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12 13:11
일본 경제얘기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글쓴이 : 관성의법칙
조회 : 952  

 
 
전 매년 새해가 오면 국운을 검색해보는 취미가 있음..
 
올해도 어김없이 국운을 검색..
 
일본 국운도 있었는데 아주 간단하게 말해서
 
올해는 원하는 바를 이루지 못하고 내년쯤엔 좀 살아나다가 그후년엔 그냥 처참하게 몰락한답니다.
 
경제에 대해 잘 모르겠지만 이게 무슨 의미일까요?
 
뭐 예언을 너무 믿지는 마시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ㅋㅋㅋ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헨리기관차 14-03-12 13:12
   
2015년 좀살다가
2016년 처참하게 간다면.. ㅎㅎ 잘가

근데 국운을 본다는게;;; 사람들이 사주는 생년월일 보면 되는데 국운 보는방법이..새롭네요..ㅎㅎ
     
관성의법칙 14-03-12 13:15
   
보통 국운같은 경우는 보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있겠지만 주로 대통령의 운을많이 본다더군요..
붉은밤 14-03-12 13:13
   
예언을 믿지는 않지만 수장될 운명이란 애기군요~ (제발 일본은 점 ......)
뿡뿡 14-03-12 13:14
   
당장은...소비세인상으로 내수 활성화와 세입증가로 잠깐 타오르는 장작불인거아닐까요?
장작불은 꺼지고 나면 그만인게 내년쯤인가보네요..
과거를 보며누현재를 알고 미래를 안다고 전쟁 준비 철저히 해야합니다...
왜구들 들어올때가 됐죠...
     
관성의법칙 14-03-12 13:17
   
솔직히 한국인들은 일본이 그럴리 없다..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엄청 많더군요..

저번에 일본 망언에 대해서 토론하는거 한번 봤는데 호소카이? 그 일본인인데 독도는 한국땅이라고 하는 사람있잖음? 그사람은 엄청 심각하게 받아들이는데 반해

한국 교수들은 그럴리 없다. 너무 과한 생각이다 하면서 오히려 비웃더군요.. 대놓고..;;
덕배 14-03-12 13:17
   
소비세 인상만큼 소비는 줄어들어 큰 효과를 보기 힘들겠지유.
모라토리움도 안되고 디폴트 선언해서 다시 시작하는 수 밖에 없을 듯.
아님 전쟁을 하거나.
     
뿡뿡 14-03-12 13:19
   
소비세 인상 시점을 길게 잡는 아유가 인상전에 알릉 사야한다는 소비심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이죠.
          
덕배 14-03-12 13:22
   
거시적으로 보면
국민의 소득이 늘지 않은 상태에서 단기적인 소비를 촉진 시켜도 이후에 소비가 급감해서 장기적으로 전체 소비는 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유.
               
뿡뿡 14-03-12 13:27
   
일단 소비가 시작되면 기업은 자본이 모이게 되고 그 자본으로 투자를 유도했던겁니다.
그런데 소비가 늘기는 커녕 더 잠자고 있는게 일본의 현실이죠...
국가의 사회보험 시스템에 의해 보호받지 못하는 비율이 일본 경제참여인구의 30프로개 넘고 수치로보면 2천만명 수준입니다. 이런 인구가 소비를 촉진시킨다는.자체가 넌센스...그래도 일본은 알바 돈 많이 받는다라고 자딸하는 일본의 현실...안습..
     
행복찾기 14-03-12 13:19
   
왜구놈들이 한국과의 전쟁을 통해 자신의 난국을 타개할려고 할지도 모르죠.

과거처럼요..
          
덕배 14-03-12 13:23
   
예전의 한국도 아니고 일본 육자대가 한국땅 밟을 일은 20년 이내는 없을 거구먼유.
도발에 신경은 써야겠지만서도.
          
중립화 14-03-12 13:27
   
주위 국가에서 많이 달랠 거에요. 경제적 지원이나 등등...
          
