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20-05-09 00:50
학교 개학 어떻게 생각들 하시나요?
 글쓴이 : 알라
조회 : 635  

1.학원은 이미 영업하고 있으니 학교 개학도 상관없다.
2.학교는 훨씬 대규모 인원이기때문에 위험하다.

언제까지만 참으면 이제 개학해도 된다는 기준이 없으니, 
그냥 미루다가는 단체유급이 되는건 아닌지 궁금하기도 하고 
또 했다가 대규모 감염이 생길 가능성이 있어 걱정도 됩니다.
몇 주 더 있다가 개학하자는 의견도 많은데 타당해보이기는 합니다.
그런데 그때가서는 정말 안전한가요?
백신 나와서 접종할때까지는 안전하다는 보장이 없다고 생각이 들어요.
9월 학기제하자는 말도 있는데 전문가들은 가을, 겨울에 2차가 온다고 거의 확신하는 것 보면 
그것도 별로 소용이 없어보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로보콩 20-05-09 01:01
   
어려운 문제내엽...
한국정부는 적어도 코로나 방역에 대해서 아주 잘했다고 평가 하고 있읍니다...
하지만 방역 잘한것과.. 한국에 코로나가 없다는것과는 상관 관계가 없죠...
막말로 아무리 방역 잘해도 숨어있는 코로나까지 다 잡았다는 보장이 없읍니다..
.
정상화는 시키야 하는개 정상이고.. 단계를 발아가면서 해야 갯죠...
단... 아이들은 가장 안전하다고 판단될때 개학해야죠....
적어도 국내 환진자가 2주동안 0명일때 개학하는개 어떨까 합니다...
     
알라 20-05-09 01:07
   
맞는 말씀이긴한데 2주동안 0명이 가능할까요?
무증상자가 있어서 언제든 확진자는 나올 것 같아요.
코로나때문에 일상이 파괴되고 다시는 예전 삶으로 돌아가지 못한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 상황이 되는 것 같습니다.
          
kahneman 20-05-09 02:56
   
정말 어려운 문제 맞네요. 연구 결과 보면 무증상 감염자 비율을 50%로 추정하는 경우도 있고, 우리나라 현재 인구 1000명당 검사자 수는 약 13명 정도(정확하진 않습니다) 어찌 되었건 2% 미만입니다. 즉 인구 100명당 98명은 검사를 받지 않았다는 의미라서. 이 중에 무증상 감염자가 분명히 존재할 겁니다. 또한 국내 감염자 중 6~7%는 감염경로를 아직 모릅니다 (이것만 해도 대단한 수치지만) . 그리고 지역사회 감염 규모가 가장 큰 지역(TK), 거주 인구, 유동 인구 모두 많고, 확진자 수 2위인 수도권 ㅠ. 활동성 높은 학생들 고려하면, 아무리 사전대응을 잘 한다고 해도 분명히 학내 감염이 발생할 겁니다. 아무리 대응을 잘 한다고 해도, 정책 과정에서 초기 시행착오 과정도 분명히 있을 것이고, . 참 어려운 문제네요. 
다만, 조금 잔인한 이야기지만, 산업을 예로 들면, 어떤 산업이던지 산재로 인한 피해자가 존재한다는 가정에서 산업 활동을 합니다. 오해하지 마세요. 인명을 경시한다는 이야기 아닙니다. 비용최소화를 목적으로 한 기업의 안전불감증을 강조하거나 쉴드칠 목적도 아니구요. 안전장치를 확실하게 마련하고 정상적으로 운영한다고 가정했을 때조차 산업 현장에서 산업 재해가 거의 필연적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발생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ㅠ 즉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상황에서도, 현실적으로 피해 0 상황을 기대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ㅠ 피해 0 상황을 예상하는 것이 오히려 현실 외면에 가깝지요. 즉, 일정 수준의 피해를 예상(물론 피해 0를 원하지만)하면서도, (마치 통계학에서 5%이내의 사건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기는 것처럼) 산업을 움직이는 겁니다. 마치 수율 100%를 목표로 하지만 불량품이 나오는 것처럼요. ㅠ
감염이 만연한 상황에서 시작을 할 수는 없겠지요. 하지만 확진자가 0라고 해도 감염자가 없다고 볼 수도 없고, 참 어려운 문제네요. 심지어 학교 개학 이후 확진자가 나오지 않아도, 이런 좋은 결과가 오히려 경각심 완화와 부주의로 이어져서 감염자가 발생할 위험도 있습니다.  즉 안전한 백신과 치료제가 나오지 않는 한 항상 위험은 있지요. .
단계적 학교 개학을 앞두고, 이태원 클럽 사건이 터졌으니 참 미묘한 시점이네요. 긴장이 완화된 분위기 속에서 오히려 다행으로 여기셔도 되고, 좀 우려섞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도 이해가 되고 ^^ 학생들 건강했으면 좋겠네요.
저개바라 20-05-10 16:50
   
2번요
학습이 1,2년 정체 되는 게 낫지 안전하지 않은 건 반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