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8-20 12:40
멘토스님 진지하게 하나만 물어볼께요
 글쓴이 : 잔디
조회 : 684  

교회다니는 친구앞에서 예수 씹'새'끼 라고하니까 엄청 화내고 욕하데요 ...


왜그러는거죠? 교회다니는 애들은 문선명 욕 겁나게 하던데 통일교 신자들한테 맞아 뒤질라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aa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멘토스 14-08-20 12:44
   
첫째, 그것은 님이 만든 말이니 그렇겠지요^^ 만약 친구라면 진짜 친구가 아니기 때문에 그런 욕을 했겠지요.
둘째, 만약 진짜 친구인데, 그런 욕을 했다면, 상식에서 벗어나 예의가 없는 친구니 그 친구에게 님과 친구하기를 멀리하라고 권하고 싶군요. 만약 내가 불교를 믿는 친구에게 부처를 욕하는 것은 친구에 대한 예의가 아니지요^^ 부처는 진짜 신이 아니다. 이런 말은 할 수 있지만 욕을 해서 친구를 자극하는 것은 친구에 대한 예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셋째, 이런 말장난에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님이 정중하게 물어봐서 답변 드립니다^^
     
잔디 14-08-20 12:46
   
근데 진지하게 님은 왜 불교욕해요? 예의가 아닌걸 알면서? 기독교는 다예의가 없나보네요
예의없는 예수 새끼
          
멘토스 14-08-20 12:48
   
나는 부처를 욕한적은 없고 교리에 대해서 논했을 뿐입니다^^ ㅎ
               
잔디 14-08-20 12:53
   
예의 없이 왜 불교욕하냐니까 부처는 또뭐에요 ㅠㅠ 아 정신차려요
                    
멘토스 14-08-20 12:55
   
님은 님을 빼도 되고 나는 안 믿기 때문에 님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잔디 14-08-20 13:00
   
아 그럼 "님"이 라는분이 신이에요? 믿습니다 저도 "님" 이런 "님이랄"
                    
멘토스 14-08-20 12:56
   
나중에 더욱 진지해지면 질문하시기 바랍니다. 더이상 말장난에 답변하지않겠습니다.
                         
잔디 14-08-20 13:06
   
네 재미있었어요
     
보롱이 14-08-20 12:46
   
부처는 인간인데요?
하늘꽃초롱 14-08-20 12:47
   
당연히 욕하죠.
예수가 그래도  유병언이랑 비스므리한  동급인데  인간 취급은 해 줘야죠. ㅡㅡ;;
     
로뎀 14-08-20 17:23
   
레벨다운 개념 챙기시죠
어그로에 솔직한 심정 밝힐 필요가ㅋㅋㅋ
심심해서옴 14-08-20 13:41
   
예수가 존재했다는 증거 자체가 없습니다. <예수는 신화다> 참조해보시길. 기독교측의 날조입니다.
에투 14-08-20 13:45
   
사람들 가치관, 종교관 다 제각각인데, 그것도 교회다니는 친구앞에서 예수씹'새'끼라니..
예수씹'새'끼든 부처씹'새'끼든 그런 태도는 본인 인생에 마이너스가 될 뿐입니다.
di0o0ib 14-08-20 14:02
   
부처는 인간이고, 예수도 있었다면 인간이죠.
근데 유독 예수만 신격화 됐을까요?
보통 부처를 신이라고 하지 않잖아요.
불교는 신을 섬긴다는 의미보단 철학적 탐구랄까, 수행과 깨달음이 목표가 되는 것 같은데 왜 하나님을 믿는 자들은 돈을 목표로 전진 하는지..
운드르 14-08-20 14:27
   
멘토스님, 앞으로 소승불교라는 말 안 쓰실 거죠? :)
진지한 글에만 답변한다고 해놓고 왜 제가 진지하게 지적하는 글에는 답이 없으신가요?
     
멘토스 14-08-20 15:12
   
소승불교가 어떻게 불리웠든 그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이것은 이미 학문적으로 소승불교라 불리웁니다. 그러니, 소승불교라는 말은 일반적인 학문적 용어로 쓰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쓸 수 밖에 없습니다.
          
