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5-06-09 14:07
독감과 결핵에 관한 통계정리. (환자수와 치사율을 기준으로)
 글쓴이 : 다잇글힘
조회 : 2,726  

계절성 독감 (Influenza)





1. WHO


Worldwide, these annual epidemics are estimated to result in about 3 to 5 million cases of severe illness, and about 250 000 to 500 000 deaths.

3-5백만명의 심한증상을 보이는 환자와 25-50만명의 사망. 따라서 치사율이 10퍼센트 안팍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의 기준은 severe illness고 병원진료를 받지 않는 사람까지 고려하면 이보다
분모가 훨씬 커진다고 봐야함



2. 한국

년도별 인플루엔자 진료환자수 

flu1.jpg



년도별로 진료환자수가 큰 차이가 나지만 2013년을 기준으로 20만명 수준





2013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flu2.jpg





인구10만명당 0.1명으로 한국인 5천만명을 감안하면 매년사망자는 대략 50명정도




인플루엔자에 의한 연도별 사망자수는 평균적으로 2000년대는 70명정도 2010년을 넘어서는 50명정도로
큰 변동이 없음.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라고 



따라서 50명정도를 감안해서 2013년 진료환자를 기준으로 치사율을 계산하면 대략 0.025퍼센트밖에 
안됨. 더군다나 진료환자를 기준으로 했다는 점에서 진료하지 않은 환자까지 따지면 실제 치사율은 더
떨어짐. 더군다나 2010년도를 기준으로 하자면? 소수점 한자리가 더 떨어짐. 계절성 인플루엔자(독감)
에 의한 치사율은 사실상 건강한 성인에게는 거의 의미가 없는 수치임. 실제 사망자의 80퍼센트 이상
이 60세 노인이상임을 감안하면.

시중에 떠돌아다는 독감의 치사율은 아마 WHO자료를 바탕으로 한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우리나라의
통계조사를 바탕으로 계산해보면 위에 설명한바와 같이 거의 의미가 없는 수준이라고 봐야함.


==================================================================


결핵



1. 한국 환자수와 치사율 (WHO 자료)


tb1.jpg




매년 2700명정도 사망하고 7만명정도의 환자수를 유지하고 있음.

질병관리본부 자료와는 약간 차이는 있음(2400명정도)





2. 결핵 신환자 발생통계 (국가결핵통계포털시스템)

tb2.jpg



매년 3-4만명정도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고 있고 2012년까지 매년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따라서 신환자 기준으로 치사율을 계산하면 대략 6-10퍼센트 안팎이 나옴 
다만 신환자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고 사망자는 줄어드는 추세라 전반적으로 치사율은 이 수준에서
유동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봐야함.  WHO 자료를 보더라도 치사율은 전세계적으로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음.

참고


tb3.jpg


여기서 Incidence는 신환자, Prevalence는 현재환자전체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모래니 15-06-09 14:19
   
     
다잇글힘 15-06-09 14:20
   
http://media.daum.net/society/welfare/newsview?newsid=20090908134108285


지난 10년간 감염성 질환 사망자는 4만여 명이며 특히 바이러스 간염 사망자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702명의 사망자를 낸 인플루엔자 감염의 경우 60세 이상 노인 사망이 두드러진 것으로 드러났다.

8일 통계청이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에게 제출한 '특정감염성질환 연도별 사망자 현황'에 따르면
============
 
10년동안 702명 사망자와 한해 2000명 사망이라 ....
차이가 나도 너무나 차이가 나는군요 ^^
실제 제가 올린 통계청 자료만 봐도 뭐가 맞는지 금방 알수 있을것 같네요 ^^
Banff 15-06-09 14:51
   
http://en.wikipedia.org/wiki/1918_flu_pandemic
http://ko.wikipedia.org/wiki/페인_독감

한국에서는 흔히 무오년 독감(戊午年毒感)이라고 하는데 740만 여명이 감염되어 14만 여명이 희생되었다.

---

1918년 스페인 독감 (H1N1 조류독감)
98% 완치, 2% 치사율로 사망해서 총 14만명 사망.
     
다잇글힘 15-06-09 15:00
   
제가 올린 자료는 Seasonal Influenza - 계절성 또는 유행성 독감을 말합니다.
보통 줄여서 독감이라고 하죠. 이런 influenza는 풍토병화(endemic)해서 주기적으로
계속해서 찾아옵니다. 스페인독감이나 기타 지난 세기동안 유행했던 독감들도 이제는
이렇게 풍토병화되어서 일반적으로 독감이라 이야기합니다.
          
모래니 15-06-09 15:04
   
아까 링크하셨던 pdf 파일은 왜 삭제하셨나요?
               
다잇글힘 15-06-09 15:05
   
어떤 pdf 파일이요? 인터넷 링크를 제가 삭제할수 있나요? ㅋㅋ
                    
모래니 15-06-09 15:08
   
뭐 하여튼 아까 링크하셨던  파일 대충 흝어보니, 2천명 사망이라는게 뭔가 문제가 있는 숫자더군요. 기사를 쓴 기자가 뭔가를 착각했던 모양.
                         
다잇글힘 15-06-09 15:23
   
아 그거 댓글 썼다 지운거 말씀하시는것 같군요.
그건 제가 위에 호흡기계통 환자 사망자 수와 관련해서 잘못추론을 해서 올렸다
지운거에요. 혹시나 질병관리본부에서 그걸 가지고 발표한게 아닌가 생각해서

어차피 그것도 이 게시글에 있는 자료입니다. 따로 새로운 링크는 아닙니다.
          
Banff 15-06-09 15:06
   
WHO는 독감을 풍토병으로 단정지은바 없고, 스페인독감류의 global pandemic을 예의주시하고 있어요. 

단, MERS는 에어로졸형태로만 전파되어 SARS보다 전파력이 약하지만, 공기중 전염가능한 RNA 돌연변이를 매우 경계중인 것이에요.
               
다잇글힘 15-06-09 15:08
   
당연히 풍토병으로 단정지을수가 없죠. 인플루엔자 종류가 한두가지가 아니니까요.
다만 과거에 유행했다.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이미 어느정도 알려진 인플루엔자는
풍토병화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새로운 유형이거나 아직까지 계속해서 유행하는 녀석들은
따로 독감이라고 하지 않고 subtype을 일일이 이야기하구요.  endemic influenza만 가지고
검색을 해보세요 ^^
                    
Banff 15-06-09 15:12
   
그래서 MERS의 RNA돌연변이를 주시하는 이유에요. 다행이 돌연변이 없는걸로 나와서 학계에선 한숨은 돌렸지만요.

그리고 전염력이 중요하지 치사율은 의미없어요.
                         
다잇글힘 15-06-09 15:15
   
메르스는 새로 확인된 subtype이잖아요? 당연히 그냥 독감이라고 부를수 없는 녀석이죠.
전염력이 중요한지 치사율이 중요한지는 어차피 제가 이 게시물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함은 아닙니다. 단지 환자수와 치사율의 통계적인 자료를 언급한것 뿐이구요. 그에 대한
해석은 저에게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잇글힘 15-06-09 15:13
   
보통 언론에서 독감이 유행할거다 이야기를 하는데 그게 해마다 엄밀히 말하면 다 다른겁
니다. 물론 똑같을수도 있구요. 다만 풍토병화한 subtype의 influenza의 경우 따로 앞에
수식이나 subtype이라고 이야기하지 않고 그냥 독감이라고 이야기하죠. 그러한 풍토병화한
인플루엔자를 우리가 흔히 독감이라고 부르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