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5-12-23 13:56
성경의 역사가 6천년에 비해 인구수가 너무 적지 않은가요?
 글쓴이 : 누구게효
조회 : 2,564  

구약 4천년 신약 2천년 왜 아담과 이브를 흙으로 만들어 1세대가 만들어 졌다 잖아요. 그런대 6천년이란 세월 동안에 지구촌 인구는 고작 65~70억 정도 밖에 되지 않을까요? 아무리 전쟁 기아 전염병으로 많이 죽었어도 1세대가 약 1천 300년 동안 15만명의 인구 증가를 하더라고요. 또 각 세대로 나누어 계산하니 1천 300년 후엔 100억이 넘는 인구수가 나오드라고요. 내 계산법이 틀렸을지도 모르진 6천년이라면 인구는 훨신 더 많아야 하지 않을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lpb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우왕 15-12-23 14:12
   
산업화 이후의 인구 증가율을 대입 하신 거?
     
누구게효 15-12-23 14:18
   
600년대 중반부터 2015년까지 1세대 인구 증가한 수를 대입 한거에요. 더 많을수도 적을수도 있지만 딱히 기준 점이 없어서요.
겨리 15-12-23 14:21
   
네 산업화 이전까지 인구증가율은 거의 의미가없죠..
미우 15-12-23 14:22
   
sf에 물리학 대입하는 거나 소설에서 수학적 가치 찾는 거 만큼 쓸 데 없는 짓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누구게효 15-12-23 14:31
   
예 전 무신론자 입니다. 그냥 궁금해서 뻘짓 함 해봤어요.ㅎㅎㅎㅎㅎ
전팔 15-12-23 14:41
   
학자중에 대홍수때 죽은 인구수를 10억~100억으로 추산하는 분이 계시더라구요

야곱이 70명의 숫자로 애굽으로 들어가 430년 뒤 출애굽때는 장정(전쟁을 할수 있는 남자)만 60만명(전체 약300만명 추산)으로 광야로 나오게 되죠
ellexk 15-12-23 14:45
   
6000년이란 의미는 상징적인 의미일뿐 고고학적이나 과학적 의미가
있는건 아닙니다

창세기는 아담과 이브 이후 초고대 문명까지 포함할지도 모른다는 신학자들의 견
해도 있어요 상징적이고 신학적인 코드라 보셔야 합니다
오순이 15-12-23 14:59
   
아담하고 이브 둘로 시작?
아니 그걸 어떡해 계산을 할 수가 있는지...
아담+이브=0이 될수도 있는 많은 경우의 수가 나오는데..
계산하는 거 자체가 의미가 없지 않나요..
그린티33 15-12-23 15:06
   
소설은 소설로만 읽으세요.
포플란 15-12-23 15:24
   
창세기에는 최초의 인류인 아담으로부터 이삭까지의 연대기가 언급되어 있습니다.
참 친절하게도 창세기에는 그들이 몇 세에 자식을 낳았는지 기록되어 있죠.
창세기 5장에는 아담부터 노아까지의 계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아담(130세에 셋을 낳음)-셋(105세에 에노스를 낳음)-에노스(90세에 게난을 낳음)-게난(70
세에 마하랄렐을 낳음)-마하랄렐(65세에 야렛을 낳음)-야렛(162세에 에녹을 낳음)-에녹(65
세에 무드셀라를 낳음)-무드셀라(187세에 라멕을 낳음)-라멕(182세에 노아를 낳음)-노아(50
0세에 셈을 낳음)

최초의 인류인 아담으로부터 노아의 아들인 셈이 태어나기 까지 1556년이 걸렸습니다.
이어서, 창세기 11장에는 셈으로부터 아브라함까지의 계보가 언급되어 있죠.

셈(100세에 아르박삿낳음)-아르박삿(35세에 셀라를 낳음)-셀라(30세에 에벨을 낳음)-에벨(3
4세에 벨렉을 낳음)-벨렉(30세에 르우를 낳음)-르우(32세에 스룩을 낳음)-스룩(30세에 나홀
을 낳음)-나홀(29세에 데라를 낳음)-데라(70세에 아브라함을 낳음)

셈으로부터 아브라함이 태어나기까지는 390년이 걸렸습니다.
이어 창세기 21장에는 아브라함이 100세에 이삭을,
25장에는 이삭이 60세에 야곱을 낳았다고 합니다.
창세기 30장에는 야곱이 요셉을 낳았다고 언급되어 있는데 안타깝게도
몇 세에 요셉을 낳았는지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물론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노아의 홍수 이후 인간의 수명이 급속도로
줄어들었으니 요셉을 낳은게 아무리 늦어도 80세 이상은 아니겠지요.