운드르 14-08-20 15:2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19727&cid=50826&categoryId=50826

http://ko.wikipedia.org/wiki/%EC%83%81%EC%A2%8C%EB%B6%80_%EB%B6%88%EA%B5%90

이것만 갖고는 불충분하다고 하실 테니 논문 몇 개 알려드리죠.

정미경 저, 상좌부 불교와 경제발전... 이건 책이고

송위지, 상좌부 불교국가에서의 종족 갈등에 관한 연구 :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한국외대 국제지역연구센터
송위지, 상좌부 불교의 역사와 전통, 불교평론 4권 4호(2002)
김홍구, 상좌부 불교의 정치적 영향력 : 태국과 라오스 비교연구, 21세기 정치학회(2001)
김열권, 상좌부 불교의 주요 수행처와 스승들, 불교평론 4권 4호(2002)
최재현, 미얀마 상좌부불교 문화와 기독교 선교, 외대논총 28집(2004)
등등...

반대로 알고 계시네요. 소승불교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님처럼 생각 없이) 쓰는 말이고,
상좌부불교가 학술용어에 더 가깝습니다.
소승불교라는 표현을 쓰는 논문도 더러 있지만, 최근 들어서 그리고 학문적으로 엄격한 논문일수록 상좌부 불교라는 표현을 더 많이 씁니다.
학문적 용어를 사용할 때는 가능한 한 가치판단을 배제하는 게 옳기 때문이죠.

불교가 그리 싫다면서, 게다가 대승불교는 사이비라고까지 말하면서
왜 대승불교의 용어를 그대로 따다 씁니까? 어차피 그 쪽도 아니잖아요!
그렇게 천재시면서, 남이 뭐라 하건 아랑곳하지 않는 천하의 멘토스님이
'일반 학문 용어'(전혀 아니지만)에 굴복하신다?! 왜 그러셔야 하는데요?

제가 멘토스님 지금 생각을 대신 말해 볼까요?
'그런 말이 있다는 거 이제 알았고, 내 생각에도 잘못 쓴 거 같긴 한데
자칭 천재 자존심에 인정은 죽어도 못하겠다.', 이거 아닌가요? ㅋㅋ
               
멘토스 14-08-20 15:58
   
님은 학문적 용어라는 뜻을 모르시는군요. 학문적 용어라는 것은 일반화된 용어로 이미 널리 사용되어 있어서, 모든 사람들이 서로 약속된 용어로 씁니다. 그래서, 가령, 일본이라고 하면 모든 사람들이 이해를 하는데, 그것을 다른 말로 니뽄이라고 쓰는게 옳다고 주장하시는 것과 같습니다. 모든 서적 모든 사전에 소승불교라고 학문적으로 널리사용하기 때문에 님의 주장은 의미가 없습니다.
                    
운드르 14-08-20 16:03
   
고작 생각했다는 게 그겁니까?
그게 일반적인 사유를 뛰어넘는다고 자부하는 사람이 할 소리입니까?
님 주장대로라면 '학문적 용어'라는 표현 자체가 존재할 이유가 없다는 걸 모르시겠습니까?
아무나 다 쓰는 말에 굳이 '학문적'이라는 딱지를 붙여 범주를 축소할 이유가 어디에 있습니까?
오히려 학문적인 연구의 대상으로서 정의를 명확히 해야 할 경우에 (특별히) 쓰는 용어를 '학문적 용어'라고 부르는 것 아닙니까?

더구나 단 하나의 예외라도 있으면 '모든'이란 표현은 쓰지 않는 게 진정한 '학문적' 자세가 아닙니까?
'모든 사전'에서 소승불교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링크 안 보셨어요?

진실로 졸렬한 주장이군요... 이게 천재의 말로라니 안타깝기 짝이 없습니다.
                         
멘토스 14-08-20 16:18
   
학문적 용어는 약속된 용어입니다. 님이 그런 말을 할 경우 혼돈이 생기고 서로 대화가 통하지 않습니다. '무리'는 일본인이 쓰는 용어니까 이제 쓰지 말아라! 이렇게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미 일반화된 용어는 서로 약속한 언어이기 때문에, 학문적으로 일반적인 용어가 된 것을 님이 쓰지 말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만약, 몽고처럼 자신들을 이제부터 몽골로 불러달라고 국제적으로 요청하여 그것이 사전적으로 수정되었을 경우에만 가능한 것이지, 님처럼 소수가 주장한다고 바뀌는게 아닙니다. 혼란이 생기고 혼선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멘토스 14-08-20 16:20
   
님은 언제나 어리석은 억지 주장으로 남을 설득하려고 하지만, 아무리 우기거나 억지를 부려도 100이면 100명의 전문가가 나의 손을 들어 줄 수 밖에 없습니다.
                         
