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10 15:13
일본 깊숙히 진출한 국산토종브랜드가 있나요?
 글쓴이 : 뽀루
조회 : 1,791  

국내에 깊숙히 진출한 일본 브랜드 보면
 
세븐일레븐, 패밀리마트, 미니스탑, 유니클로, abc마트, 포카리스웨트, 미츠비시 볼펜, 소니 이어폰,
도시바 노트북, 카시오 계산기, 올림푸스, 니콘, 캐논, sk2, 세이코 시계, 시티즌 시계, 야마하 악기,
아이바네즈 기타, esp기타등 브랜드가 우리나라 깊숙히 진출해 있는 반면(국내서 잘팔린다는의미)
 
반대로 우리국산 토종브랜드가 일본에 깊숙히 진출한 브랜드가 어떤게 있을까요?
삼성, 엘지가 일본에 있다해도 그리 잘 팔리는것 같지않아보이고..진짜.. 뭐 없는거 같은데.. 일본시장뚫기가
진짜 어려운듯.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달리기 14-03-10 15:14
   
한국 제품을 쓰면 주변에서 차별을 받기 때문에 쓰기 힘든걸로 압니다.
씹덕후후후 14-03-10 15:15
   
갈라파고스 일본
뮤진 14-03-10 15:15
   
미국 브랜드도 안팔리는게 일본입니다.

점마들은 이태리니 프랑스니 영국제니 쳐다도 안봐요.

일본에서 그나마 가장인정하는 브랜드는 독일브랜드정도.?

구지 한국만 뚫기 힘든게 아니라는거죠.

그래도 삼성.스마트폰과 엘지는 폰은 아니더라도 냉장고류는 잘팔립니다.

중국에서 제일 잘나간다는 하이얼 전자제품이 10년후던 20년후던 세계를 재패한다해도

지금 우리한국에서 중국제품 잘팔릴꺼같나요?안씁니다.안팔릴거라 확신합니다.

수십년 이미지란게 그래서 무서운겁니다.
김구라아님 14-03-10 15:15
   
일본인 5천만명이 쓰고있는 라인이 네이버꺼죠.
     
그리고 14-03-10 15:17
   
네이버를 일본 회사로 알고 있....
          
김구라아님 14-03-10 15:19
   
중요한건 그게 아니죠. 우리나라에 팔리는 일본자본의 것들도 일본껀지 모르고 쓰는게 상당수니까요.
          
대당 14-03-10 15:48
   
네이버를 일본회사로 알고 있다기 보다
처음에 네이버가 한국회사라 거부감을 가질걸 우려해
라인은 일본의 순수국산 기술로 만들었다고 국산이라며 선전을 많이 했습니다.
그래서 네이버는 한국회사여도 라인은 일본산 뭐 그런 개념으로 생각하는듯요
     
뽀루 14-03-10 15:24
   
아.. 그거 하나있군요. 라인은 우리꺼죠.
          
김구라아님 14-03-10 15:31
   
하나라도 단순히 물건 몇개파는 그런것보다 훨 낫죠.. 라인덕에 네이버 시가총액이 28조 까지 뛰었네요.. 파급력이 큰듯 일본애들이 써준덕이죠 ㅎ
81mOP 14-03-10 15:16
   
훔....소주 정도 아닐까요?
NASRI 14-03-10 15:16
   
히트 상품은 매번 있었지만

이내 한국 제품이라는 대대적인 일본 언론 뭇매를 맞고 판매율 눈에 띄게 떨어지는 수순이죠.

웃긴건 한국에서는 정작 일본 제품이라는 표시도 내색도 안하고 국내 연예인까지 내세워서 팔아먹고 있는 실정이죠.
성나정 14-03-10 15:18
   
중국이 아무리 발달했어도 우리가 중국제 제품 안쓰는거랑 똑같습니다. 쟤들도 한국을 그런 정도의 수준으로 봄
안팔리는게 당연..
     
NASRI 14-03-10 15:23
   
그거랑은 분명히 틀리죠...

우리나라는 중국 제품이 한국것 보다 뛰어나질 못하니까 그런거고

일본은 자국 제품보다 한국제품이 더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고의적으로 배척하는겁니다.

스마트폰 백색가전은 한국산이 일본산보다 더 뛰어나고 세계적인 판매율만 비교해도 월등히 앞섭니다.

이걸 중국제품을 바라보는 우리나라 관점과 똑같다고 판단하는건 완전 오산이죠.
          
성나정 14-03-10 15:28
   
오산은 무신요....