문제는 아브라함이 잠시 기근을 피하기 위해 이집트로 이주해 파라오에게 아내를
맡기는 대목이 있다는 거지요. 그의 증손자 요셉은 이집트의 파라오에게 신임을
받고 그의 일가가 이집트에 정착한다고 합니다.
위 자료로 기독경의 연대기를 추측 할 수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계산해 보면 인류의 시조인 아담으로부터 1550년 쯤 뒤에 대홍수가 발생하고,
대홍수 이후 대략 400년 정도 후에 아브라함이 이집트로 가서 파라오와 만나게 된다...
참으로 어이 없는 연대기 아닌가요? ㅎㅎ

기독교인들이 진화론을 믿지 않는다 쳐도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시대의 유물을
부정할 수는 없을겁니다.

가장 긴 구석기 시대의 유물은 BC 3만~1만년 정도 이전의 것으로 석기 뿐만 아니라
동굴 벽화, 암벽 부조, 조각상들이 발굴 되었죠.
프랑스 로셀에서는 BC 2만 5천년 경의 뿔잔을 든 여인상이 발견되기도 했고요.

BC 1만년이 지나면서 신석기 시대가 오는데 이 시대의 유적은 더더욱 많이 발견되죠.

아시아 남부에서 BC6500 년 경으로 추정되는 취락지와 제사를 지내는 장소로 추정되는
유적지가 발굴되었으며, 정교한 돌로 만든 단도나 구슬을 연결한 장신구도 발견 되었죠.

토기의 발달은 BC 4000년경부터 뚜렷해 집니다.
기하학적 모티브로 그려진 동식물의 문양이 새겨져 있지요.

설마 이런걸 원숭이가 만든거라고 주장하진 않겠죠? ㅎ

아무튼 찾다보면 끝도 없으니 이쯤 하겠습니다.

유대인들의 이집트 이주는 힉소스인들이 이집트를 점령한 BC 18세기 말에서
BC 16세기 초까지인 이집트 제 15~16 왕조 시대라는것이 정설입니다.

창세기 최초의 인류인 아담이 등장해서 1946년 후 아브라함이 등장하는데
최초의 인류가 등장한지 겨우 2000년 만에 이집트에 왕조가 들어설 수 있습니까?

국가가 생기기 위해서는 최소 청동기 시대는 되어야 할텐데요.
그나마 아담 등장 후 1500년 쯤 후에 대홍수가 일어나 모든 인류를 싹 쓸어버렸는데 말입니다.

그 후 400년 뒤에 아브라함이 이집트로 잠시 이주해서 파라오에게 아내를 맡겼다?
즉 대홍수 이후 400년만에 이집트에 왕조가 들어섰다?
이 얼마나 황당한 궤변입니까? ㅋ

BC 3만년경에 구석기 시대가 시작된 이후, BC 3100년 경에야 이집트에 제1왕조가
들어서게 되었고 아브라함이 기근을 피하기 위해 이집트로 잠시 이주한 시기가
이집트 제1왕조라고 억지 주장을 해보고 계산을 해보죠.
(이건 진짜 억지주장입니다)

그렇게 억지로 계산을 해보아도 노아가 방주를 만들기도 전인 BC 5000~4000년경의
바르나와, 여리고 등지에서는 도시가 들어 서고 있었으며, 최초의 인류인 아담이
탄생하기도 훨씬 전에 이미 신석기 시대가 시작된지 오래라는 이상한 연대기가 되어 버립니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흙으로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고 있을때,
여호와는 흙으로 아담을 만들고 있었다는거죠. ㅋㅋㅋㅋㅋ
     
오순이 15-12-23 19:57
   
보기 쉽게 설명하셨네요 잘 보았습니다.
모래니 15-12-23 16:22
   
물속에 빠뜨려서, 마녀인가 아닌가 확인하느냐구 인구가 줄었나..
그렇게 15-12-23 16:27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소설 책이 성경이더군요!
고독한늑대 15-12-23 16:36
   
아니 6천년 전에 인류가 탄생되었다는것을 대입시키는게 더 이상한데요
한반도에서도 7천년전 동양인과 유럽인의 고인골들이 수없이 출토되었는데요
진실게임 15-12-23 17:05
   
판타지 세계에서 안되는 게 어딨나요? 계산법을 바꾸세요.

결국 다 됩니다. 맞추면...
블루로드 15-12-23 17:30
   
지구 상의 인구가 얼마간 어떻게 늘어서, 오늘날 60억이 넘게 되었는지 ... 아래 그림 한번 보시고, 링크도 가서 한번 들여다 보세요.

인류의 수가 늘어 난 것은 1. 산업혁명 2. 농업혁명(질소비료)가 가장 큰 원입니다 - 물론 의학의 발전도 크고..



http://www.bbc.co.uk/schools/gcsebitesize/science/triple_aqa/humans_and_environment/waste_human_activity/revision/1/
yabawi 15-12-23 18:32
   
소설이 기반이니 안 맞는게 당연한겁니다.
라그나돈 15-12-23 19:23
   
판타지 소설에 현실을 대입해서 답을 찾으려고 하면 제대로 된 답이 나오기 힘들지 않을까요

그렇게 생각합니다.
쿠기 15-12-23 20:42
   
슬슬 결론 냅시다.

결론 : 글쓴이가 뻘짓했다.
     
환타사탕 15-12-24 20:3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소계창효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