운드르 14-08-20 16:23
   
아, 그래요? 꼭 갈릴레이 재판하던 이단심판관 같은 논리네요 :)
님 말이 맞다면, 굳이 '비학문적'인 용어를 사용한,
그래서 '혼란과 혼선을 조장한' 저 사람들은 대체 뭔데요?
옛날 식으로 말하자면 '사문난적'쯤 되나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운드르 14-08-20 16:24
   
당연히 그러시겠지... 댁 말에 반대하는 사람이면 아무리 대단한 업적과 직위를 가졌어도 댁이 말하는 '전문가'가 아닐 테니까.
어디 가서 술지게미조차 못 얻어먹을 논리력으로 무슨.
                         
멘토스 14-08-20 16:24
   
일반적으로 남방 아시아의 불교를 장로불교, 상좌부불교라 일컫는다. 흔히 상좌부 불교를 소승불교라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잘못된 표현으로 상좌부 불교라 칭하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 상좌부 불교는 고대 인도 팔리어로 전승된 불교 경전을 정통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최초의 불교 승가(僧伽) 고승들에 의해 형성된 전통을 이어온 상좌들에서 자파의 기원을 찾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좌부불교 [上座部佛敎]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한국콘텐츠진흥원)
                         
운드르 14-08-20 16:25
   
네, 그래서 님이 잘못되었고 제가 옳다는 것 아닙니까?
소승불교란 표현이 잘못이란 거 이제 아셨어요?
                         
멘토스 14-08-20 16:27
   
대승불교는 부파 중에서 진보적 ·혁신적이었던 대중부(大衆部) 및 재가신자 집단, 즉 보살중(菩薩衆)이 중심이 되어, 그 당시까지 우세한 세력을 유지하던 전통적 ·보수적 불교에 대항하였던 종교운동이며, 그때 스스로를 대승(大乘)으로 자칭하고 기성불교를 소승으로 낮추어 불렀다. 따라서, 후자가 스스로를 소승으로 자칭하는 일은 없다.

그 기원에서 소승불교는 원시불교를 포함하여 말하는 경우와 직접 대승운동의 상대방이 되었던 보수적인 모든 부파만을 일컫는 경우의 두 가지 용법이 있다. 부파는 처음 불멸(佛滅) 100여 년 후 상좌부(上座部)와 대중부의 2파(根本 ·部)로 나뉘고, 그후 약 1세기 동안에 대중부 계통이 계속하여 그후 약 1세기 동안에 상좌부 계통이 분열하였다. 이 분열의 사정과 명칭은 제전(諸傳)이 일치하지 않으나, 북전(北傳)의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의 기록에 따르면 [표]와 같다. 이 [표]에서 새로이 성립한 18부파(枝末十八部)를 근본 2부와 합해 ‘소승 20부’라 한다. 그러나 남방소전의 《도사(島史)》에서는 불멸 후 약 100년 동안에 상좌대중부의 근본분열이 있고, 그후 약 100년 동안 대중부 계통의 5부, 상좌부 계통의 11부로 분열하여 도합 18부의 부파를 전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소승불교 [小乘佛敎] (두산백과)
                         
운드르 14-08-20 16:31
   
네, 그래서 소승불교란 표현이 학문적으로 공정하지 못한, 편파적인 표현이라는 것이고
더구나 대승불교를 사이비라 칭하는 사람이 쓸 용어가 아니라는 겁니다.
이제 제 주장을 이해하셨나요?
멘토스 14-08-20 16:30
   
기성 불교를 소승불교라고 부른다는 사실을 아직도 모르시나요??
     
운드르 14-08-20 16:32
   
...이봐요, 여기서 말하는 기성불교는 대승불교가 처음 발생하던 시기를 기준으로 하는 거죠.
제가 이런 것까지 설명해 드려야 합니까? 그정도 문맥도 파악 못해요?
세상 천재가 다 어디 가서 얼어죽었나 보군요.
멘토스 14-08-20 16:32
   
쉽게 말해서 기성불교를 소승불교라 부르고 소승불교 안에는 분파되어서 여러 가지가 있다는 뜻입니다.
     