우리도 중국제 하면 일단 무시부터 하고 보죠. 지들이 잘만든다 해봐야 한국제가 훨씬 낫다는 생각이 박혀있어요.. 쟤들도 마찬가지임, 삼성이 전세계적으로 잘 팔린다해서 그게 곧 최고 성능이란 소리는 아니죠. 도요타가 독일보다 차 잘만들서서 세계1위 먹는게 아닌것처럼
일본애들은 기본적으로 삼성이니 뭐니 다 불신하고 봅니다. 그래서 안사는거구요. 설령 더 좋은 제품이라해도 안삽니다.. 자기꺼 보다 굳이 한국껄 비싼데 살리가 없죠.
우리나라 사람이 아무리 중국제 제품이 좋다한들 한국꺼 보다 비싸면 살까요??
               
NASRI 14-03-10 15:37
   
님이야 말로 스스로 어불성설을 주장하고 있네요.

처음에는 그저 수준 차이 때문에 안산다고 말하다가 갑자기 가격 논리를 꺼내시는데

애시당초 가격 논리는 국적을 떠나서 경쟁력이 있는겁니다.

가격 논리로 따지자면 님 스스로 말한 우리가 중국제 제품 안쓰는거랑 똑같다는 소리도 헛소리죠.

님 스스로 수준 차이 탓이라고 주장해놓고 급히 가격 논리로 뒤집는 꼴이죠.
                    
성나정 14-03-10 15:41
   
난독증 있어요????? 말귀를 못알아먹을것 같으면 태클을 걸지 말던가..
기본적인 한국에 대한 인식이 그렇단 소립니다. 하물며 더 비싼 한국제를 굳이
살 이유가 없다는거예요.. 우리가 중국제 제품에 대한 불신이 높은데 가격이 아예
한국제 보다 높으면 살 이유가 없는것 처럼요..  뭔 자꾸 이상한 소리로 논쟁을 할려구 합니까
                         
NASRI 14-03-10 15:48
   
왜 논점을 흐립니까?

댁이 분명히 말했죠?

"우리가 중국제품 안쓰는거랑 일본이 한국제품 안쓰는거랑 똑같다."

이게 댁이 분명히 말한 논점의 핵심이고

제가 말한건

"우리가 중국제 기피하는거랑 일본이 한국제 기피하는거랑은 분명 본질이 다르다."

이게 제가 말한 논점의 핵심이죠.

뒤늦게 가격 논리로 싸면 산다는둥 논점 흐리면서 헛소리 하고 있는건 분명히 댁이죠.

여기 보고있는 사람 누가봐도 이해하고 있는걸 정작 이해 못하고 난독하고 있는건 님이죠.
                         
성나정 14-03-10 15:55
   
이상한 자존심으로 개어거지 부리는게 특기임? ㅎㅎ

한국제 제품에 대한 기본적인 불신이 있는데다가 거기에 플러스 가격까지 더 비싸니까 살리가 없다는 소리가 어떻게 하면 가격만 더 싸면 한국제라도 팔릴거란 표현으로 해석이 가능하지.. 자꾸 말꼬리 잡으면서 행간 파악 할 생각은 안하네.. 내 댓글은 읽고 쓰는거요? 아니면 그냥 태클은 달았으니 도중에 꼬리말 생각하니 자존심은 상하니 자꾸 어거지 부리는거유??

그리고 한가지만 물읍시다

여기 보고있는 사람 누가봐도 이해하고 있는걸???

그 누가봐도는 누구입니까?? 가을기분님은 내 글 이해하고 님한테도 설명도 하는구먼.. 도대체 누가 난독이라는건지 -.-;;
                         
NASRI 14-03-10 16:07
   
왜 뒤로 갈수록 자꾸

가격 갖다붙이고

불신 갖다붙이고

개어거지 부리고 있는게 정작 누구인지?

댁이 분명 위에 써놨잖아요?
"우리가 중국제품 안쓰는거랑 일본이 한국제품 안쓰는거랑 똑같다."

그래서 제가
"우리가 중국제 기피하는거랑 일본이 한국제 기피하는거랑은 분명 본질이 다르다."

우리가 중국제품 기피하는건 중국제가 우리보다 뛰어나지 못함이 주요 원인이지만

일본이 한국제품 기피하는건 한국제가 일본제 보다 뛰어나더라도 차별한다는 겁니다.

이런 문제를 단순히
"우리가 중국제품 안쓰는거랑 일본이 한국제품 안쓰는거랑 똑같다."

