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6-05-04 06:47
중국과의 690조원 MOU에 사인한 이란
 글쓴이 : 블루로드
조회 : 2,708  

지난 1월 말, 이란의 신정일치 종신 최고지도자인 이맘 하메네이가 중국의 시진핑을 만나서 690조원 어치의 MOU에 사인하고 나서 한 말..

"Iranians never trusted the West... That's why Tehran seeks cooperation with more independent countries (like China)," Khamenei said.
우리 이란 사람들은 서구 국가들을 믿은 적이 결코 없다... 테헤란이 (중국과 같은) 좀 더 독립적인 나라들과의 협력관계를 추구하는 이유가 바로 그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나라가 아니죠 ... ;;


변화하는 중동지형
# 이란 - 중국 : 영구한 포괄적인 다차원 전략적 동반자 (permanent comprehensive multi-dimensional strategic partnership)에 양국 정상 합의
현재.. 이란의 최고 경제, 외교 파트너는 중국...

# 사우디 아라비아 - 중국 :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에 양국 정상 합의

# 이라크 - 중국 : 전략적 동반자(strategic partnership)에 양국 정상 합의


비슷한 조건, 비슷한 가격대의 이란 사업에서 우리가 중국과 경쟁할때, 이란이 우리를 선택할 확률은 얼마나 될 것인지.. 궁금하네요. 사우디와 이라크에서는 어떻게 좀 비빌 수 있는 여지라도 있겠지만..

이란의 신정일치 종신 최고지도자인 이맘은 이란 내의 모든 것을 결정할 수 있는 무한 권력을 가진 단 하나의 권력자..

MOU 양쪽이 어떤 것에 공통적으로 관심이 있다는 말을 문서로 남긴 것에 불과하긴 하지만... 어째든, 우리가 이란에서 사오는 원유와 천연가스 값어치 정도만이라도 이란에 팔 수 있었으면 하고 바래 봅니다.. 

Iran's leader says never trusted the West, seeks closer ties with China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킴셰프 16-05-04 09:28
   
우리가 독립적인 나라가 아니면 어디에 통치라도 받고있나요? ㅋ 미국이라고 하고싶으시겠지만 ㅋㅋㅋㅋ 그렇게 따지면 중국도 러시아와 연결되있는 나라이죠ㅋ 그리고 우리나라는 서구가 아닙니다^^
     
블루로드 16-05-04 09:44
   
이란이 말하는 독립적인 나라란 말은 ... 스스로 운명을 결정하고,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는 나라죠. 부연하자면, 미국의 의도를 따르지 않고 독립 노선을 걷는 나라를 말하는 겁니다. 전시작전권도 없고 자체 외교능력도 없는 나라를 독립적인 나라로 보긴 힘들겠죠...

무엇보다도.. 경제적, 외교적, 방위적, 정치적 협력 수준에서 .. 우리가 많이 밀립니다. 그리고, 돈에서는 더 밀리고 ..

우리는 이란에서 석유 사오는 것 만큼이라도 팔아야 ...
          
아비요 16-05-04 12:27
   
이란이 말하는 독립적인 나라는 미국등이 경제재제를 해도 영향을 덜 받는 나라를 말하는거죠. 국제적으로 제재를 한다고 인연끊는 나라들보다 의리지키는 나라들과 그만한 힘을 지닌 나라들을 의미하죠.

참고로 우리나라도 저기에 포함이 될겁니다. 미국이 유럽이 이란 제재한다고 난리부르스를 떨었지만 우리나라는 의외로 버티면서 많이 교류한 나라에 속하거든요.
               
블루로드 16-05-05 05:49
   
언론 플레이 때문에 저도 심정적으로는 님처럼 느끼기도 하는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가 않아요.. 그래서, 위에 공식적으로 이란이 맺은 파트너쉽을 적어 놓은겁니다. 이란은 EU와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관계를 가지기로 합의했죠.

하지만, 우리는.. 이란과 그 어떤 공식적인 동반자 협정도 맺지 못하고 있는 수준입니다...
테미 16-05-04 09:45
   
이란은 중국이 자국내에 들어와서 투자해줄것으로 보지만, 정작 거기 들어가서 시장형성 해주는 나라는 미국,한국,일본등의 자본주의 대기업일것임. 중국 이놈들은 요즘들어 지들 물건 팔아먹을 생각만 하지
다이달 16-05-04 18:14
   
말은 저렇게 해도 중국말곤 없어요.
현재 이란은 돈이 없죠.
지금 이란은 일단
니네들이 돈을 투자해서 건설,플랜트,도로등등 해주면 나중에 원유 팔아서 주겠다는 식이구요
물론 이란은 미래에 어마어마한 천연가스나 원유로 벌수있겠지요

그게 현재 이란과 mou에서 불안한 부분이죠
지금 사우디vs이란 유가전쟁 붙은 상태구요, 현재도 유가가 바닥인데
추가 유가 하락은 불보듯 뻔한 상태이고, 원유량이 아무리 많아도 30달러 수준에선 이익이 안나죠.

마구잡이로 mou 했다가
국제유가등으로 이란의 소득이 예상만큼 안되서 대금지급을 못할때.
그사이에 하루 손실액도 어마어마한데...
몇달, 몇년 대금지급이 늦춰지게되면 기업은 망합니다.

중국은 강력한 자본과, 공산국가 특징인 권력으로 기업한테 명령할수 있고
천문학적 자금도 중앙정부 임의대로 집행할수 있어서 저런 액수가 가능한거구요.
솔직히 중국말고는 저런액수 불가능하지 싶네요
내실이 중요하거든요, 삼성물산이 이번에 사우디에서 대규모 적자 낸것같은 일이 생기면 안되죠.

물론 이란은 원유로 받는다거나..언젠간 갚을수 있을테니
우리도 발빠르게 52조 MOU체결했고
참여기업 면면보면 통신,도로,플랜트,의약등 지속적 수익창출 가능할듯하구요
방금전 대우건설,현대건설 이란에서 12조 LOI 받은상황이라 주의깊게 보고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