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8-09-23 13:22
일본 음악시장에 관한 진실
 글쓴이 : 콩까지마
조회 : 3,297  

일본의 음악시장이 우리나라의 20배라니, 겨우 2배라니,
공연시장규모가 크다느니, 음반은 아직 잘 팔린다느니,
그게 언제적 이야기라느니 그런말이 상당히 많음.

그래서 국제음반산업협회(IFPI)에서 조사한 내용을 분석해 봄.
여기 설립이 1933년이고 전세계의 음반업계를 대표하는 이익단체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느냐는 본인들이 조사해보면 알것임.


2017년(작년) 일본의 음악시장은 한국의 5.5배
2012년에는 23.6배였었음. 
일본은 음악시장 침체와 엔화약세의 영향으로
5년동안 44억달러에서 27억달러로 감소.
한국은 같은 기간 1억8천7백만달러에서 4억9천4백만달러로 증가.


일본의 공연시장은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다.
전체의 5%로 세계에서 보면 열악한 수준
다만 4%인 한국보다는 나음.
전체 크기는 한국의 6배정도.


일본의 디지털음반시장은 겨우 21%로 조사한 곳 중 최악의 비율.
대신 72%를 실물시장에 기대고 있음.
그 이유는 음반에 딸린 악수회권과 굿즈 판매.
일본 아이돌들은 굿즈 판매로 먹고 산다는 말이 있을 정도.
우리나라는 59%로 평범한 수준.


2012년 일본의 음악시장은 44억2천만달러로
미국의 44억8천만달러와 거의 흡사한 2위였으나
2017년에는 59억달러의 미국과 겝이 상당한 27억달러의 2위임. 
그래도 13억달러로 3위인 독일보다 2배이상차이가 남.
우리나라는 2017년(작년) 세계 6위 시장.


출처 위키백과 국제음반산업협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열혈소년 18-09-23 13:31
   
우리나라가 인구가 적은데도 이 정도면 선빵하는거...
골드에그 18-09-23 13:33
   
음반에 악수권이나 콘서트 추첨권 같은거 끼워팔기..이런건 우리나라에 안들어오길.. 트와이스 다좋은데 유일한 불만이라면 악수회 열화버젼인 하이터치권 끼워팔기하는거 제발 그런건 일본 따라가지 말자.
     
초이초이 18-09-23 14:24
   
악수회같은 쓰레기 상술 쓰는 빅뱅이나 엑소, 방탄, 여자친구 같은 그룹들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우리나라 팬싸인회는 건전한 상술이라 생각하시나요? 여기도 깍지 끼고 하는 정도는 그냥 봐주는데..... 정신적으로 스트레스 받는 건 하이터치회보다 당연히 훨씬 힘들고요
          
골드에그 18-09-23 14:35
   
물론 전부 반대입니다. 당연한거 아닙니까..솔직히 트와이스는 좋아해서 기사를 접해서 알고있어서 예를 든거고 위에 열거된 그룹들은 일본활동 기사를 접한적이 없어서 잘모릅니다.제가 알고 있는게 트와라서 예를 든거뿐인데..
샤우트 18-09-23 13:45
   
우리나라 공연시장은 제대로 통계가 안잡힙니다
행사 다니는 거 현금 받고 다녀서 반 이상은 매출누락 탈세해요
     
바람노래방 18-09-23 14:52
   
우리나리는 탑티어 빼면 거의 대부분 이런 행사로 먹고 살고 있죠
깡패 18-09-23 14:00
   
악수권은 없어져야 함.. 미성년자들이 다수인데.. 그건 어른들도 견디기 힘든 정신노동임..
서울특별시 18-09-23 14:14
   
우리나라 가수들도 지방 행사, 대학교 축제 수익을 정확하게 통계 내면 저것보다 최소 2배는 뛸껍니다.

대부분의 가수들이 행사로 먹고 사는데, 이건 현금박치기라서 통계에 안잡히죠.
알브 18-09-23 14:39
   
우리나라의 IFPI 가입은 2014년이라서 그 이전 자료는 믿을게 못될거에요.
스랜트 18-09-23 14:58
   
어디서 정리해놓은 것 보니
IFPI에 가입한 일본 음반 유통사들의 수와 (일본은 대부분 가입)
우리나라에서 가입한 음반유통사들의 수가 차이가 많이 나던데? (우리나라는 몇개만 가입)

결론은..음반 유통 금액 데이터를 제공하는 업체수가 틀리기 때문에 IFPI 자료가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기 보다, 대표성이 없다는..
     
인피니트 18-09-23 15:13
   
저도 같은걸 본것 같네요.

IFPI는 가입한 음반회사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영향력이 크지 않은 일본계 회사 두곳만 가입되어 있고,
그 두 회사만의 데이터로 산출한 결론은 우리나라 전체의 음악시장 규모를 제대로 반영하는게 절대 아니라고 했던것 같습니다. 

제 기억이 조금 틀릴수도 있습니다만, 이런 내용이었던것 같아요.
으힉 18-09-23 15:10
   
2012년에 비해서 엄청 작아졌네
스크레치 18-09-23 15:26
   
제가 몇몇곳에서 세계 음악시장 현황 조사한거 본적이 있는데

대한민국은 세계 6~9위권으로


무조건 10위권 안에 들어오는 거대한 음악 시장이었습니다.



오히려 중국이 경제규모에 비해서 엄청 낮은 규모인 거의 20위권이었구요




최근 대한민국 아시아 최고 문화강국으로 도약하고 치고나가자

일본놈들이 또 하나 정신승리 하기 위해


뭔 자꾸 음악시장 규모가 크네 뭐네 하는거 같은데


미국은 음악시장이 작아서

현재 세계 최고 문화강국이 된겁니까?



오히려 일본은 자국 음악시장이 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이 아시아 최고 문화강국으로 도약했다는건

부끄러워 해야할 일입니다.
물한잔주쇼 18-09-23 15:37
   
일본은 밴드음악시장이 발달되있죠
울나라는 아이돌 위주의 충성도 높은 팬들을 위한 시장이죠
피에조 18-09-23 15:45
   
미처 몰랐던.. 좋은글 잘 봤습니다.
벨페스트 18-09-23 16:45
   
근데 재즈나 클래식같은거 비교해보면 우리나라랑은 비교도 안될건데요.
     
tuygrea 18-09-24 03:46
   
왜노들이 언제 재즈, 클래식 시장으로만 비교하던가요?
저렇게 음악시장 전체로 거들먹거리니까 팩트를 재조사한건데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