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21-11-05 14:08
에너지대란 부른다....탄소중립·탈원전 양립 불가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614  


정부가 최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2030 NDC’ 를 확정한 가운데 현재 탈원전 기조대로라면 전기세 인상 등 에너지 대란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신재생에너지와 가스의 발전단가는 원자력에 비해 훨씬 높아
전기요금이 폭등하는 것 아니냐....국민들의 우려

탄소중립에 따라 화석연료가 전기로 대체되면서 향후 전력 수요는 최대 2.5배가량 늘어날 전망인데 상대적으로 값싼 원자력 및 화력 발전 등은 축소 또는 퇴출 수순을 밟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재생에너지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지만, 현실적이지 않은 정책이란 에너지 전문가들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쿠키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탈원전 기조를 유지하면서 탄소중립을 추진하겠단 현 정부의 정책은 너무 비현실적인 얘기”라며 “한 국가의 정책 계획은 미래에 관련 기술이 개발되리라는 낙관적인 전망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정책이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지 검토하고, 최대한 보수적으로 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탄소중립을 위해 화석 연료 등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원전을 완전 포기해서는 결코 안정적인 에너지 정책을 펼칠 수 없다”면서 “과거 탈원전을 추진했었던 영국도 전력 수급을 위해 다시 원전을 돌리고 있고, 최근에는 그 비중을 높이는 추세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력 생산단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원자력 발전을 퇴출시키고,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석탄·석유 등 화석 연료 기반 발전도 줄여나갈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 생산된 전력의 80~90%를 부담하는 원자력(약 25%)·화력 발전(약 65%)을 재생에너지로 대체 공급한다는 건 비현실적이다.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재생 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을 대폭 늘린다고 하더라도 조정할 수 없는 재생에너지 특성상 전력이 과잉 공급되거나 부족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한국전력이 올해 6월 발표한 국가지표체계 1인당 전력소비량에 따르면 한국의 전력소비량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1인당 전력소비량은 1990년 2202kWh에서 2000년 5,067kWh, 2010년 8,883kWh, 2019년 10,039kWh로 증가했다. 향후 전기가 쓰이는 곳이 더욱 늘어나면 전력소비 수요량도 커질 게 불 보듯 뻔하다.

결국 필요한 전력 수요량은 늘어나는데 비싼 비용을 들여 재생에너지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곧 도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산업용·가정용 전기료 지속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도 논평에서 “제조업 비중이 높고 상품 수출이 경제를 뒷받침하는 국내 현실을 고려할 때 탄소 감축과 넷제로 달성을 위한 향후 여정은 기업뿐만 아니라 국민의 삶에 큰 도전 과제이자 부담이 될 것”이라며 “탄소감축 관련 혁신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과 관련해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책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탈원전 정책이 현실화되려면 원전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 마련이 필수다. 정부는 풍력, 태양광, 바이오매스 등 신재생에너지와 천연액화가스(LNG)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원전의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취지에 많은 국민이 공감하지만 신재생에너지와 가스의 발전단가는 원자력에 비해 훨씬 높아 자칫 전기요금이 폭등하는 것 아니냐는 국민들의 우려가 큰 상황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모두 행복하세요.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05 14:08
   
푸른마나 21-11-05 23:35
   
탄소중립은 막을수도 없고 막아서도 안되는 상황이라 우선은 원전에 의존할수 밖에 없죠....
대신 원전에 대한 사고를 막기 위해서 원전을 감시할 환경론자들이 상주하는 식으로 전세계협의가 되었으면 좋겠음...감시하는 인력은 당연히 글로벌 환경단체에서 1년 단위로 바뀔수 있게 하고 환경단체는 파견할 감시원을 최대한 원전에 대해 잘아는 사람을 파견하는식으로 해서 최대한 원전사고를 예방해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