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7-07-10 17:54
최저임금 상승 = 일자리 감소 = 물가 상승 = 부동산 가격 상승
 글쓴이 : 장진호
조회 : 469  


"최저임금 올리면 일자리 줄어드는 게 맞다"…FT 1년 만에 '반성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저임금 상승으로 대형 유통회사 등 소매업체들이 저임금 일자리를 줄이고 있다고 22일 보도했다. 올 들어 영국 체인점 형태 유통업체에서 최소 3700명이 해고당했다고 FT는 집계했다. FT는 불과 1년 전 최저임금이 올라도 우려만큼 일자리가 줄지 않는다며 경제학자들도 전보다 더 최저임금 인상에 우호적이라는 취지의 기사를 내보냈다. 하지만 1년 사이 나타난 현실은 예상과 달랐다.



미국 최저임금 인상 후 첫 현상 '식당 음식 가격 연쇄 상승'

워싱턴대학에서 최저임금을 연구하는 제이컵 빅도르는 "많은 사업장이 대량 해고 대신 제품의 비용을 올리는 식으로 최저임금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례로 시애틀의 식당들은 최저임금 인상안이 발효된 지난해 4월 이래 음식 가격을 종전보다 7∼8%가량 올렸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4/03/0200000000AKR20160403003600075.HTML


금융경제교실


물가상승이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물가가 오르면 소득과 부의 분배가 불평등하게 된다.

물가가 오르면 주부들은 “장보기가 겁난다”거나 “만원짜리 한 장으로 살 것이 없다”고 불평한다. 이는 물가가 오르면 일정한 돈으로 시장에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일정액의 급여나 연금으로 생활하는 가정은 물가가 오르면 사실상 소득이 줄어든 것과 같게 된다.

또한 은행예금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물가가 오르면 이들 저축의 실제가치가 떨어지게 되므로 손해를 보게 된다. 집없는 서민들도 집값이 오르면 내집마련이 더욱 어렵게 되어 상대적으로 더욱 가난해진다.

반면에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건물이나 토지와 같은 부동산 소유자는 가지고 있는 부동산 가격이 올라 상대적으로 더욱 부유해지게 된다.
이처럼 물가상승은 소득과 부의 분배를 불평등하게 만든다.



http://youth.bokeducation.or.kr/ecostudy/classCore.do?contentId=191

이 정도는 상식이라고 합니다.

이걸 아니라고 바득바득 우기면서 굳이 설명하라는 분이 있어 

댓글로 싸우기 싫어서 그냥 한국은행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경제교실에서 자료 퍼옴.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새로운세상 17-07-10 18:00
   
어디 저런 싸구려 주장을 가져오냐?
     
장진호 17-07-10 18:30
   
지금 한국은행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경제교실 무시하는겁니까? ㅋㅋ

여기에 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태반인데?
주말엔야구 17-07-10 18:00
   
상식?
그렇게 상식 아시는분아
우리나라 실질 임금 상승율이 마이너스 인건 알고 있음?
어이가없어 17-07-10 18:01
   
음식 가격 7~8퍼는 최저임금 상승 없이도 우리나라는 매년 오르는데....아마 미국도 최저임금 상승이 되지 않았다 해도 그 만큼은 올랐을 꺼예요..
지금 하루 점심이 얼만지나 아세요?....만원에서 8천원이에요...
불과 3~4년전에 5~6천원이었어요. 지금도 이 가격인 곳이 있긴 한데...줄었죠..확실히
3~4년전에 만원에서 8천원짜리는 진짜 비싼 곳이었는데....지금은...그냥 동네 돈까스 집도 이 가격이지요..
     
장진호 17-07-10 18:02
   
워싱턴대학에서 최저임금을 연구하는 제이컵 빅도르는 "많은 사업장이 대량 해고 대신 제품의 비용을 올리는 식으로 최저임금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 그래요?

그럼 우리나라 자영업자들은 판매가격을 15~20퍼센트 올리는걸로 대응하겠네요
          
기운앱 17-07-10 18:39
   
Ak 떠들 때 한국 사람이 아닌 건 알고 있었다만..
최저임금을 높이는 것과 재화의 가격인상과 왜 합리적 귀결이 성립하나요?
황당하네.
많은 업체에서 그렇게 할 수 있겠지만 그 또한 방법의 하나일뿐이죠.
자 100만원 벌던사람이 120만원 번다 치죠
거기에 대해 소득의 증가분을 동일 재화를 구입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비용 소비의 선택의 폭은 다르죠

글고 미국의 예를 들으니.. 말하자면 미국은 생필품 가격이 우리나라보다 훨싸죠. 다시말해 기업이 획득하는 매출이 더 많다는 겁니다. 근데 세금도 더 많이 내내...