굿잡스 14-03-12 13:39
   
경제 추락해도 과거 2,3위하던 시절에서 못해도 1.5에서 2류국가는 되겠지만

전범국 잽이 전면적 전쟁시는 그냥 잽이라는 나라 자체게 켁~~ㅋ

전쟁보다 어찌 어찌 무역으로 먹고 사는게 더 효율적 더 많은 이득이 있는 시대겠죠.

(최악은 어게인 핵패망으로 잽 본토가 이전보다 더 막대한 잿더미화될 수도 있겠죠)
우왕 14-03-12 13:21
   
일단 이번 월드컵은 어찌 되나요?16강만 갔음 좋겠네요ㅎ
별명을물어 14-03-12 13:37
   
일본이 쉽게 망하기엔 짱짱한 애들이 너무 많음..
소니,파나소닉 같은애들 말고도 예전부터 소니따위..라고 말할수 있는그룹이 즐비했음 일반인들은 잘 모를수도 있지만 금융쪽에서는 미즈호홀딩스, 무역종합상사에는  미쓰비시상사,물산 ,이토츄 등등.참고로 우리나라종합상사는그냥 동네구멍가게 수준임.
온라인,소셜게임부분도 한국이 졸라 쌜것 처럼 말들 하시는데실직적으로 돈버는
게임회사 탑10중 절반정도가 일본기업임..일본 DeNA가 넥슨수익 두배 정도임.
통신/광고로는 소프트뱅크, 덴츠 전부다 세계최상위권 수준이고 유통쪽에서도 뭐 세븐아이홀딩스하나로 끝..
요런 규모에 기업이 널렸음  축구로 치면 후보선수도 조낸 빵빵하단 이야기죠..
우리나라는 수많은 분야중 일부전자부분에서 역전했을뿐임..
     
뿡뿡 14-03-12 13:42
   
미즈호나 미쯔비시가 금융업을 토대로 솔직히 업처우탄탄한 기업이죠.
일본은 현재 외국계 금융업에 대한 장벽이 있습니다.
이걸 뚫은게 신한은행이고요...
이걸 핑계로 계속 금융시장 개방하라는게 미국입니다.
따라서 미즈호나 미쯔비시도 장담할수가 없죠...
유럽계 미국계 금융시장 들어오면 일본의 마지노선은 그저 눈물만...
          
별명을물어 14-03-12 13:43
   
신한은행 이전에 이미..우리은행, 국민은행도 있었어요..
최근에 터진 국민은행 사건으로 ..말씀하시것도 장담 못함..
               
뿡뿡 14-03-12 13:45
   
지점이죠...
신한계열은 sj방크고요...
                    
별명을물어 14-03-12 13:48
   
SBJ은행
     
굿잡스 14-03-12 13:43
   
ㅋㅋ 그나마 1억 3천만 잽 내수로 버티던 잽기업도

국제 경쟁력 상실속에 갈라파고스. 잽인구감소와

함께 자연히 잽 기업들도 추락, 축소를 거듭하면서 퇴보할 수 밖에.
     
관성의법칙 14-03-12 13:44
   
망한다고 해서 무슨 소말리아처럼 망한다고 아무도 말안했음..

호들갑 ㄴㄴ

그리고 오늘 뉴스를 보니깐 아베노믹스 실패시 한국이 2020년도에 일본이랑 gdp가 근소한차로 역전된답니다.

그리고 그동안 버블일 지라도 벌어놓은 돈이 있으니 당연히 돈장사 땅장사로는 아직 건재하겠죠..

근데 그건 일본의 부채랑은 별개라고 봅니다.

그리고 님이 말한 세계최강의 일본기업도 일본 내수빨이 있기에 규모가 큰거지

세계시장의 영향력? 은 미미한게 사실이죠.. 이건 사실상 일본경제가 어려워지면

회사도 작아지는 구조임...
          
