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4-13 14:13
월남 패망이 미국의전략실패라 한분 ....
 글쓴이 : 아롱사태
조회 : 1,016  

월남패인이 미국의 전략의 실패로 패망
전략의실패도 여러 요인중 하나 일수 있으나
그다지 커 보이지는 않는데여 
한가지 물어봅시다 

베트남전 보다 화력부터 모든면에서 엄청나게 업그레이된
미군이 아프카니스탄에서 아직까지 개고생하면서 희생자가 나오는 
이유는 먼가요 ?? (철수도 못하고)

전략전으로 보면 완전 성공한 전쟁인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웃겨 아주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눈물2남 14-04-13 14:15
   
개인적으로 궁금하면 쪽지쓰세요
     
아롱사태 14-04-13 14:31
   
댁한테 궁금한거 없으니 비키세요 ㅎㅎㅎ
게이츠 14-04-13 14:24
   
내 생각엔 지형 지물을 활용한 전술이 먹혔음.  전투에서 이겨도 전쟁에서 이길려면

그 나라  모든 국민들과 싸울 각오를 해야 된다.. 그게 문제다.. 미국은 전투에서는 이기지만.. 전쟁에서는

못 이기는 것이다.. 즉 핵 공격 할 각오 없으면 다 죽일 각오로 싸워 야 된다는 말이다..
게이츠 14-04-13 14:27
   
문제는 체제가 나뉘기 얼마 전이기 때문에 가능 한 일...

한국이랑 월남은 또 다른 상황임.. 현재 남한과 북한 전쟁 나면.. 북한은 군인들 보다.. 북한 주민들이 들고

일어나서 무너질 확률이 더 크다.. 북한 주민들 통제 하느라 북한군은 제대로 전쟁 할 여력이 없다..

이게 체제의 우월성이 50년 이상 지속되었기 때문에.. 주민들 맘속 부터 배반의 씨앗이 심어져 있어서

북한은 절대 전쟁에서 남한을 이길수 없는 것이다..
구경꾼 14-04-13 14:28
   
저도 전체적인 전략 전술면에선 미국이 우세했다고 봅니다.

그러나 명분에서부터 지고 들어간 전쟁이라 힘들었겠죠.
무리하게 시작된 전쟁이었으며 반전여론도 무시할 수 없었어요.
쭌탱 14-04-13 14:42
   
금방 끝날 것이라 여겼던 전쟁이 장기화되버렸고
전쟁을 지속해서 얻는 이익보다 실이 크기에 미국이 ㅈㅈ친거라 봐야죠(여론 포함해서)

미국은 전쟁에서 진게 아니라 실패한 전쟁이라고 봐야죠.
너죽고 나살자. 너한테 올인한다 이랬으면 지금쯤 베트남은 없겠죠.
물론, 역사에 가정은 없지만....
백담사 14-04-13 15:29
   
제가 보기엔 민족성이나 종교와도 좀 관련이 있지 싶습니다.
외세나 서구문명에 대한 저항성이라던가..

과거 소련도 실패하였죠.
미국도 그리 성공하지는 못할 듯 싶습니다.

이라크의 예도 있고요.
뽀리링 14-04-13 18:41
   
미국의 전략적 오판이라고 하는 이유는 휴전 하기전 베트남 군은 괴멸 직전 상태였습니다.
당시 배트남 장군 들의 증언들을 들어보면 그렇습니다.
그래서 조금만 더 공격 했으면 북베트남을 먹을수 있었는데
미국군은 정글에 질려 버려서 북베트남군이 아직도 많다고 생각했죠
그래서 휴전 제의 했을때 북베트남은 좋다구나 하고 휴전 했습니다.
그 동안 북베트남은 전력을 정비하고 숨을 고를수 있게 되었죠
또한 간첩으로 남베트남을 혼란 시키고 간첩을 매수 심어 놓고
결정적 기습으로 남배트남을 점령 합니다.

북베트남군이 휴전전 괴멸직전 상태였다는건 미국도 몇십년이 지나서야 알았어요
뽀리링 14-04-13 18:45
   
아프가니스탄은 이라크와 다릅니다. 거기는 진짜 험지에요
옛날 대영 제국도 거기서 패배하고 러시아도 패배한 천하의 요새입니다.
근데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점령 하지 않았나요? 지배를 잘 못할 뿐이지
대영 제국이 유일하게 패배하고 점령 못한 두곳이 있는데 에티오피아와 아프가니스탄입니다.

두곳의 공통점은  엄청난 험지라는 거지요
     
백담사 14-04-13 19:38
   
전략이나 전쟁에서 이기면 뭘 합니까?
결국 철수하잖아요.

진정한 승리는 철수 이후에도 친미정권유지 및 친미가 계속 유지되는 겁니다.
한국처럼요.

그 성공의 여부가 바로 민심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이라크를 예로 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