이런말로 똑같다라고 보는건 아니라는 겁니다.

지금 이상한 자존심으로 개어거지 쓰고 있는게 과연 누구일까요?

지나가는 개가 웃을 소리를 하시네요.
                         
성나정 14-03-10 16:22
   
당신이 말귀를 못 알아 처먹으니까 자꾸 부연설명을 하다보니 안썼던 단어가 나오는거죠.어거지로 살을 붙이는게 아니라요

님은 반중 감정이 있어서 중국제 안씁니까???
일본은 반한 감정이 있어서 한국제품 안써요???
한국이 반일 감정 있어서 그래 일본 제품 안팔리던가요??
기본적으로 반일,반한 감정의 정치적인 감정은 전체 국민 감정일뿐, 자기 제품 살때는 그런거 일체배제하고 제품 자체만 고려합니다. 삼성이 캐논, 니콘만큼의 성능뽑아주면 굳이일제 안살껍니다. 일본도 마찬가지 비싼돈주고 굳이 삼성 핸드폰을 살 만큼 삼성것이 일본사람들에게 아이폰과 다르게 한국제품에 대한 불신을 상쇄할만큼의 매력적인 기기가 아닌겁니다.

님이 말한 한국에 대한 차별이란건 대체 뭔데요?? 반한 감정입니까 아니면 한국 제품에 대한 불신입니까???  그럼 한국색 지우고 진출한 라인은 왜 국민 어플이 된거구,  레이캅이란 진드기 청소기는 한국색 배제하고 일본 홈쇼핑에서 엄청 많이 팔렸습니다. 이게 유럽이나 미국제품이 아니라 한국제란 사실이 알려지는 순간 이 청소기만이 가지는 독특한 성능이 아니라면 그냥 그와 비슷한 일본제를 살겁니다. 일본사람들은..

님이 말하고자 하는거 제가 말하고자 하는거는 그냥 표현방식의 차이일뿐,, 크게 따지고 보면 별 다른 말도 아니구먼.. 열내면서 논쟁하는 이유를 모르겠네 에휴
                         
NASRI 14-03-10 16:57
   
그럼 처음부터

"님이 말하고자 하는거 제가 말하고자 하는거는 그냥 표현방식의 차이일뿐,, 크게 따지고 보면 별 다른 말도 아니구먼.. 열내면서 논쟁하는 이유를 모르겠네 에휴"

이렇게 말하시면 될걸 이상한 자존심으로 끝까지 애쓰신게 누군가요?

뒤에 살 붙인거 다 떠나서 제일 처음 님이 머라고 쓰셨습니까?

님이 분명히
"우리가 중국제품 안쓰는거랑 일본이 한국제품 안쓰는거랑 똑같다."

이에 제가
"우리가 중국제 기피하는거랑 일본이 한국제 기피하는거랑은 분명 본질이 다르다."

그러니
난독증이니
말귀를 못알아처먹느니
이상한 자존심으로 개어거지 부리는게 특기라느니

하면서 인신공격하는데 이게 어딜봐서 표현방식의 문제인가요?

님 말대로 크게 따지고 보면 별 다른 말도 아니라고 결론 낼거 머하러 이러신지 이해가 안가는군요?

마지막까지 이상한 자존심으로 개어거지 쓰는 사람이 누구인지 답은 나와 있습니다.
                         
성나정 14-03-10 17:12
   
사람이란게 남에게 엄격하고 자기에겐 관대하다더니
자기가 먼저 헛소리라느니 인신공격 먼저 시작하면서
지나가는 개나 웃을 일이니 등의 남 신경 긁은건 안보이나보죠??
대단하십니다 그려 -.-;; 님 짱 乃
                         
NASRI 14-03-10 17:39
   
논리적으로 털리니

"크게 봐서 같은 말이다" 라고 꼬리내리고 기껏하는 말이 비아냥인가요?

그리고 끝까지 틀린 말씀을 하시는데

"기본적으로 반일,반한 감정의 정치적인 감정은 전체 국민 감정일뿐, 자기 제품 살때는 그런거 일체배제하고 제품 자체만 고려합니다."

님의 지극히 개인적인 구매 기준을 전국민한테 일반화 시키진 마시죠?

당장 저만해도 일본 제품이라면 가급적 안삽니다.

그럼 한국에서 일본제품이 덜 팔리고 일본에서 한국제품이 덜 팔리는건 어떻게 설명하실건가요?

반중감정이랑 반일감정 심지어 반한감정까지 동일 선상에 놓고 생각하는거 자체가 틀려 먹었네요.

