉘앙스 표현 등이 더 어렵지  조사나 활용등의 변형은 익숙해지면 외려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그 정도의 고통의 시간은 타언어 습득시 다 있는정도고 제가 위에 열거한 부분이 가장 어려운 부분이겠죠.  반대로 아시아인이 영어나 유럽언어를 배울때도 해당되는 부분이고.  생각나서 적어봤습니다.
     
운드르 16-05-11 22:22
   
조사나 동사활용은 넘어가더라도 존댓말 문제가 있죠.
그리고 감각에 대한 어휘가 (다른 나라 사람들이 보기에는) 비정상적으로 발달했다는 문제도 있고요.
          
사이드 16-05-11 22:27
   
반박하자는 건 아니고요.
존댓말도 결국에는 선어말 어미 등의 변형으로 인한 크게 보면 활용의 일부이지요.
이건 문법처럼 쓰다보면 익숙해지는 , 언제 써야할지 감이 옵니다.
그보다는 우리가 영어 단어 외우는것처럼 한국어 단어를 어떤 매칭도 없이 모조리 외우는 부분이 더 어렵습니다.  어순이 다르니 말할때마다 머리에서 번역을 해야하기도 하고, 표현 방식도 문화가 달라 다릅니다. 
유럽인이 영어를 배울때는 이런 불리한 점들이 아주 크게 감소합니다. 한국사람이 중국어나 일본어를 배울때 한자보고 이해를 쉽게하고 쉽게 암기하는 부분과 상통하지요.
감각에 대한 어휘는 스페인어를 보시면 한국어보다 더 세세하구나하고 느끼실 수도 있을겁니다.
               
운드르 16-05-14 02:54
   
"반박하자는 건 아니고요."
존댓말이 활용의 일부라는 건 너무 좁은 생각입니다.
단어를 새로 만들어 쓰는 경우가 얼마나 많습니까? 이것도 엄연히 존댓말의 일부입니다.
(밥/진지 등... 밥 잡수셨냐고 하면 그게 제대로 된 존댓말이겠습니까?)
스페인어 어휘가 감각에 대해서 꽤 분화되어 있다는 건 저도 압니다.
하지만 한국어만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스페인어 어휘가 풍부한 것은 지리적으로 너무나 광대한 영역을 아우르기 때문에
일종의 사투리처럼 발생한 것이 그대로 굳어진 것이고
한국어와 동렬로 평가할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더구나, 통각은 어떻습니까? 세상에 한국어만큼 통각 관련 어휘가 풍부한 나라가 어디 있습니까?
맥거리 16-05-12 01:24
   
그런데 어느 나라 언어든 다 어려움....한국어가 어렵다 ... 중국어가 어렵다 하지만..
Alice 16-05-12 15:56
   
"과거 2-3년간 학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비인가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강좌에 학생들의 참여와 관심이 매우 높았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
이유를 모르겠네. 그냥 한류 kp0p은 아닌것 같고.
다른 요인이 있는듯 한데요.
저만 좀 빠딱한가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