별명을물어 14-03-12 13:53
   
내수빨로 버티는건  전자부분이고
금융이나, 종합상사가 내수빨로 장사하는곳은 아니죠..
뭐 결과적으로 내가 하고싶은 말은 일부분에서 조금 앞서간다고 낙관적으로 생각하지 말자는거임. 복싱으로 따지면 루키가 전 챔피언에게 쨉한방 먹인것 뿐이니깐..
               
관성의법칙 14-03-12 13:55
   
금융 종합상사로 돈을 버는건 제가 위에 댓글에서 인정을 한 부분임..;;;

나머지 님이말한 통신이니 게임이니 하는 일본 내 규모가 큰 회사들을 말하는거임....
 이것들이 일본하면 아.. 하고 팔릴만큼 세계적인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말임..
님 말처럼 단순히 규모가 큰 회사들이 즐비해있다고 강하다고 생각하는거 자체가 말이 안된다는거임..

과연 일본위기를 그회사들이 구해주겠음? 규모가 크니깐? ㅎㅎ
                    
별명을물어 14-03-12 14:02
   
ㅎㅎ 난독증..ㅈㅅ
영향력이 .. 미미한건 아니라고 봐요..위에 적진 않았지만
닌텐도 망했다는 뉴스하나만 떠도 게임계가 술렁이는건 안봐도 뻔한 일이고
소프트뱅크는 T모바일 스피릿 다 인수한 기업이니.. 세계영향력이 적다고 할수도 없죠.
                         
관성의법칙 14-03-12 14:07
   
음... 제가 말한 세계적인 영향력은 주 수입원이 세계에 있느냐 국내에 있느냐 하는거임.. 일본에 위기가 왔을때 상관없어.. 우린 일본이 주춤해도 회사가 타격을 입지 않을 만큼 세계시장을 확보하고 있으니깐... 라고 할수있는 기업을 말하는거였음..
외국의 기업을 인수하는것이 영향력은 아닌듯..
               
굿잡스 14-03-12 14:03
   
금융이고 왜 내수빨이 아니죠?

그만큼 경제력 크기에 바탕해서 엔화라는 화폐 가치의 상승으로 인해 금융 이득이

확대되고 기축통화에 버금가는 지위로 금융역량이 커지는 것인데.

잽이 더이상 국채남발로 빚잔치를 할 상황이 못되는 결정타가 되어 버리면 그만큼

내수고 금융이고 이런 부분도 축소될 수 밖에 없죠.

(엔화의 가치나 신뢰자체가 추락하게 되니. 국제사회에서 누가 이전처럼 엔화를

보유하거나 쉽게 결제대금으로 거래할려고 들까요?)
                    
별명을물어 14-03-12 14:09
   
뭐 틀린말은 아니지만 ..
안전자산중에 엔화를 대체할 통화가 없잖아요..
별명을물어 14-03-12 14:16
   
관성의법칙님  내수로 충분히 먹고 사는데 외국기업을 왜 인수했을까요? 
돈이 남아돌아서 그런거 아니잖아요.. 그리고 스피릿<-이게 미국3대 통신회사였음
     
관성의법칙 14-03-12 14:23
   
알고 있습니다. 미국 3대 통신회사라는건..

 중국업체가 모토로라를 인수한다고 세계시장을 뚫었다라고 말하는거랑 뭐가 다름?

이렇게 생각해 봅시다.  한국에 위기가 왔을때 대한민국 10대기업중 몇개가 도산했음?

앞으로도 한국에 위기가 오면 지금있는 회사중에는 10대회사들이 다 건전할까요?

 결국 국가의 위기는 회사에 부담이 되지 않을수가 없습니다. 규모가 크니깐 상관없다는 말은 말도 안되는 거라고 봅니다. 세계에서 경쟁력이 없다면...

사실상 통신 게임 또 뭐있지? 이런 분야들은 미국이 세계를 꽉잡고 있는 상태임...
          
별명을물어 14-03-12 14:42
   
규모가 크니깐 상관없다는 말이 아니고 , 세계경쟁력에 부족함이 없다는 겁니다.
한국에서 대기업 무너지면 타격이 크겠지만 일본에서 대체가능한 다른기업이 많다는 이야기에요.

