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4-10 22:40
일본 독일등을 이길 수 있는 문제는 사실 소재등의 재료공학이 뒤따라줘야함
 글쓴이 : 레옹레옹
조회 : 538  

사실 예전에 철강산업에는 한계가 있지만 이걸 대체가능한 물질을 어떻게 대량으로 생산하고 대체를 하느냐에 따라 세상이 바뀔 수 있는 거죠....
사실 그냥 같은 철강을 예전부터 다루어온 그 경험이나 노하우를 하루아침에 이룰 수가 없는 것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안녕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걍노는님 14-04-10 22:45
   
그렇게때문에 국영기업이아닌 횬기차아에서 제철소를 인수한거고 모비스라는 부품회사를 만들었지요......님말처럼 철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것은 아니나 물소뿔이라는 대단한 활을 만들었던 민족입니다. 이는 일본에서도 중국에서도 흉내도 못낸활이지요 언젠간 뜻이 있는날이 오지않을까요^^? ㅎㅎㅎㅎ
게이츠 14-04-10 22:45
   
재료공학 쪽도 많이 따라 왔죠..
아마 그런데 수요 측면에서.. 특수 재료 쪽이 수지가 맞지 않는다 던가.. 기타 이유로..

특수 소재 개발 이 제대로 안되고 있는것 같은 느낌입니다.. 기술 능력 자체는 이미 거의 따라 갔습니다..
어자피 대량 생산 되는 건.. 일반 철강 제품이지.. 특수 합금 같은건 사용처가 많지는 않죠..
게이츠 14-04-10 22:46
   
기술이 문제가 아니라..  한국 내에서는 부품 등을 만들때 특수 재료가 많이 사용이 안되니.

그냥 개발 하는 것보다 사서 쓰자는 개념이죠.. 기술적으로는 문제 없을 듯...
     
드라이브1 14-04-10 22:49
   
동감 몇년전 전문가가 나와서 한애기가 일본서 수입하는 왠만한 부품 거의 만들 능력은 있다 문제는 공장건설하고 만든는것보다 그냥 부품수입해서 쓰는게 싸고 이익이라 안할뿐이지
전쟁망치 14-04-10 22:48
   
그냥 미친척하고, 국가에서 과학자가 제일 인기 있는 직업이 될수 있도록 범 국가 적인 차원에서 분위기를 만들면 되죠...

솔직히 북한의 그런 정치로 가자는건 아니구요.

북한의 그런 좀 엘리트 스러운 강제력 + 우리나라의 자본 과 국민들을 홀려버릴수 있는 언론 플레이로

과학자가 되고 싶은 1위 직업으로 분위기와 환경만 맞춰주면 어렵지는 않을거 같은데요?

지금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되고 싶은 꿈을 보면 거의가 연예인 이라는거 보고 참 우리나라 앞날이 캄캄하다 생각됩니다...



대학에서 이공계로 졸업해도 취업할때가 없다는건, 그만큼 그와 관련된 기반 산업이 취약 하다는 뜻이 되죠. 그와 함께 사회적으로 그런것을 뒷받침해줄 학문도 낙후되는거구요...

이렇게 계속 갈경우 중국에게 추월되는건 정말 순식간일 겁니다.

중국이 왜 무기를 자국에서 만들려고 하는지 그이유중 하난 바로 이공계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

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학생들이 대학을 졸업을 하고, 배운 학문을 계속 갈고 닦을수 있도록

일할수 있는 공간이 생기기 때문이죠. 그 산업 기반이 자리 잡게 되면 학문도 그와 함께 발전 할수 밖에 없습니다.

우린 이런 산업기반이 취약하죠.

그냥 폰팔이 기업 몇개 밖에.. 조선이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