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5-10-14 12:15
컵밥,닭강정,부대찌개 이런것도 한식이라 할수있죠?
 글쓴이 : 타마
조회 : 2,146  

한식은 말 그대로 한국요리지만,

우리나라사람들은 한식하면 대부분 전통음식만 생각하고,


근현대에 생긴 음식들은 한식으로 안받아들이죠.


컵밥같은건 노량진에서 생긴 먹거리인데 이런음식들도 한식맞죠?

밥버거는 서양음식인 햄버거에 본딴거라 한국음식이라 하긴 그런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서클포스 15-10-14 12:30
   
양념 치킨 도 일종의 한식.. ㅎㅎ;;
군말 15-10-14 12:33
   
한식이죠, 다만 전통음식이 아니거나 퓨전인거죠
자파리 15-10-14 15:22
   
전통음식이란 기준이 참 애매한 면이 있죠.
언제부터라는 확실한 기준이 없으니 말이죠.
다만, 음식문화라는게 원래 초기 형태에서 그대로 유지되기보다 이런저런 변형 등이 가해지면서
발전해온 거라서 우리만의 독창적인 요소가 가미돼서 우리식으로 변화된 요리라면 당연히
한식이라로 불러도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sunnylee 15-10-14 15:51
   
다큐보니..
한인들이 푸트트럭으로 컵밥 브랜드화....
한국음식으로 알고있음..
격식,원류가 중요한게 아니라 음식은 맛인듯..
아마란쓰 15-10-14 16:59
   
한국에서 근래 만든건 한식으로 인정 안하려고 윗분들은 생각하시더군요..
개인적으로 이해 안되는건 역사도 꽤 되는 찜닭은 왜 한식으로 인정 안해주는지 이해가 불가
SmaIl 15-10-14 17:29
   
당연히 한식이죠..
우리나라는 한식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음
또 타국이랑 원조시비붙기전에
오순이 15-10-14 17:51
   
한식이란 표현은 좀 엄격함이 들어 있는 표현 같은데요.
어느 날 압구정에서 감자에다 간장쏘스로 맛을 내서 튀겨 팔고 있는데
인기가 좋아요.. 이게 한식이라고 하기엔 뭐하죠,. 금방 없어지고 생기고
정착한지 얼마되지도 않는 걸 한식이라고 하긴 무리가 있죠.
적어도 김치나 된장찌게 잡채,갈비 등등 오랫동안 먹어왔고 많은 국민이 좋아하는
음식이라야 한식이라고 할 수 있죠.컵밥 같은 건 한국식 페스트푸드라고 할 수 있죠.
한 예로 우리가 십년 전 부터 목 깃이 긴 옷을 많이 입고 인기가 좋아요 . 이게 한복 일까요?
한복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고요. 한국 스타일 옷이라고 하겠죠.
한식은 한국음식이나 한국식 음식과 다른 전통적인 똣이 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SmaIl 15-10-14 23:17
   
일본의 경우 근대에 들어서야 고기를 먹기 시작했지만 일식이라 불리우는 음식에 고기들어간 음식 많잖아요. 근데 우리나라는 한식이라하면 무조건 몇백년이상된 음식을 떠올리곤 합니다. 이게 가장 큰 걸림돌이죠.압구정 감자요?저는 그것도 한식이 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그렇게 인정하면 끝이에요. 누가 딴지를 걸겠습니까. 돈까스도 일식이 되는 판국에...
마파두부가 중국음식이잖아요? 근데 마파두부는 청나라말기에 한 식당에서 팔기시작한 음식일 뿐입니다. 근데 이 마파두부는 곧 대박나고 사람들에게 퍼져나가게되죠. 그렇게 중식이됐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사례인 찜닭은 한식으로 인정되지 않죠. 한국인들의 그 이상한 기준때문에.
도대체 그 '오래'라는 기준은 누가 만든것이고 누구를 위한 겁니까?
만약 그 기준이 일식에 적용된다면 고기가 들어간 일식은 모조리 일식에서 빼야죠.
왜 돈부리 덮밥은 일식이라 부르면서 찜닭은 한식이 될수 없나요?
소리없이 15-10-14 19:35
   
전통한식과 한식은 분명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육계장만 해도요. 전통식은 고기가 거의 없습니다. 고기가 귀한 시절 육계장과 지금의 육계장은 과연 같은 음식인가 싶을 정도로 다르죠. 국민먹거리인 삼결살구이와 양념치킨도... 불과 100년 전만 해도 먹지 않았던 음식이죠.

 본문의 논리대로라면 과연 육계장은 한식인가의 의문이 생기죠. 그리고 결정적으로 님의 시각은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컵밥이 수백년뒤 후손에게 가장 전형적이고 전통적인 한식의 종류로 인식될지도 모르는 일이고요.

 결국에 사회 구성원이 그걸 한식으로 받아 들이냐의 의식의 문제라고 봅니다. 마치 언어와 비슷하죠. 수십년전에 비속어로 등록된 단어들이 지금은 정식으로 한글에 편입되기도 하거든요.
소리없이 15-10-14 19:42
   
컵밥 닭강정 부대찌게가 한식인가 아닌가의 문제는 지금 구성원들이 애매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반증입니다. 양념치킨 삼결살은 사화구성원이 당연히 한식이라고 인식하고 있는것과 같은 이치죠.

 언급한 5가지의 음식은 사실 보수적인 전통한식과는 거리가 멀죠. 하지만 전자와 후자가 다르게 인식되는건 결국 그 문화구성원들이 얼마나 자주 먹어서 그걸 "한식"으로 인식하느냐 안 하느냐의 차이일 뿐입니다.
9timez 15-10-14 19:44
   
육개장하고 육계장 먼저 구분을 해야 될 터인데...
     
소리없이 15-10-14 20:57
   
흔히 닭개장이란 표현이 더 많이 쓰이긴 하죠. 핵심은 머... 전혀 다른 음식이다...머 이겁니다. 과거 고기가 귀한 시절엔 소고기로 개장을 한다는건 상상하기 어려운 시절이 있었죠.
멍게 15-10-15 12:35
   
일본식 라면이나 돈까스도 생긴지 얼마 안됬지만 대표적인 일식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