운드르 14-08-20 16:35
   
아니, 사전에서 잘못되었다고 지적하는 용어를 같은 사전에서 빌어와서 정당화하려는 이 용기는 대체 뭐죠?
'기성'이라는 말은 '이미 존재하는/했던'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대승불교가 처음 탄생할 때의 '기성불교'는 상좌부불교였죠.
지금 우리나라는 대승불교 일색이니 만약 상좌부 계통의 종파가 새로 뿌리를 내린다면
지금의 우리나라 '기성불교'는 대승불교가 될 겁니다. 이래도 이해 못하겠어요?
          
멘토스 14-08-20 16:38
   
일반적으로 남방 아시아의 불교를 장로불교, 상좌부불교라 일컫는다. 흔히 상좌부 불교를 소승불교라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잘못된 표현으로 상좌부 불교라 칭하는 것이 맞는 표현이다. 상좌부 불교는 고대 인도 팔리어로 전승된 불교 경전을 정통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최초의 불교 승가(僧伽) 고승들에 의해 형성된 전통을 이어온 상좌들에서 자파의 기원을 찾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좌부불교 [上座部佛敎]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한국콘텐츠진흥원)
               
운드르 14-08-20 16:43
   
그러니까 잘못이라고요! 이걸 인용하는 건 잘못을 시인하시는 거죠? 늦게나마 다행입니다.
멘토스 14-08-20 16:33
   
그리고 소승불교 안에서 분파되어서 상좌부 불교가 있다는 뜻입니다. 이해 했나요??
     
운드르 14-08-20 16:38
   
불교라면 빠삭하다는 분이 뭘 어떻게 읽어서 이렇게 오독을 하실까?
이제 보니 '빠삭'이 아니라 '바삭'하시구만. 든 게 없이 비었으니 바삭거리기야 하겠네.
멘토스 14-08-20 16:34
   
매일 우기시니 지겨워 죽겠어요 ㅎㅎㅎ
     
운드르 14-08-20 16:36
   
남보고는 진지하게 말해야 상대하겠다면서 'ㅎㅎㅎ'?
지금 뭐하자는 겁니까?
멘토스 14-08-20 16:46
   
소승불교는 대승불교의 반대를 말하며, 기성불교를 말하는 것입니다. 소승불교는 대표적으로 상좌부와 대중부가 있는데, 거기서 상좌부 계통은 스리랑카 ·미얀마 ·타이 ·라오스 등에 전해져 현재에도 민중 속에 확고한 기반을 잡고 있다. 한편 대중부 계통은 후에 대승불교로 발전하여 중국 ·한국 ·일본 등 북방에 널리 유포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종교철학사상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운드르 14-08-20 16:51
   
이봐요, 대중부 계통은 세월의 변천에 따라 대승불교로 발전하거나 아예 소멸했습니다.
'대중부 계통의 소승불교'라는 건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요.
님 주장은 님 표현대로 하자면 '혼란이 생기고 혼선이 생기'는 결과밖에 낳지 못합니다.
멘토스 14-08-20 16:47
   
그래서 소승불교는 기성불교라 칭하는 이유는 그 안에서 대중부 불교도 있었기 때문이며, 훗날 대중부가 대승불교로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운드르 14-08-20 16:52
   
그리고 대승불교 이외의 부파는 상좌부불교로 남았거나 소멸했지요. 이제 됐습니까?
멘토스 14-08-20 16:49
   
원시불교 - 부파불교(상좌부 ,대중부 등등) - 대승불교
운드르 14-08-20 16:52
   
그리고 'ㅎㅎㅎ'에 대해서 사과하시기 바랍니다.
아니면 앞으로 아예 쓰지 마시든가요.
     
멘토스 14-08-20 16:54
   
만약 남 아시아 불교인들이 우리는 소승이 아니다! 라고 한다면 맞습니다. 하지만, 소승불교가 학문적으로 이미 용어가 된 것은 대승불교가 발전했기 때문에, 과거의 불교를 그렇게 부르기 때문에, 틀린 말이 아닙니다.
          
