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30 21:22
야구구단은 왜 해외에 선수를 보내는데 인색할까요?
 글쓴이 : 고사유
조회 : 533  

음....뭐랄까...

축빠도 아니고...솔직히 야빠지만....

프로구단들 가운데....축구는 본인팀 선수에게 해외에서 오퍼가 오면...

계약기간이 남아있어도....이적료만 맞으면(혹은 선수가 강하게 원하면...)

대승적인 차원에서 보내는 일이 종종 있어왔던걸로 아는데요...


같은 프로스포츠인 야구는 유독 자국선수를 해외에 보내는걸 꺼려하는듯해서요...

포스팅이니 뭐니 해서 류현진 보낸다 만다 했을때부터...

오승환까지....솔직히 오승환도 1년 묶여있다가 겨우 나간거고....

어차피 이적료는 축구나 야구나 다 줄꺼같은데...


뭔가 축구와 야구가 다른점이 있는건가...?

제가 잘 몰라서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일단 겉보기에는 야구는 축구에비해 팀 선수를 해외에 보내기 꺼려하는거 같은데...


이유가 뭘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오예 후비고~!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신호좀보고 14-03-30 21:24
   
야구는 포스팅 제외하고는 FA이적이고 축구는 이적료 받고 이적하고요.
덧붙여서 축구는 월드컵을 굉장히 중시 여기니 대승적 차원에서 선수를 키우기 위해 이적을 장려하는 분위기가 최근 형성 되었고 야구는 메인이 국내리그죠.
씹덕후후후 14-03-30 21:29
   
일딴 야구는 해외로 나가기가 힘들죠 야구 하는 나라가 많지 안으니 구단쪽이 힘이 쎄겠죠
홀로장군 14-03-30 21:30
   
야구인들이나 협회가 조금 이기적이라고 생각함
아마도 야구 국제대회가 축구 만큼 많지 않아...
실력(수준)향상 보단 당장 구단,협회 이익을 우선시 하는듯...

어린선수들 해외 진출이나 복귀에 제약이 없어져야 하고
FA기준을 4년, 5년 정도로 줄여야 함
zxczxc 14-03-30 21:30
   
축구는 고교아마에서 프로에 와서 1년차에 팀 전력감으로 써먹을수있는데

야구는 아주 특별한 케이스를 제외하곤.. 프로와서 다시 하나부터 가르쳐야합니다.
팀에 도움이 됄만큼 제대로된 선수를 완성하기까지 돈과 시간이 축구보다 더 든다는 얘기죠.

그외.. 축구는 주요선수가 나가도. 다른선수를 영입해서 채울수있지만
야구는 대체선수 또한 쉽지 않으니 FA아닌이상 이적엔 인색할수밖에요.
그만큼 선수층이 얇다는 의미.
만원사냥 14-03-30 21:30
   
계약문제도 있겠지만...

축구는 어떤 선수라도 국내에서 프로급이나 준프로급이라고 볼 수 있는 내셔널리그급만 되어도 세계 어디라도 마음만 먹으면 갈 수 있는게 크다고 봅니다. 정말 실력 좋으면 유럽에 갈 수도 있고, 그에 준하는 실력이라도 좀더 연봉을 받고 싶으면 중동이나 중국리그등에 진출할 수도 있고...

국내에서 프로무대에서 주전급으로 활약을 할 실력이 안되거나 나이가 듬으로써 실력이 하락한 선수라도 싱가포르나 인도네시아, 태국, 등등에 진출할 수 있죠. 실제로 동남아에는 우리가 모르는 국내 출신 선수들도 상당수 진출해 있죠. 이미 태국 1부리그에만 5명~10명?정도 나가있고, 싱가포르는 과거부터 꽤 많았고 등등

선택의 폭이 넓느냐 좁으냐의 차이같네요.


한국야구가 많이 발전했다고 해도... 선수들의 뎁쓰라고 하나요? 층의 넓이는 얇은 편인데... 세계에서 프로리그를 운영하는 몇 안되는 국가의 리그는 또 상대적으로 수준이 높고... 정말 S급 선수들을 제외하면... 기껏해야 미국 마이너리그;;; 인 점도 기인한다고 봅니다.
끄으랏차 14-03-30 22:54
   
야구는 대승적 차원이라는 명분이 그리 크지 않아요.

축구에서 대승적 차원으로 해외에 보내는 이유는
다른거 떠나서 더 높은 수준의 리그에서 뛰어서 더 높은 수준의 선수가 된다라는 의미죠.

야구도 마찬가지입니다만
그 차이란게 문제죠.

축구에서 우리나라의 입지는 일반적으로
16강~본선진출국 사이 정도일겝니다.
실제 성적도 그러했고 말입니다.
다른거 떠나서 우승이라던가 결승이라던가는 거의 꿈꾸기 어려운 수준인데.

야구는 기본 4강이거든요.
실제로 올림픽 우승 WBC준우승 등등 말입니다.
세계청소년야구대회에서도 준수하고.
뭐 애초에 하는 국가가 적으니 이득을 보는 면이 있지만.

여하튼 간에
축구는 우리가 최상위권 리그가 아니니까
대승적 차원에서 가서 배워와라 하는 명분이 크게 공감을 얻지만

야구는 그게 아니란거죠.
프로리그로 따지면 미국,일본,한국 이 순입니다.
세계 3번째 리그예요.

축구로 보면 이태리,독일 리그 정도 위치에 있는겁니다.
당연히 대승적 차원이라는 그 명분이 약할수 밖에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