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12-26 11:36
성장논리의 한계와 분배의 진정한 의미
 글쓴이 : 남만맹덕
조회 : 814  

사실 단순히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이나 노동, 자본과 생산성 요소 투입만으로도 성장이 일정정도 가능한
저개발 국가와 생산성 요소 투입 자체가 정점에 놓여 있어서 생산성향상 즉 단순히 생산요소의 저렴함이
아닌 고급기술력이나 서비스부분이 성장률에서 보다 중요할 수밖에 없는 선진국을 동일선상에 놓고 비
교하는건 좀 넌센스라고 보고.... 어차피 사회가 점점 고도화되갈수록 대내외적으로 새로운 외부요소(새
로운 자원발견, 정치경제외교환경의 급격한 변화, 비약적인 기술발전)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 단순히 고정
되고 고립된 환경하의 연속성상에서 보자면 성장잠재력은 계속해서 떨어질수밖에 없음.


그리고 어차피 중요한것은 유효수요고 그러한 유효수요가 늘어남으로서 투자가 활성화되고 성장으로 나아
갈수 있는것인데  경제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소. 예를들어 인구노령화라든지 교육수준의 전반적인 하락  
또는 기업들의 전반적인 경쟁력 하락등이원인이 되어서 민간부분 스스로 투자를 늘릴수 없는 환경이라면
당연히  정부의 공공투자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 공교육 강화, 기술개발 지원등과 같은 분야로 나아
가는것이 맞음.  

물론 일본처럼 공공투자가 투자만큼의 제대로된 산출을 낳는 쪽으로 제대로 쓰인것이 아니라 건설업자들이
나 좀비기업가들에게 빠져나가는 것처럼 - 이명박 정부부터 현재 박근혜 정부까지 일본과 같은 실수를 반복
하고 있는중 - 투자가  잘못된 쪽으로 흘러들어갈 수도 있지만 민간부분으로는 한계가 있는 복지, 경제안전
망 부분. 교육 또는 기술개발자금쪽으로 쓰인다면 충분히 그에 맞는 결과물을 낼것이라 봄.

사람들의 말하는 분배정책의 핵심은 단순히 조세방법론과 같은 분배정의 그자체라기 보다는 고르면서 질
좋은 교육서비스(우수한 사회인 양성의기초요건), 고용서비스 및 고용환경 개선(고용불안제거), 기본적인 
복지환경개선(안정된 사회지표 유지를 위한 기초요건),안정된 경제피라미드 및 경제정의실현(건강한 경제
환경)과 같이 국민 개개인의 균등한 기회와 안정된 자본주의 그리고 실패하고 탈락한 자들을 다시 원궤도
에 올려놓는 안전판과 같이 기회와 재활용이라는 두가지 요소가 원할하게 유지할수있도록 정부가 적절하
게 개입하는걸 말하는 것임. 그래야 안정적인 유효수요가 계속해서 발생함. 단순히 조세방법론 하나만 가
지고 모든 요건이 다 충족되는것이 아니지만 더많은 이윤을 창출하는곳에서 더많은 자본을 가진곳에서 
회에 더많은 기여(?)를 해야하는 것은 지출이 아니라 투자라는 얘기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융융 14-12-26 12:39
   
글 요약 : 선진국과 개도국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건 넌센스다. 민간차원에서 자연적인성장이 한계에 부딛혔을때 정부가 국민의 교육, 복지등에 더 많은 세금을 할당한다면 일본처럼 경제성장한답시고 세금을 대기업살리는데 때려박는것보다 훨씬더 좋은 결과를 낼것이라고 본다.(글쓴이 가정) 즉 분배를 잘 해서 서민들을 키워줘야 서민들이 더 많은 소비를하여 내수가 활성화 되고 시장이 커짐으로써 경제성장률도 증가하고 그 이익이 다시 서민들에게 돌아가는 선순환이 발생한다.
     
남만맹덕 14-12-26 13:57
   
요약이라기보다는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을 정리를 해주셨네요. 어차피 핵심적인 얘기는 그 다 아는얘기를 요리꼬고 조리꼬고 약감 첨가한거에 불과합니다. 단 잘못 요약하신 부분이 전 분배를잘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드린적은 없고 국민들의 기회를 증진시키고 실패한 사람들을 다시 보듬어줄수있는 재활용 정책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융융 14-12-26 14:10
   
님이 그 다 알고있는 내용을 님의 말씀대루 요리조리 꼬고 약간 첨가해서 복잡하게 쓰신거구. 저는 그걸 다시 읽기 편하도록 간단하게 압축한거에요! 순수하게 글이 너무 길고 읽기 불편하길래 저같으신 분이 있으실까봐 정리해봤어염. 그리구 본문과 댓글에서 언급하신 질좋은 교육서비스, 안정적인 경제정의실현, 국민들의 기회증진, 재활용정책? 등에 정부에 투자하는것 자체를 저는 분배의 수단중 하나라고 생각했고 거기에 근거해서 썻습니다. 결론적으로 글쓴이의 의도와 다르게 요약한점 죄송합니다! 또한 리플이 달려버려서 수정이 불가능한점두 죄송합니다!
               
남만맹덕 14-12-26 14:17
   
네 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