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7-04-11 16:25
文 '기본료 폐지' 공약에 이통사 반발 "사업 영위 자체 어렵다"
 글쓴이 : veloci
조회 : 609  

1491879384017.jpg

제19대 대통령 선거를 한달 앞두고 가계통신비 인하 압박이 본격화됐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기본료 폐지를 비롯한 '가계통신비 절감 위한 기본료 폐지 등 8대 정책'을 11일 발표했다.


단말기 지원금상한제 조기 폐지, 분리공시제 도입, 주파수경매 시 통신비 인하 성과 반영 등의 내용을 담고 있지만 핵심 공략은 기본료 폐지다. 통신사의 망 투자비용을 보전하는 취지로 도입된 기본료는 지난 2011년 이명박 정부 주도로 1000원이 인하됐다.

문 후보 측은 이에 대해 현재까지 통신사 모든 고객들이 기본료 월 1만1000원을 부과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문 후보는 "이동전화 기본료는 통신망을 깔고 통신설비를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이지만 통신망과 관련된 설비투자는 이미 끝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동통신 3사의 지난해 합산 연간 영업이익이 3조5976억원으로 지난 2014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하며 배 불리기에 나서고 있다는 비판이다.

특히 SK텔레콤이 지난해 추진했다가 무산된 CJ헬로비전 인수를 사례로 들며 풍부한 자금 여력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후보는 "이통사는 통신망 유지·보수에 기본료가 필요하다고 하나 통신사들의 영업이익이 수조원이고 사내유보금도 수십조원"이라며 "통신 기본료를 폐지해 기업에 들어가는 돈을 어르신과 사회취약계층에 돌려드리겠다"고 강조했다.

기본료 폐지는 민주당이 지난 2012년 대선 때 '전면 재검토'를 공약했고, 이후 2014년 '폐지' 당론을 확정했던 대표적인 통신정책이다. 문 후보 측은 통신기본료가 폐지되면 2G와 3G 이용자 1500여만명, LTE 사용자(월정액) 4600여만명에게 요금인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이동통신사들은 기본료가 현재 대중화된 스마트폰의 '통합요금제'에서는 유효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과거에는 기본료에 음성통화, 문자메시지 등의 사용량에 따라 추가 요금을 더하는 표준요금제였지만 현재는 월정액제 형태의 통합요금제라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월정액 1만1000원 인하 시 정상적인 경영 자체가 어렵다"며 "모든 소비자에게 이같은 혜택을 적용하면 연간 8조원 이상의 영업이익 감소가 발생해 이통사들이 적자전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5G 통신망 등 네트워크 고도화가 지연돼 세계 최고의 ICT 산업기반이 와해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동통신산업은 초기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는 장치 산업이다. 이용자 증가에 따라 초기 손실을 만회하고 수익을 토대로 재투자하는 구조로 현재 이통사들은 5G 투자를 진행 중이다. 통신망 투자가 끝나 기본료를 인하해야 한다는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다.


이통사의 사내유보금이 수십조원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박의 목소리도 나온다. 사내유보금은 기업이 설립 이후 벌어들인 누적 이익에서 외부 지출(배당 등)을 제외한 금액으로 요금인하 여력을 의미하는 현금 보유액과는 무관하다는 설명이다. 이통3사의 현금성 자산은 1~2조원 수준으로 연도별 편차는 있지만 사내유보금의 10% 미만이라고 전해졌다.


기본료를 폐지하더라도 요금인하로 연결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요금 1만1000원을 인하하면 이통사가 수익 보전을 위해 종량 요율 인상, 제공량 축소 등을 이유로 요금을 오히려 인상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마케팅 비용 축소를 유발해 이용자의 단말구입비용 증가, 유통망 붕괴 등 문제도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강제적이고 인위적인 요금 인하보다는 시장 경쟁 촉진을 통한 가계통신비 절감이 바람직하다"면서 "차라리 데이터 제공량을 추가로 제공해 소비자 혜택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훈훈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복불복 17-04-11 16:27
   
ㅅㅂ 기본료폐지는 진작에 했어야 하는건데...
물한잔주쇼 17-04-11 16:28
   
민주당 이번에 일 한번 기똥차게 해보자
자유생각 17-04-11 16:32
   
기본료 완전 폐지도 좋고, 통신사에서 요금상승 어쩌구 하면서 반발하면
기본료 없는 요금제를 신설해 고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괜찮을 듯.

통신사들의 반발이 있다는 것 자체가 기본요금이 고객에게 불리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신회사만큼 땅짚고 헤엄치 듯 장사하는
업종이 또 있나 싶을 정도다.
허당 17-04-11 16:32
   
오늘 이통사 3사 주식 .. 폭락 이유군여 ㅋㅋㅋㅋ 계속 떨어지겠네여 ㅋㅋ
뭐지이건또 17-04-11 16:33
   
ㅋㅋ이통사 쓰레기들 독점하면서 처먹는게 얼마인데 저런 소리를 하네..

무조건 폐지 갑시다. 좋다.
모니터회원 17-04-11 16:36
   
제가 알뜰폰 '제로 요금제'를 쓰고있는데 이게 기본료가 없는 요금제죠.
제가 전화통화가 적은편이지만 한달 통화료가 1000원 ~ 2000원 정도밖에 안나와요. (인터넷 사용안함)
기본료가 통신비에서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지 극단적으로 알수있죠.
통화를 거의 하지않는 달은 500원 미만일때도 있을정도입니다.

저 기본료는 거의 이통사 고정수입이라는 얘기죠.
거기에 인터넷 사용료까지 붙으면 다 안써도 기본료가 어마어마 해지죠.

그나저나 내년되면 '단통법' 자동으로 폐기되는 걸까요?
DarkNess 17-04-11 16:40
   
진작에 했어야했던 일인데...공약이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