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6-02-02 16:24
중산층
 글쓴이 : 오비슨
조회 : 1,272  





중산층이세요.gif






중산층이라생각하는가.jpg













중산층비율1.jpg




중산층비율2.jpg




 외환위기 이후 10년간 감소세였던 중산층 비율이

201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









중산층이상과현실.jpg





중산층.jpg














중산층의_기준.jpg







중산층 기준.png





 이렇게 각자 관점을 달리 놓고 비교해서 그런지,

 우리쪽 중산층의 기준만 너무 물질적인 것에만 치우쳐 있다는 느낌이 들게 만드는데.....











정치인들이 가장 많이 쓰는 말 중에 '서민'이 있죠.


만약 중산층과 서민을 나누는 기준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서명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설중화 16-02-02 16:29
   
제 관점
중산층..... 야당도 여당도 찍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
서민.....한쪽만 찍는 지역에 살거나, 한쪽만 찍을 생각이 깊은....나이 드신 분
(에구 저도 나이가 많으면서, 정치적 관점에서 만 보고 있네요)
     
슝늉 16-02-02 17:36
   
현실은  중산층 ...새누리당만 찍는사람
            서민 또는 빈민층....  야당도 여당도 찍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
     
처용 16-02-03 01:08
   
실상 중산층이거나 화이트 칼라에 종사하는 사람일수록 미래에 대한 불안 때문에 복지를 강조하는
야당을 지지하는 성향이 강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AngusWann.. 16-02-02 17:37
   
중산층? 그런 게 대한민국에 있었나요?

소수의 막강한 기득권층 카르텔 + 다수의 노예 + 노예가 안되려 발버둥치는 소수의 사람들
이게 현 대한민국의 계층구조죠.
왈도 16-02-02 19:27
   
프랑스의 중산층 기준 = 개인의 의견
영국의 중산층 기준 = 한 대학의 의견
미국의 중산층 기준 = 공립학교의 의견
한국의 기준 = 직장인 설문조사?

죄다 묻는 대상을 다르게 해서 마치 한국만 물질적으로 집착하는 듯한 뉘앙스 풍기는 전형적인 사대주의 관점이죠. 애초에 중산층에 산자가 동산, 부동산, 재산, 생산, 산업할때 그 산자 아닌가요?

그럼 국제적 기준을 볼까요?

OECD의 기준에 따르면 한 가구의 소득이,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 소득에 해당하는 중위소득의 50∼150%인 가구가 중산층에 해당한다

개인이나 기관의 주관적 의미를 넣는 것은 좋으나 그것을 기준 삼을 수는 없는 거죠. 용어에 가장 부합한 대답을 하고 있는 것은 한국의 회사원들이네요. 솔직히 이거 진짜 궁금해서 대학 때 외국인애들한테 물어본 적 있는데 저 위에 나온 프랑스니 영국이니 하는 애들처럼 대답하는 사람 하나도 없습디다
     
오비슨 16-02-02 19:37
   
적절한 지적입니다. 왈도님 댓글처럼 생각하시는 분이 계실 듯하여
각 나라의 중산층 기준에 괄호 치고 출처를 적어놓은 짤을 아래에 추가한 것이죠.
숫자로 주어진 기준과 현실적으로 느끼는 기준도 비교하여 올려보았고요.
영국, 프랑스, 미국의 '특정 기준'들을 제시하고 비교한 것은 사대주의 관점으로 볼 수도 있고,
우리도 뭔가 물질적인 것 외에 다른 중산층의 기준을 생각해보면 어떨까 하는 문제제기의 관점에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저 위에 설중화님이나 슝늉님처럼 정치적인 관점에서 중산층의 기준을 나눠볼 수도 있는 것이고요.
     
헬로가생 16-02-03 00:32
   
맞습니다.
미국에서도 분명 중산층 하면 수입을 따지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middle class란 Socio-economic term인데
딴 나라는 socio만 딱 갖고 오고
우리나라는 economic만 딱 갖고 온 조작질한 기사네요.
          
오비슨 16-02-03 01:08
   
본문은 (조작질한) 기사가 아닙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이곳저곳 자료들 수집해다가 늘어놓은 것 뿐입니다.
비교 자료의 의미는 위에 써놓은 대로이고요.
               
헬로가생 16-02-03 01:39
   
님이 조작했다는 게 아니라
맨 밑에 짤 두개가 그렇다는 뜻이였습니다.
               
오비슨 16-02-03 08:02
   
오해하실만한 자료들을 갖다놓아서 송구스럽습니다.
맨밑 자료에 대한 보충설명이 부족해서 왈도님이나 헬로가생님이 지적하실만 했습니다.
영계백수 16-02-02 20:35
   
부채가 없고, 세후 500급여에, 순자산이 6억 6천에 집이 3억7천이면
대충 집빼고 3억정도(아마도 예금이나 저축 등등일테지만) 가지고 있어야 된다는 소린데
세후 6천연봉에 예금액이 3억정도면 상위10퍼안에는 들어가는데.... 중산층의 경제적 기준 겁내 높네요
     
미우 16-02-02 22:32
   
겁나 높은 걸로 안보이는데요.
저 현대경제연구원 조사 내용은 4인가구 기준입니다.
지역 등의 입지에 의한 차이는 있겠으나 집안에 큰일 안터지면 그냥 웃으며 밥 잘먹는 수준입니다.
광역시에 썩어가는 집한채 내 것이고, 좋은 직장 아니더라도 집안에 성인 둘이 정상급여 받으면 나오는 수준 정도에요. 오른쪽의 현실은 썩어가는 맨션이나 아파트 혹은 세입자에 둘 중 하나 정도만 정상 직장 수준.
1인당 저 정도면 님 말씀처럼 1~20%에 들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