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4-23 18:42
사람들이 잘못아는 상식
 글쓴이 : 약장수
조회 : 787  

1.클래식 음악을 들으면 지능이 높아진다?

-어느정도의 사실을 부풀린 것임. 실제로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려준 학생들과
들려주지 않은 학생들을 서로 비교실험을 해보았는데,
종이접기와 자르기 등 공간지각능력 같은 실험에서 들은 학생들이 들려주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뛰어난 성적을 보였음.

하지만 이건 지능이 높아졌다기 보다는 일시적으로 정서적 안정을 통해
더 뛰어난 집중력을 보인 것임.

단기적인 각성효과일 뿐이지, 장기적인 효과는 없음.

 어느정도의 진실을 과장하고 부풀려서, 장난감 회사들이 아기들에게 두뇌개발에 좋은 음악,
 뭐 이렇게 해서 물건을 팔아먹으려고 소문낸 과장된 진실이라는 설이 많음.

심지어 태교음악에도 이용되고는 하는데,
그건 산모의 정신적,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주는 것 뿐임.

산모의 뱃속에 있는 아기에게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증거가 없음.



2. 개는 세상을 흑백으로 본다? 

개는 적녹색맹이지, 전색맹이 아님.
개는 세상을 흑백으로 본다고들 알지만, 파란색과 노란색같은 여러가지 색을 볼 수 있음.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전색맹은 색맹중에서도 지극히 희귀함.


3. 비만 아동의 살은 커지면 없어진다

사실 아동기의 비만은 오래 지속됨. 한 번 찐 살은 쉽게 안 빠짐.


4.정신분열은 다중인격이다?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곤 하는데, 정신분열과 다중인격을 헷갈림,

정신분열과 다중인격이 동의어라면 굳이 나눌필요가 없음.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하나의 공존하는 인격 외에는 다른 인격이 없음,

즉 그들은 단일한 인격을 소유함. 이 인격이 조각나거나 흩어지는 일이 없다는 거.

주로 망상이나 환각등의 증세를 보이는게 정신분열,


5. 사람의 기억은 비디오나 녹음기처럼 기록된다

이건 프로이트에 의해 대부분 이렇게 믿고있는데, 그건 신빙성이 없음.

프로이트가 주장하길, 기억은 인간의 무의식에 깊숙이 저장되어 있고,오랫동안 왜곡되지도
않고 다른 기억들과 혼동되지도 않으며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고 함.

하지만 프로이트와 동시대에 살았던 미국의 유명한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이걸 부정했음.
거짓 기억이 있다는 것도 흔한 일이라고 인정함.

만약 인간의 기억이 그토록 객관적이고 완벽하다면, 방금전에 핸드폰을 어디다 두었는지
잊어버릴리가 없음.

게다가 나중에 동창회를 하면,A라는 사건을 모두 제각기 다르게 기억하는 일이 흔함.
누구는 화기애애 했다. 누구는 긴장됬다, 누구는 슬펐다. 이렇게.

기억이 녹음기나 dvd 처럼 녹화되어 보존되는게 아니라 끊임없이 변형되며 과거화
현재의 경험을 그럴듯하게 복원하는 수단이라는게 더 적합함.

어느 연구에 따르면 거짓기억을 심어줄 수 있다고도 함.

오늘날 심리학계 에서는 기억을 "복원"한다고 하지 복제한다고 하지는 않음.

정확한 기억이 애매모호하게 섞여 잇다가 각자의 믿음, 소망등이 섞여 구체화되는게 
최종기억.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무무 14-04-23 18:45
   
2번은 몰랐던 부분이고
5번은 아직도 연구하는 것 아닌가요?
최면를 이용하거나 기억력이 뛰어난 사람은 그 과거들을 다 볼수 있다는데요?..
     
약장수 14-04-23 18:48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는 최면치료로 얻은 기억을 토대로 증언하는게 법적금지입니다
          
푸우님 14-04-23 18:53
   
최면을 통해서도 기억은 조작될수 있으니까요
          
아무무 14-04-23 18:54
   
오....그런가요?.. 최면에 대해서 많은게 알려져 있던데..그거에 대한 법도 정해져 있나보네요..

그런데 예전에 머리가 다친 예술가가 있었는데, 그 사람은 비행기 타면서 그 경치를 보고 내린 후에 그 경치를 사진과 똑같을 수준으로 그린 다큐를 보았거든요? 다큐인지 그냥 영상인지 기억이 안나네요 ㅋ
               
약장수 14-04-23 18:57
   
저도 소견이 짧지만..아무래도 섬광기억이 아닐까 싶네요. 너무나도 강렬해서 쉽사리 잊혀지지 않는 기억.
                    
아무무 14-04-23 19:09
   
아뇨..그 사람은 모든 봤던 이미지들을 기억하고 있답니다...
참고로 그릴때 자신의 시야보다 넓게 그렸는데
예를들어 자판에서 qwas가 시야라면 키보드 전체를 그렸습니다...시야 한부분을 그린다음에 다른 시야를 봤던 부분을 이어 붙이는거죠.
               
중용이형 14-04-23 18:59
   
다친 사람이 의식이 깨어나선 생전 제대로배우짇지도 않았던 외국어(현지어)를 현지인 수준으로 구사한 일도 들어보긴 했어요.

흘려들은 외국어도 기억속 어딘가엔 저장되는지도 모르겠네요.
푸우님 14-04-23 18:51
   
5번은 확정적이지 않죠.
아직 인간의 기억에 대한 완벽한 연구 결과는 없죠.
일반적인 의식화된 기억은 변조가 쉽게 되지만
잠재의식 속 기억의 형태는 어떤지 확실하지 않죠.
     
중용이형 14-04-23 18:56
   
잠재의식 속 기억을 얼마나 효과적이고 손상없이 끌어낼 수 있냐와 동시에 과연 그 기억이 신뢰할 수 있는가 여부는 쉽게 결론을 가지긴 어렵겠네요.

진실이 그러하다고 가정 하더라도 가기까지 수 많은 왜곡과 거짓이 있는것은 일단은 맞는것 같아요.
중용이형 14-04-23 18:52
   
기억은 조작되기 쉽죠.

이를테면 잘 기억나지 않는 첫 사랑 얼굴이라던가...

오래된 월드컵 경기를 생방으로 본건지 후에 끊임없이 조명되서 후에 알게된건지 구분이 안되는부분은 작게라도 있기도 하죠.

이래저래해서 목격자의 증언도 100프로 정확하단 보장이 없는 것 같아요.
극작가 14-04-23 19:03
   
좋은 거 많이 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