그리고 참고로 Lenovo는 이미 세계경쟁력이 높은 회사고 모토로라 인수를
계기로 글로벌쉐어를 더 높일려는 목적으로 인수한겁니다.
게임회사는 미국 일본 양분상태임 미국이 압도적이지는 않습니다.
               
햄돌 14-03-12 14:56
   
일본게임회사들 몰락직전 아님?
                    
별명을물어 14-03-12 14:57
   
개발사는 그렇지도 모르죠...게임이 개발사만 돈버는게 아니니깐요..
플스만 해도.. 2011년 판매수익만 40조 정도임.. 블리자드가 5조 ..반다이 2조 정도..넥슨 1조5천 정도 였음.. ...플스는 하드웨가 있어서 높기도 하지만..
               
관성의법칙 14-03-12 15:11
   
플스는 기계임..ㅡㅡ;;; 그리고 2011년에서 한번 웃습니다.ㅎㅎ

그리고 국가가 타격을 받는데 대체기업이 뭔 소용인가요? 제 말을 아직 이해못하신듯..

그 후발주자 기업들은 타격안받습니까?

그리고 일본 전자산업이 망한 이유중 가장 큰 이유가 전자회사들이 너무 많다는겁니다..;;; 이게 결코 장점이 아님...
                    
별명을물어 14-03-12 15:23
   
타격을 않받는다는 말은 않했는데..
국가가 경재파탄 지경까지 가면 IMF가 도와줄것이고..
우리나라 IMF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참고하시면 왜 기업이 중요한지 아실탠데..
그리고 일본 전자산업이 무지진건 많아서가 아니고, 시대흐름을 읽지 못해서 입니다.
플스는 기계임...이건 뭔가요? 플스가 게임기 아닌가요? 소니컴퓨터엔터는 게임퍼플리셔구
                         
관성의법칙 14-03-12 15:51
   
시대의 흐름탓도 있겠지만 사실 제가 말한 저 부분도 상당부분 작용을 한것도 사실입니다.  만약 전자회사가 두개정도로 있었다면 일본 내수시장에서 충분히 수익뽑고 발빠른 세계시장대처도 충분히 가능했죠..이건 제 추측이 아니라 일본내부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임... 요즘 일본전자회사들이 그것때문에 합작이니 공동연구니 이쪽으로 나가는겁니다.
좋습니다. 플스도 겜이라고 치는데.. 플스 수익이 대부분 기계팔아 나오는건 사실..
mp3 판다고 음악회사가 되는것도 아니고..어떻게 블리자드랑 비교를 하시는지..ㅡㅡ;;
플스는 게임기... 님이 말씀하셨듯이 기계임..ㅡㅡ;;;
블리자드랑 일본게임이랑 비교하면서 플스를 드리미시네요..
그리고 플스 팔아봤자 소니계열에 숨통정도 틔는 수준밖에 안되는것도 사실..
플스가 국가산업도 아니고 시장규모가 큰것도 아니고 뭔 자신감인지..
그리고 위에서도 말했듯이 망한다고 해서 소말리아처럼 망한다고 누가 그랬나요? imf에서 구제를 받든 어쩌든.. imf가 경제에 간섭한다는거 자체가 좋은게 아닙니다.
                         
별명을물어 14-03-12 16:03
   
뭐..그렇게 생각하시면 그렇게 믿으시면 될것 같습니다.
사람이 생각이 다 틀린거니..제가 뭐 딱히 일본 게임을 좋아하는건 아닌데
긴걸  아니라고 할수는 없으니 말씀드립니다.
기계빼고.그리고 2011년 이 신경쓰이셨다면 2012자료로 알려드릴께요 2013년 자료는 없네요.. 
 메타트릭  게임퍼블러셔순위 2012년
1.EA
2.Microsoft
3.Sony
4.Nintendo
5.Capcom
6.Warner BI
7.Konami
8.Sega
9.Activition Blizzard
10.Namco Bandai