운드르 14-08-20 16:58
   
네, 실제로 남아시아 불교인들은 '우리는 소승이 아니다!'라고 합니다.
한 번 태국에 가서 거기 스님들에게 '소승'이라고 해보세요, 어찌 되나.
그리고 대승불교는 과거의 부파불교에 대해서가 아니라,
갈라선 이후에 자신들의 주장과 다른 분파들에 대해 '소승'이라고 말했습니다.
     
멘토스 14-08-20 16:55
   
이미 사과할 대상도 없고, 소승불교라고 말한다고 화낼 사람들도 없습니다. 님만 화를 내는 것이지요
          
운드르 14-08-20 16:59
   
그럼 앞으로 잘난 척 진지빨지 않겠다고 약속이나 하시든가요.
아주 위선적이시군요.

동남아 가서 소승불교라는 용어 써보세요. 화 내나 안내나.
아참, 우리말로 '소승불교'라고 하면 당연히 화 안 낼 겁니다. 못 알아들으니까.
'히나야나'라고 하세요, 아셨죠?^^
               
멘토스 14-08-20 17:01
   
정말 우기시네, 내가 동남아시아인들에게 말한 것이요?? 학문적으로 대승의 반대의 기성 초기 불교에 대해서 말했는데, 왜 내가 사과를 하고 그렇게 부르면 안됩니까??
                    
운드르 14-08-20 17:06
   
ㅎㅎㅎ 에 대해 사과하라니까 뭔 소립니까?
누가 동남아 사람에게 사과하래요? 아, 물론 그 사람들에게 말하면 사과해야겠지만.
기성 초기 불교는 부파불교고, 대승의 성립 이후에 대승 쪽에서 상대를 부르는 멸칭이 소승이에요.
대승 이전의 초기 불교에 대해 소승이라고 했다면 그거야말로 오류 중의 오류입니다.
물론 대승불교 입장에서야 '고루한 전통'이라는 의미에서 기성 불교에 대해서도 소승이라고 불렀겠지만,
대체 그걸 우리가 그대로 받아들일 이유가 뭐냐고요.
일반적인 용어라서? 님 말씀대로라면 '사이비'가 퍼뜨린 삿된 표현이니
거부해야 옳은 거 아닌가요?
아직도 말귀 못 알아들겠어요?
멘토스 14-08-20 16:52
   
이제 그만 우기고 더이상 아는척 하지 맙시다^^ 그럼 이만 ㅎ
     
운드르 14-08-20 17:00
   
비겁하게 도망은 ㅎ
          
멘토스 14-08-20 17:01
   
도망이 아니라, 님은 억지 왕입니까??
               
운드르 14-08-20 17:07
   
아뇨, 님이 귀머거리 왕인거죠.
멘토스 14-08-20 17:02
   
나는 불교인이 아니며 불교를 믿는 사람이 아닙니다. 그들을 과거 부파불교를 소승이라고 부른다고 날 욕할 사람도 없고 학문적으로도 옳은 말이기 때문에 님이 지금 억지 주장을 하는 것입니다.
     
운드르 14-08-20 17:08
   
불교인이 아니거든 불교 일에 그렇게 아는 척 하지 마시든가, 알려면 제대로 알든가요.
시거든 떫지나 말라는 옛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닙니다.
          
멘토스 14-08-20 17:10
   
ㅎㅎㅎㅎ 전문가 앞에서 님의 말과 나의 말과 논했는데 누구의 손을 들어줄지 아직도 모른단 말이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운드르 14-08-20 17:12
   
어떤 전문가요? 일단 데려와나 보시죠 :)
          
멘토스 14-08-20 17:11
   
그러길래, 아는척 하면 항상 결국 이렇게 실수를 하게 되어서 오히려 화를 입게 되는 것입니다^^
               
운드르 14-08-20 17:12
   
누가 화를 입었다고 하시죠? 전 멀쩡하고, 제 말이 잘못이라고 하는 분도
자칭 천재님 한 사람밖에 없는데요? :)
                    
