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8-08-30 11:56
우리나라 대기업 사물인터넷 순식간에 폭망 예상
 글쓴이 : 샤우트
조회 : 2,802  

언제나 그렇지만 헬조선 병으로 자멸할 겁니다
다들 어뎁터, 이어폰 케이스는 아시죠 ?
자기 회사만의 규격 특이화

지금 삼성 엘지 사물인터넷이 이러고 있죠 ?
조만간 전사 통합용 어플 하나 나와서 싹쓸어 갈 겁니다
처음에는 삼성 엘지 통합용으로 시작해서 점점 기업수를 늘려가면서 외형을 키우면 결국 기업들이 이 어플에 맞게끔 휘둘리겠죠
사물인터넷 복잡할 게 없으니까요

지금이라도 뻘짓거리 그만두고 공동으로 규격 표준화 작업 시작하고 남는 돈으로 보안 확보에나 신경썼으면 하네요
일본 전자업계가 망한 게 이미 30년 전인데, 아직도 일본과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있는 건지...
좁은 땅덩이 한반도만 보지 말고, 세계 시장을 보면 삼성, 엘지가 협력 못할 게 뭡니까 ?
중국은 국가를 등에 엎고 13억 인민이 밀어주는데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soriswing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Joker 18-08-30 12:09
   
오호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아직도 우물 안 개구리 사고방식을 못 버리고 있죠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님님 18-08-30 12:27
   
어차피 구글이 다 집어삼킬거니까요
Y금강불괴Y 18-08-30 12:35
   
"언제나 그렇지만 헬조선 병으로 자멸할 겁니다"

자멸하지 말자고 얘기한들 헬조선이라 자멸한다고 결론 내놓고 뭐라 떠드시나.....
Acceptance 18-08-30 12:35
   
사물 인터넷은 어차피 24시간 항상 켜져있어야 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인터넷연결은 당연하구요 그리고 생각해보면 24시간 항시 전기에 연결되어야 하고 제어가 가능한것 ...
뭐가 있을까요?
냉장고지요 냉장고 어디가 잘나가요? 구글? 샤오미? 삼성이랑 엘지 입니다.
전사 통합어플이 나온다 한들 반쪽짜리 기술밖에 안돼요 업계에서 보기에는.
     
Joker 18-08-30 12:42
   
어떤 산업이든지 간에 한 번씩 이렇게 획기적인 변화가 오는 시점에서 기존 지배기업들이 한 번씩 홱 뒤집히는 경우 많습니다.
기존에 가전, 특히 냉장고에서 삼성 엘지가 강한 건 맞죠.
하지만 그렇다고 맘 놓고 있다가 개박살 납니다.
멀리 갈 것 있나요 뭐. 몇 년 전만 해도 노키아가 핸드폰 쪽에서 이렇게 지리멸렬하게 될 줄 예측한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Acceptance 18-08-30 12:50
   
틀린 말씀은 아닙니다.
기존 가전이 개박살 나는 경우는 많지요.
노키아나 모토롤라의 경우 스마트폰을 대표하는 아이폰 이후 트렌드를 잡지 못하고
박살난경우이지 백색가전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고 생각이 듭니다.
삼성이나 엘지 처럼 백색가전과 IT 모두를 아우르는 기업이 아직까지 없는 상태구요
엘지같은경우 그렇게 스마트폰에서 부진하지만 끌고 가는 이유는 다 이걸 보고 끌구가고
있어요 헬조선 이라 걱정은 충분히 된다 하시지만 정작 그 사업부에서 어떤 생각으로
사업을 진행하는지에 대해서 아무런 생각이 없이 쓴글 같아서 반박해본겁니다.
저하늘이 18-08-30 14:16
   
폐쇄적으로 나가서 성공하려면 애플정도나 되야 살아남지...
국내 대기업들은 눈치보기나 하고 있죠... 
선도할 정도의 역량은 안된다고 보면 됩니다.
애플이나 구글정도되는 회사가 표준안 만들면 또 어영부영 따라갈겁니다.

국내 대기업들은 선도할 역량은 없고
잘하면 패스트팔로워고  못하면 짝퉁기업정도 밖에 안됨.
유저님 18-08-30 15:00
   
툴을 만들고 규격을 만드는것은 한두 회사로 귀결되지 않아요
VHS 테이프도 그랬고 퀄컴 CDMA 도 그랬죠
미국 ASA에서 규격을 만들겠죠  트럼프 행정부에서 이런 먹거리를 놓친다고 생각하기 어렵네요
예카테리나 18-08-30 15:35
   
사물인터넷이 종류가 많아서...
보통 센서를 통해서 프로세스를 규격화 해서
게이트웨이서버를 통해 중앙 관제로 보내는 형태를 많이 쓰고 있는데
현재 사물인터넷의 규격이 생각보다 많진 않습니다...
업계에서는 위와 같은 규격이 100개가 넘는다는 이야긴 있는데,
실제로는 7개~10개 정도의 규격만 통용시키면 80 %는 문제없이 적용된다고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