애시당초 그런 관점으로 접근하니 실언으로 시작해서 인신공격이나 하다 물러나는 겁니다.

비아냥 말고는 딱히 할말도 없으신거 같은데 거친 언사는 그쯤하시죠.
                    
가을기분 14-03-10 15:44
   
NASRI//

'성나정'님의 말이 이해가 안되나요?

한국 제품이 객관적으로 성능이 떨어진다는 말이 아니고

한국 사람들이 중국제품 무시하듯 일본 사람들은 한국 제품을 무시한다는 겁니다
                         
NASRI 14-03-10 16:05
   
정작 이해를 못하고 계신는건 님 같네요.

지금 무시를 한다 안한다를 따지는게 아니고

저분은
"우리가 중국제품 안쓰는거랑 일본이 한국제품 안쓰는거랑 똑같다."

제가 말하는건
"우리가 중국제 기피하는거랑 일본이 한국제 기피하는거랑은 분명 본질이 다르다."

우리가 중국제품 기피하는건 중국제가 우리보다 뛰어나지 못함이 주요 원인이지만

일본이 한국제품 기피하는건 한국제가 일본제 보다 뛰어나더라도 차별한다는 겁니다.

이런 문제를 단순히
"우리가 중국제품 안쓰는거랑 일본이 한국제품 안쓰는거랑 똑같다."

이런말로 똑같다라고 보는건 아니라는 겁니다.
                    
햄돌 14-03-10 15:56
   
NASRI

맞아요

우리가 중국제 안쓰는거랑, 일본이 한국제 안쓰는거랑은 다름
               
햄돌 14-03-10 15:41
   
백색가전에서 이미 한국산이 세계최고임은 초딩들도 다 아는 사실인데?
                    
성나정 14-03-10 15:45
   
돌겠네.. 그거야 세계인의 상식이지.
이상한 자부심 부리는 원숭이들한테는 그 상식이 안통한다구요.
한국만이 만들수 있는 제품아니면,, 굳이 지네 나라껄로 대체할 수 있으면 안사요.
gagengi 14-03-10 15:18
   
국내 패밀리마트는 한국기업이 인수하면서 CU로 변경됐습니다. 이제 한국기업입니다.
     
뽀루 14-03-10 15:27
   
일본내에 있는 패밀리마트도 우리나라꺼가 된건가요? 일본내 패밀리마트는 간판 cu로 안바꾼거 같던데.
          
햄돌 14-03-10 15:33
   
아뇨;;  뭔 소리하는거임?
뉴스 안보고 사나? 세상돌아가는걸 모르고 사시네;;
          
성나정 14-03-10 15:33
   
일본패밀리마트 지분보다 한국기업 지분이 더 많아서 CU 간판을 갈아버린거 아닌가
          
허각기동대 14-03-10 15:35
   
원래 대한민국에서는 보광훼미리마트(전 훼미리마트 한국지부, 현 BGF리테일)가 일본 훼미리마트 본사와 제휴를 맺어 훼미리마트 브랜드로 매장을 운영하였으나 제휴사(훼미리마트)와의 라이선스 계약을 해지한 후, 2012년 8월 1일부터 이 브랜드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CU 단독으로 편의점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하기에 훼미리마트 본사와의 협력관계는 유지되고 있다. 브랜드명칭 변경에 불만을 가진 가맹점주들의 요청으로 고객들의 혼란(브랜드 인지도 상실)을 막기위한 조치로써 'CU with FamilyMart'[1]라는 문구를 간판에 삽입하였다.

다만, CU는 훼미리마트와 별개의 브랜드이기에 훼미리마트에서 CU의 경영을 관여하지 않는다.
만수사랑 14-03-10 15:18
   
일본에 깊숙히 진출한 국산 토종 브랜드 ->  일왕
     
햄돌 14-03-10 15:2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도련님납쇼 14-03-10 15:19
   
일본이 그래도 기술력으론 미국 이랑 거의 동급아니예요?
유럽 전체를 다합해도 일본 기술력 하나에 못미치던데
     
신호좀보고 14-03-10 15:21
   
아니에요. 물론 특정분야로 좁히면 그런 분야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택도 없죠.
     