매출순위를 알려드리고 싶었는데 최신자료는 잘 않나오네요..그래서 할수없이 2011년꺼
기계빼고
1.블리자드 5조
2.EA 4조
3. 텐센트 2조8천
4.반다이 2조8천
5.코나미 2초8백
6.DeNa 2조 1백
7.GREE 2조
8.유비소프트 1조5천
9.징가 1조3천
10 세가 1조2천
11.넥슨 1조 2천
12캠콤 1조2천
등등등
                         
관성의법칙 14-03-12 16:08
   
예 대단하네요.. 일본 게임만세임.. 근데 그 10개가 세계에서 내는 수익들도 고려해보셨음? 미국회사가 세계에서 내는 수익이랑..
일본 내부에서 경제가 흔들거려도 해외시장에서 얻는 수익으로 타격안받을 자신있는 회사들이냐 이말임.. 설사 미국이라해도 불가능임..
근데 일본은 어떻게 버팀니까?
그리고 님이 가져온 자료 보니깐 미국게임이 지배하고 있는게 사실맞네요..
 국가가 흔들리는데 그 규모를 유지하는 회사는 지구상 어디에도 없습니다.
특히나 자국물품 애용을 애국으로 생각하는 일본은 타격이 더 심한게 사실...

전세계 인기게임 순위임..

http://cafe.naver.com/thecenters/913

세계 온라인 게임 수익 순위

http://cafe.naver.com/bluewing9281/8998
                         
별명을물어 14-03-12 16:25
   
인기게임순위는 좋은데 매출이 얼만데요?
온라인 게임이 게임시장 전체중 차지하는 범위는요?

마지막으로 재가 적은 글의 취지가 일본만세를 외치는건가요?
근거없이 정신승리 하지 말잔 이야깁니다. 
상대방을 이길려면 제대로된 정보를 알고있어야죠
인정하기 싫어도 인정할건 인정하자는 말입니다..
                         
관성의법칙 14-03-12 16:33
   
밑에 링크는 큰 의미로 올린건 아니지만 님이 물고늘어지니 추가로 또 올려봅니다.ㅎ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bullpen&mbsIdx=3208400

전세계 게임시장임..

전세계 규모 다합해도 120조원정도밖에 안되는 분야지만..

그리고 정신승리는 그쪽이 하시고 있는겁니다.

제발 큰회사들 많은데? 대체가능 회사 있는데? 이런 유치한 소리좀 하지 마시길..

이런 경우는 회사가 무너져도 다른 회사가 충당할수있다..이경우에만 해당하는 소리죠..
예를들어 도요타가 폭락해도 혼다가 있는데? 이건 맞는 말입니다.
근데 일본이 폭락해도 혼다가 있는데? 뭔소립니까?

국가가 흔들릴때 쓰는 말이 아닙니다.

님도 뭔가 잘못된걸 억지로 주장한다는걸 제발 느끼셨기를...
                         
별명을물어 14-03-12 16:49
   
회사들 많은데? 대체가능 회사 있는데?  <-이런이야기 하실꺼면 그냥 말을 맙시다..
님이 말씀하신
세계최강의 일본기업도 일본 내수빨이 있기에 규모가 큰거지 세계시장의 영향력? 은
미미한게 사실이죠..  <-- 이부분의 틀린정보를 저는 알려드렸을뿐 입니다.
저가 알려드린 정보가 믿기 싫으시면 계속 정신승리 하십시요..
                         
관성의법칙 14-03-12 16:58
   
그렇게 영향력이 있는데 왜 경상수지가 적자입니까?
왜 자꾸 부정을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겜도 보니깐 미국이 지배하는거 맞네요..
통신은뭐 들이밀것도 없고..
영향력이 미미한게 맞는거 아닌가요? 대부분의 수익은 일본 내에서 내고 있으니...
국가가 흔들려도 대체기업이 있다니.. 아직도 인정을 안하시는거보니..참..
틀린정보를 틀리게 알려주시면서 정신승리하는거 보니 참 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