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11 21:34
우주 최대 다이아몬드 별 발견!!!
 글쓴이 : 정의의사도
조회 : 979  

[한겨레] 달 크기의 절반에 조금 못미치는 크기의 다이아몬드 별(그림)이발견됐다.

미국 하버드 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가 다이아몬드처럼 내부가 탄소결정체덩어리인 지름 1500㎞ 크기의 별을 지구에서 50광년 떨어진 켄타우루스좌에서발견했다고 〈비비시 방송〉이 17일 보도했다. 이 다이아몬드 별은 한때 해처럼밝게 빛났으나 핵융합 물질을 소모해 퇴색하면서 자체 중력 때문에 쪼그라든백색왜성이라고 이 센터의 트래비스 메트캘프가 밝혔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다이아몬드는 3100 캐럿짜리 다이아몬드 원석을 깎아만든 330캐럿짜리 ‘아프리카의 별’이다. 반면 이 별은 1조×1조×100억캐럿이다. 이 센터 천문학자들은 이 별의 이름을 비틀스의 노래 ‘다이아몬드를가진 하늘의 루시’에서 본떠 ‘루시’라고 지었다. 정식 이름은 BPM37093. 그동안 천문학자들은 백색왜성의 내부가 결정체 상태일 것으로 생각했으나, 실제확인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메트캘프는 “백색왜성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그내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40217102658253

둘리 일행의 다이아몬드 별은 사실이었어!
둘리는 시대를 앞선 어린이 만화를 가장한 과학만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온돌마루 14-03-11 21:36
   
아직은 그냥 돌삐일 따름.....
퍼즐 14-03-11 21:37
   
탄소의 결정체라 당연한거 같은데요.  우주에 다이아몬드 별이 없다는건 이론상 맞지않죠.ㅋㅋ
알kelly 14-03-11 21:38
   
둘리는 시대를 앞선 어린이 만화를 가장한 과학만화 ㅎㅎㅎ
알kelly 14-03-11 21:38
   
FK리스 14-03-11 21:39
   
하늘의 별따기란 말이 떠오르는군요
레테르 14-03-11 21:40
   
수백억년이 지나면 저 백색왜성은 내부만이 아니라 외부까지 다이아몬드 결정체가 되겠지요.그시대쯤 되면 채산성이 인공다이아몬드보다 떨어지겠지만!
로마전쟁 14-03-11 21:42
   
흠 근데 만약 저런 행성에 금방 도달하게 되면 저걸 채취할수가 있을까요?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한게 없는걸로 아는데 다이아몬드로 다이아몬드를 조각낼려면 더큰 다이아몬드로 쪼개는 방법 외엔 생각이 안나네요. 아니면 캘려는 도구가 부러질테니. 일단 희귀성때문에 값비싼게 다이아몬드 같은데 저리 널리고 널리면 그냥 돌 이상의 가치를 발할지도 의문. 근데 예쁘긴 하겠죠 ㅋ
     
레테르 14-03-11 21:45
   
참고로 다이아몬드는 경도는 높지만 강도는 낮아서 망치로 때리면 박살납니다. 어쨌든 흑색왜성도 나름 표면의 중력은 장난이 아니라 그렇게 채취하기는 무리겠지만요
     
퍼즐 14-03-11 21:45
   
깎는데 다이아몬드가 필요할뿐 케는데는 티타늄 장비로 충분할거 같은데요.ㅎㅎ

다이아몬드 경도가 강할뿐이지 약해요.ㅋㅋ  망치로 살짝만 쳐도 깨져요 ㅋㅋㅋ
          
로마전쟁 14-03-11 21:48
   
아 그렇군요.
세엠요 14-03-11 21:43
   
빛으로 1년을 갈 수 있는 거리를 1광년이라고 합니다. 그러면다면 빛의 속도는 30만km/S 즉, 1초에 30만 km를 가죠.

현재 지구에서 가장 빠른 미사일이 마하 8입니다.
이 미사일로 30만 km(빛이 1초에 가는 거리)를 가려면 31.57시간이 걸리고요. 즉, 하루 24시간과 7시간을 더 가는 거리입니다.

31.57시간x60*(초=1분)X60(분=1시간)X24= 하루동안 갈 수 있는 빛의 거리 X 365 X 50

결국 50광년을 가려면 지상에서 가장 빠른 미사일 속도로 약 497억년(지구 나이 45억살) 걸려서 도달할 수 있는 거리임....
물론 워프나 텔레포트로는 가능할 지도 모르죠.
우오오오 14-03-11 21:51
   
과학이 발달하여 저 별을 갈수 있다 치더라도 함부로 다가서면 엄청난 중력에 의해 쥐포가 됩니다.

다이아몬드별이라는 건 다른 말로 백색왜성입니다.
백색왜성은 태양수준의 중간급 항성이 핵융합을 더이상 할 수 없어 식어버린 별입니다.
태양같은 엄청난 항성이 식고 쪼그라들어서 만들어진게 다이아몬드 별인데 그 중력을 어찌 감당하겠습니까.

참고로 태양도 훗날 적색거성으로 변했다가 100억년 이후에 백색왜성(다이아몬드 별)로 바뀝니다.
이순재 14-03-11 22:08
   
저걸 캐면 다이아몬드 가격이 폭락함 ㅋ
애초에 있는 다이아몬드도 희소성을 위해 불태워 없앤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