멘토스 14-08-20 17:18
   
그럼 이것을 공개적으로 글을 올려 보세요^^
                    
멘토스 14-08-20 17:18
   
여기서 숨어서 말하지 말고 공개적으로 논해 봅시다 ㅎ
                         
운드르 14-08-20 17:28
   
그럼 아무데나 올려 보세요. 근데 여기는 무슨 골방입니까?
여기도 충분히 보는 사람 많습니다.
그리고 난 귀찮으니 댁이 올리시길.
그렇다고 댁이 다니는 교회 홈피 같은 데 올리지는 마시고 :)
                         
멘토스 14-08-20 17:31
   
내가 올리면 공격을 하는 놈들이 많으니, 님이 올리셔야 내가 즐겁게 불교를 깔 수 있잖소 ㅎㅎ 이미 도망칠 준비하시는군요 ㅎ
                         
멘토스 14-08-20 17:32
   
먼저 올리시는 사람이 기선제압을 할 수 있고 자신에게 유리하게 글을 쓸 수 있는 기회를 준 것인데, 그것까지도 거부하시고 나에게 기회를 주시겠다 이겁니까?? ㅋㅋㅋㅋ
                         
멘토스 14-08-20 17:37
   
내가 운드르님을 생각해서 오늘은 이만 넘어가겠소 ㅎ 님처럼 따라다니면서 나를 한번 이겨 보려고 했던 것을 그래도 그 열정을 가상히 여겨서 님이 더이상 사람들 앞에서 부끄러움을 당하지 않도록 여기까지 해 드리지요^^ 다음에도 나에게 도전할 수 있도록 말이요^^ 오늘 더 지속하면 님이 험한 꼴을 당해서 도망치는 신세가 되면 나 또한 마음이 편치 않으니, 오늘은 여기서 중단하도록 하겠소, 허나, 더 하고 싶으면 언제든 올려 주시오 ㅎ
                         
운드르 14-08-20 17:38
   
하나만 고르세요. 기회를 드리는 건지 도망칠 준비를 하는 건지.
왜 이렇게 못 읽어내서 갈팡질팡하시나요? ㅎ
한 번 그 멋들어진 지성과 논리로 절 논파해 보시라고요.
그런데 이 세상의 범인들이 님 논리를 과연 이해할지 모르겠네요.
원래 천재는 고독한 법이니 아무도 님 주장에 수긍 못한다 해도 너무 실망 마세요 :)
                         
운드르 14-08-20 17:39
   
네, 무사히 퇴각하시는 걸 축하드립니다.
참 쇠심줄 같은 멘탈을 지니셨네요... 부러워요 :)
                         
멘토스 14-08-20 17:41
   
님이 불쌍해서 이렇게 넓은 아량으로 봐주고 있는데,, 그렇게 끝까지, 자존심 세우면서 말을 합니까?? ㅎㅎㅎ
                         
멘토스 14-08-20 17:42
   
님이 그렇게 하셨으니, 저축 해놓았습니다 ㅎ 님이 언제든 또 이상한 소리를 하면 오늘 일을 공개하지요 ㅎㅎㅎㅎ
                         
운드르 14-08-20 17:56
   
저도 그럼 저축해놓도록 하지요.
이제 앞으로는 남한테 진지하게 글 쓰라고 말하지 못할 겁니다 :)
우왕 14-08-20 18:22
   
제대로 관심 주셨네
     
운드르 14-08-20 19:57
   
뭐, 저도 제정신 박힌 놈은 아니에요 ㅋㅋ
어디까지 버티나 보자 했는데, 결국 점잖은 척 꼬리 말고 도망가는군요 ㅎ
꼰용이 14-08-20 18:23
   
한국불교도  초기불교가본격적으로 확대되는 1990년대 초까지 아무렇지않게 소승ᆞ소승  썼었고 실제 소승의 의미에
낮고 부족한 것 열등한  의미로 썼었구요

지금 현재 한국불교계는 초기불교경전중심으로
확대되어가면서 
소승보다는 근본ᆞ초기불교로
통영되어 가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는것 같습니다

현재 동남아 불교나라와  종교 교류도 상당히 늘어났구요

 그래서 저의 입장은
소승이란  단어를 안쓰면 좋겠지만
쓴다고해서
이것은 한국불교가 이때까지 저질럿던 잘못된 행위에 대해
반성해야 할 부분이기에  남이 썼다고해서 뭐라 하기 그러네요

아마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국불교가 보다 적극적으로
기초ᆞ근본불교라는 말을 사용하다보면 일반인에게도
자리잡을 것이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