성나정 14-03-10 15:21
   
응????? 독일 혼자서도 바르고도 남을듯 한데? ㅋㅋ
     
햄돌 14-03-10 15:21
   
뭔 소립니까 이건 또ㅋㅋㅋ
     
도련님납쇼 14-03-10 15:31
   
뭔 소리라고 하지만 말고 인터넷에 일본 기술력 쳐보세요
기술력 전체적으로 봤을때 이야기 입니다.
세계기술력 국가에서 1위가 31.8%  미국이고 2위가 28.6% 일본이랍니다.그다음 eu연합국가가 28.2% 랍니다
          
신호좀보고 14-03-10 15:33
   
그건 그냥 양적인 특허 갯수를 나타낸거죠
          
햄돌 14-03-10 15:33
   
특허갯수 아닌가열?
특허갯수로 치면 우리나라가 4등임 ㅋ
     
달리기 14-03-10 15:35
   
도련님납쇼님 그 수치 검색해보니까 특허 건수네요. 특허 건수가 기술력 국가 순위를 결정하던가요? 더군다나 우리나라는 세계 4위를 마크하고 있네요 ㅎㄷㄷㄷ
          
도련님납쇼 14-03-10 15:38
   
삼극특허가 곧 세계기술력 경쟁력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가 4위인건 자랑스럽지만..그래도 일본에 비하면...턱없이 부족하죠,,,
이런 면에선 일본이 대단하긴 대단한거 아닌가요
               
달리기 14-03-10 15:43
   
일본 대단하죠 부정하는 사람 없습니다. 다만 미국과 동급은 전혀 아니라는것이고. 또 IT 관련해서 일본과 한국은 특허가 남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계금속 특허는 독일이 꽉잡고있죠. 결국 기술력에 있어서 EU를 다합해도 일본에 못미친다는것도 말이 안된다는거.
                    
햄돌 14-03-10 15:45
   
세계적으로 특허가 중복이되는지 심사하는나라는 한국, 일본, 미국, 유럽 이 네 나라 뿐
               
도련님납쇼 14-03-10 15:50
   
미국이랑 동급이란 말은 흠..제가 생각이 짧은듯 한것 같군요..
허각기동대 14-03-10 15:20
   
산와 산와 산와 머니.  러시앤캐시 뭐 사채시장도 일본애들 판이네요.
     
성나정 14-03-10 15:22
   
따지고 들자면 전부 재일자본이죠. 일본의 빠징코, 풍소업체도 재일들이 꽉 잡고 있음
     
뽀루 14-03-10 15:30
   
그렇네요. 에휴.. 진짜 많아 일본꺼들.
달리기 14-03-10 15:24
   
나쁠건 없다고 봐요. 다양한 문물을 접할 기회를 잃고 내수 시장에 안주하게 되는건 일본 자신들이니까요. 일본 시장에 비중을 두기에는 들이는 에너지대비 결과 효율이 너무 낮습니다.
Joker 14-03-10 15:25
   
도시바 노트북이 우리나라에 깊숙히 들어와있다라...그닥 동의안됨.
그리고 포카리 스웨트같은 경우는 합작 기업 형태로 들어와 있는거기 때문에 좀 다르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허각기동대 14-03-10 15:27
   
그러고 보면 일제가 많긴 많네여. ㅋ
햄돌 14-03-10 15:32
   
찾아보면 많죠, 몰라서 그렇지
햄돌 14-03-10 15:34
   
미츠비시 볼펜, 소니 이어폰,

도시바 노트북,

이건 전혀 동의가 안되는데?

솔직히 일찍히 일본이 아시아에서 제일먼저 근대화기틀을마련하고
서구의 문화와 기술을 전부 배워서 우리보다 높은건 사실임
둥가지 14-03-10 15:39
   
야끼니꾸 ㅋㅋ

이놈들은ㄷ ㅏ 일본전통음식인줄 알고 먹겠죠
     
햄돌 14-03-10 15:4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우주대항해 14-03-10 15:47
   
그 발톱깎이 만드는곳 있지 않나요? ㄱ-
     
햄돌 14-03-10 15:58
   
어디요? 손톱깎이나 족집게, 금속공업은 우리나라가 전세계 50%이상은 꽉잡고있음 ㅋ
햄돌 14-03-10 15:47
   
근데 유니클로 옷들이 품질도 안 좋고, 디자인도 별로라 안 사는사람들도 많은걸로 암

그냥 값이 싸서 사는거겠죠
퇴계이황 14-03-10 16:40
   
댓글들이 재밌다.ㅋㅋㅋ
vvv2013vvv 14-03-10 16:50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다시는 저 제품들 안살껍니다
경제랑 정치를 분리하자는 분들은 일본내 한국제품 판매동향이나 좀 보시죠
즐거운상상 14-03-10 18:55
   
댓글이 제일 재미있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