비교가 될걸 비교하세요
내일을위해 17-07-10 18:02
   
진짜 멍청하네.  전체 인건비 상승이 아니고 최저 임금 상승임
한마디로 알바비와 임시직 급여가 오르는거임.  그래서 대안이 대기업본사와 가맹점간의 불합리한 관계개선으로 수익성보전을 하는것으로 알바비오른다고 직접적인 수익 타격이 안오도록함. 되려  최저 임금이 오르면서  직접 수혜자인 차상위계층의 수입이 늘어 바닥경제가 살아남. 이는 내수경제의 선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큼. 말하면 뭘할까?  이해를 못하는데.  미국과 비교하네.
     
장진호 17-07-10 18:03
   
최저임금 상승시 일자리 줄어들고 물가 상승한다는

영국 미국 뉴스인데 뭘 보신거?
          
내일을위해 17-07-10 18:13
   
이봐 이봐  못알아 들을줄알았어.  그냥 인건비 올리면 당연히 고용을 줄임. 당연함  그런데 원래 받을걸  받는다면?  점주의 수입이 줄지 않은데 고용을 줄일까?  못알아들으면 말고.
그래성 17-07-10 18:03
   
청소년 경제 교실? ㅋㅋㅋ
기운앱 17-07-10 18:05
   
요즘 바보들이 많네ㅋㅋㅋㅋ 근데 얘는 거의 탑급이네
호밀빵 17-07-10 18:07
   
한국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OECD 꼴찌이지만, 최저임금은 중간합니다.
중간도 못하는걸 올리자고 한다면 동의하겠지만, 그보다 못한 항목들이 많은데?

일단 지금 정해진 최저임금 조차도 지키지 않는 사장이 많잖아요.
왜 이걸 먼저 고칠생각은 안합니까?
고용계약서도 쓰지 않고, 지켜지지 않고, 신고하지 않고, 관리하지 않고, 감독하지 않아서 문제점들이 OECD 꼴찌 수준으로 마구 터져 나오는데, 왜 관망합니까?

다른 것들은 꼴찌가 되든 말든 신경도 안쓰면서... 뭔 최저임금 올리자는 타령만 계속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면서 GDP 대비 한국의 최저임금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라고 하면, 선진국들은 다른 것들이 받쳐주기 때문에 한국같은 최저임금이 아니다. 라는 타령이나 하죠.

지금 한국에서 중요한건 최저임금이 아니에요.
최저임금을 둘러싸고 있는 법이 제대로 된게 없고, 지켜지지 않아요.
이게 가장 심각한겁니다.
     
기운앱 17-07-10 18:09
   
공약중 일부일 뿐인데... 고치지 않았냐 어쩌고는 맹박이랑 닭근혜한테 따져야죠.
          
호밀빵 17-07-10 18:11
   
그럼 지금 논쟁 할 이유도 없네요.
지금 올린다고 공약한게 아닌데, 뭐하러 죽끓입니까?
               
기운앱 17-07-10 18:13
   
논쟁은 일베떨거지들이 한거 아닌가요?
                    
호밀빵 17-07-10 18:14
   
지금 최저임금 올리자고 논쟁하는건 다 일베 떨거지네요. ㅋㅋ...

통상 연 7% 씩 올랐습니다.
가만있어도 문재인 임기말에 9천원대 갈것임.
                         
기운앱 17-07-10 18:16
   
글고 님이 많은 일이 있는데 왜 시급올리냐고 해서
정책의 일부일 뿐이라고 한건데 이해가 안됨?
일베애들이 소주제 하나씩 가지고 와서 이슈 만드는거 뭐 가생이 하루이틀함?
올리자고 떠듬 일베가? ㅋㅋㅋㅋㅋㅌ 황당하네
올린다는 공약이 있으니 일베가 올리지 말자고 발제를 하고 시비 거는 거지
                         
호밀빵 17-07-10 18:18
   
저는 일베 떨거지들이 최저임금 올리자고 논쟁한건지 몰랐음.
그뿐.
레스토랑스 17-07-10 20:26
   
윤서인이 할만한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