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6-01-23 16:22
한국 근로시간의 진실
 글쓴이 : 오비슨
조회 : 3,009  






(OECD 홈페이지에 올라와있는 나라별 근로시간)


 
연평균 근로시간 (출처 : https://data.oecd.org/emp/hours-worked.htm)



맨 오른쪽 바로 한 단계 전이 한국이다. (근로시간 두 번째로 많음)





 
 
 






OECD 자료참고로  한국인이 만든 근로시간표

여기서 봐도 2000시간이 가뿐히 넘어간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다. 저게 과연 올바른 통계일까.

OECD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근로시간의 정의를 보자.






 
 
 


(출처 : https://data.oecd.org/emp/hours-worked.htm)




 
정규근로시간부터 파트타임, 그리고 연장근로까지

심지어 수당지불 안 하는 연장근로까지 다 포함되어 있다고

(공휴일, 병이나 일시적 장애로 인한 것은 제외)

정의에 나와 있다.


그럼 계산을 해보자


대한민국 연평균 근로시간이 대충 2100시간이다.

2100시간을 365일로 나누어 보겠다.

하루 5.7시간이 나온다.

하지만 주말에도 쉬고 명절날 같은 빨간날을 제외하는데 총 66일

근로일수는 거의 294일 정도다.

(출처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2015년+빨간날&sm=top_hty&fbm=1&ie=utf8)



다시 계산을 해보자.

2100시간을 294일로 나누면

7시간...

엥..? 뭔가 맞지 않는다.

그래..

휴가도 있으니 진짜 많이 잡아서 10일로 잡아보자

2100시간을 284일로 나눠보자.

7.3시간...

하루 7시간

주 5일 35시간, 한 달 140시간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참고로 근로기준법에는 주 40시간 연장 12시간 총 52시간 일할 수 있음)



밥 먹듯이 야근하고 밥 먹듯이 새벽에 퇴근하는 한국의 현실과는 정말로 동떨어지는 자료이다.

왜 이렇게 나오는지 두 가지 상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 Actual hour worked (실질 근로자)

를 취급한다고 정의에 나와 있었는데

비정규직이 근무하는 시간이 안 들어갔을 수도 있다.



2. 정의에는 unpaid overtime (수당미지불 연장근로)

도 포함한다고 적혀있지만

한국에선 아예 연장근로를 했다는 일지조차 안 쓰고

야근을 시키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외에도 주말에 출근시키고 근로일지에 안 찍는다든가 생각 가능함.
 
 
 
결론은 저 대한민국이 노동시간 1등 먹는 통계조차

노동법전에서나 상상 가능한 꿈의 통계자료라는 거다.

현실적인 통계자료로 고쳐보자면 이렇다.







 








※ 물론 저기에 있는 일부 국가들의 통계 수치도 똑같은 방법으로 줄여놓은 것일 수 있음.

    하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한국의 근로시간이 무지막지한 것은 변함이 없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서명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bcd2014 16-01-23 16:29
   
OECD 라는게 직접 통일된 기준으로 조사 산정하는게 아니라..단순히 각국에서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한건데... 과연 객관적인 자료가 될까요?

한예로 OECD가 내놓은 국가당 강간율에는  황당한 결과가 나오지요..일본이 강간률 가장 최저로 나옵니다...노르웨이보다 더 낮은 결과죠.과연 통계가 타당성이 있었을까요??

그리고 범죄율 같은경우도 다른 나라들은 살인을 해서 그 피해자가 나오는 케이스만 수치로 산정을 했는데 우리나라는 그 방식과 다르게 살인범죄의 항목에 미수 및 예비,음모까지 합산해 수치를 내서 OECD에 반영합니다...애초에 객관적이지 못한 통계가 OECD 자료예요

OECD 통계는 공정한 기준 자체가 없고 한 국가가 은폐하거나 자료를 날조하거나 축소시킨다면 그걸 그대로 반영할수밖에 없는 신뢰성 아주 낮은 통계입니다.
     
오비슨 16-01-23 16:41
   
그래서 OECD 통계를 인용해서 주장을 할 때는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입니다.
말씀하신 범죄율 경우처럼 명확한 기준이 정해지지 않은 것들이 많아서...
나무아미타 16-01-23 18:19
   
웃긴건요. 실제로 일본이랑 한국이랑 노동시간은 별로 차이도 안나고 오히려 일본이 더 긴것 같다는. 이건 갠적 생각임. 일본새끼들은 수당도 잘 안챙겨줌 ㅋㅋ
캔그리밍 16-01-23 19:34
   
저건 파트타임비중이 우리나라가적어서 많이나오는겁니다..실제로 평균근로시간이 낮은나라는 파트타임비중이 어마어마하죠..네덜란드는 40프로에 육박합니다..정규직과등등한대우가보장된 시간제근로자가 많기때문에 근로시간이 적게 나오죠..미국 현대자동차공장도 주3일 오전4시간근무등 시간제근로자가 많죠..
캔그리밍 16-01-23 19:42
   
조사해보시면 얼추 맞을거에요 파트타임비중역순..전에 본 통계가 잘은 기억안나는데 우리나라12프로 수준..선진국은 30프로 전후로잡힙니다..노동시장이 유연하다는 말도 되겠죠.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상당히  경직된편..노동자계층화도 심한편이고..

다시말해서  일반정규직근로자 공무원등은 큰 차이가 없을거라봅니다..일본회사다니셨다는분도 있으니까 아시겠지만 일본직장정규직직원이 저위에 통계범위내에서 일하는 사람없을겁니다..우리랑차이없음
멍굴년 16-01-23 20:26
   
모든 노동자가 풀타임으로 일하진 않죠.
칸타페쵸코 16-01-23 20:56
   
10년전부터 제 직종에선.. 기본 11시간30분을 일을 하고, 토요일 당연하고.. 일요일도 바쁘면 일하는.. 그리고 철야는 기본적으로 했었죠. 돈을벌려고 회사 오는건지 내가 여기 살려고 오는건지, 그랬죠.. 이번 직장은 그래도 하루 11시간만 일해서 천국에 온것 같다는.. ㅋㅋ.. 뭐요.. 통계 7시간..?... 무슨.. 회사 여직원들만 조사했나...
nation 16-01-24 06:39
   
"직접 통일된 기준으로 조사 산정하는게 아니라..단순히 각국에서 제공한 자료를 기반으로 한건데"
는 OECD 뿐 아니라 모든 국제기관이 마찬가지입니다.

(한 국가 내의 통계마저 조사대상 범위, 기준에 따라 천차만별로 나옵니다.
한국언론이 보도하는 한국 임금, 소득 통계를 보면 상당수가 대기업 위주로 뽑은 것입니다.
또, 통계청이 집계한 한국근로자 평균임금과 국세청이 집계한 평균임금도 꽤 다릅니다.
후자는 대개, 연말정산자만 집계하기에 소득세를 아예 안 내는 극빈층은 빠져있습니다.
전자는 1800여만명을 집계하고, 후자는 연도별로 다른데 1000만에서 1400만 정도 집계.
한 국가 내의 통계마저 이런데, 전세계 국가들을 정확히 비교하는 건 그냥 불가능합니다.)

고로 모든 국제 통계는 이 점을 감안하고 봐야 합니다.
1인당 GDP, PPP도 마찬가지.
한국 1인당 GDP는 2007년 2만1천에서 2008년 1만9천, 2009년 1만7천, 2011년 2만 턱걸이했는데
PPP로 환산한 1인당 GDP는 2007년 2만4천, 2011년 3만으로 4년새 25퍼센트 증가.
과연 이 4년간 한국국민 구매력이 25퍼센트 증가했나요? 오히려 원화가치 폭락, 수입물가 급등으로 줄었으면 줄었지.
저는 1997년부터 PPP 통계를 봐왔지만, 이를 포함해 여러 이유로 PPP를 신뢰하지 않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가 집계한 저 연간근로시간 통계는 주5일제 근무를 해야 가능한 수치로,
대기업, 공무원, 공기업 위주로 조사한 결과로 보입니다.
하다못해 대기업 생산직만 해도 연장/주말근무로 연간근로시간 2500시간은 훌쩍 넘고, 중소기업 생산직은 더 합니다.
서비스 직종도 주6일 근무 많습니다. 특히 동네가게들....
뛰는거북이 16-01-24 17:51
   
자동차부품회사에서는 점심밥만먹고 바로일하는회사도 수두룩함.물론 12시간맞교대 토요일의무적인 특근이고 새누리당 출신대통령들은 항상사기만침.언론매수하고 거짖된자료유포하고 완전 민심과는 동떨어지는인간들임.
뛰는거북이 16-01-24 17:58
   
일본과 비교하면 일본은 시급이쎄고 수당이많아서 잔업특근을 회사에서 시키려하지않음.시급이싼한국은 잔특 엄청시켜서 일본과 받는 임금의 수준은 비슷함.오히려방송.대기업.금융.연애인.운동선수.국회의원.의사등 국제적으로 타국에서 볼수있는자료들은 일본과 비숫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