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09 22:57
워싱턴포스트 별그대사진 기사해석.txt(알싸스크랩)
 글쓴이 : 미사리
조회 : 1,677  

                          (알싸에서 스크랩해옴) 워싱턴포스트 별그대 사진 기사 해석.txt|
                         
                           인터넷 판이나 아시아계판이 아니라 워싱턴 포스트지 1면이라함
 
 
3745434203_26dbcdbf_20140308wp.jpg

 
 
 
Chinese officials debate why China can’t make a soap opera as good as South Korea’s

중국 고위임원들은 왜 중국은 한국처럼 드라마를 못 만드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BEIJING — There is no shortage of problems facing China these days: a terrorist attack that recently left 33 people dead and 143 injured, corruption in government, a worrisome slowdown in economic growth.

최근 중국에는 논의할 문제가 부족하지 않다. 33명의 사망자와 143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테러리스트의 공격도 있었고, 정부의 부패 그리고 주춤하는 경제 성장 등 문제는 많다.



So when the country’s two highest governing bodies met in Beijing this week, what was the burning issue on the delegates’ lips? A South Korean soap opera that has taken the country by storm.

그렇다면 이번 주 베이징에서 열린 양회(兩會)에서, 대표단들의 입술을 가장 뜨겁게 달군 이슈는 무엇이었을까?
나라를 폭풍처럼 뒤집은 한국의 드라마 이야기였다.


To be fair, it’s hard to overstate just how popular this show is these days. After the show’s female lead mentioned “beer and fried chicken” in one episode, it became one of the most invoked phrases online. Restaurants cashed in and started selling beer-and-fried-chicken meals.

이 드라마가 얼마나 열풍인지 이루 표현하기에도 어렵다. 드라마의 여자주인공이 한 에피도스에서 '맥주와 프라이드치킨'을 언급하자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문장이 되었다. 레스토랑들도 기회를 이용해 '치맥'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One pregnant woman from Jiangsu, a province in eastern China, almost had a miscarriage, according to news reports, after she stayed up too many nights binge-watching and eating fried chicken and beer.

Jiangsu에 사는 한 산모는 매일 밤 늦게까지 자지 않고 치맥을 먹다가 유산의 위험까지 왔다.



The show’s name translated in English is “My Love from the Star.” It has garnered more than 2.5 billion views online and has shot up to the top of the country’s viewership. (A taste of the drama, with English subtitles, is available here.)

드라마의 제목은 영어로 해석하면 '별에서 온 내 사랑'22.5억뷰를 달성했다.


Its premise may seem bizarre to Western soap watchers: It’s about an alien who accidentally arrives on Earth 400 years ago, meets an arrogant female pop star and falls in love.

이 드라마의 설정은 서양 드라마 시청자들에게는 조금 이상하게 보일지 모른다. 400년 전 사고로 지구에 온 외계인이 건방지기 짝이 없는
톱스타를 만나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다.



Well aware of the craze the drama has created in China, one committee of China’s political advisory body (called the CPPCC) spent a whole morning bemoaning why China can’t make a show as good and as big of a hit.

중국에서 부는 이 광풍을 잘 알고 있는 중국의 한 고문단은 (CPPCC) 한 아침 내내 왜 중국은 이런 드라마를 이렇게 잘 만들지 못하며
이런 히트를 치지 못하는지에 대해 한탄하였다.



At a meeting of delegates from the culture and entertainment industry, some blamed it partly on China’s censorship, euphemistically referred to as the “examination and approval system” at the meeting by Feg Xiaogang, a famous transparentor and a CPPCC member. “My heart trembles,” he said, when waiting for a movie to go through this rigorous censoring procedure.

문화산업 대표단이 만난 회의에서는, 중국의 검열제도를 탓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중요하지 않아서 나머지 문장은 스킵)



“My wings and imagination are all broken,” said one comedian delegate. But she didn’t go into further detail, perhaps out of caution of offending those very censors.

"내 상상의 날개는 모두 부러졌다" 고 코미디언 대표가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는 더 자세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아무래도 검열하는 자들의 심기를 건드릴까 조심스러웠던 모양이다.


Many viewed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drama as a heavy blow to Chinese confidence in their culture.

많은 사람들은 한국 드라마 열풍이 중국의 자문화에 대한 자부심에 강한 타격을 입혔다고 생각한다.



“It is more than just a Korean soap opera. It hurts our culture dignity,”one CPPCC member said.

"그냥 한국드라마 열풍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것은 우리 문화의 품위를 해한다." 라고 한 양회 위원은 말했다.



It’s not the first time popular foreign entertainment has led to hand-wringing in China. In 2008, when Dreamworks’ “Kung Fu Panda” became a runaway hit in China, it led to similar soul-searching. Why did it take American producers to find the drama and humor in a fat panda learning kung fu in China, many asked.

외국 엔터산업의 열풍으로 중국이 절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8년, 드림웍스의 '쿵푸팬더'가 엄청한 히트를 쳤을때도,
비슷한 자기반성의 시간으로 이어졌다. 어째서 미국 프로듀선들이 (자신들의 동물인) 팬더에게서 그런 드라마와 유머를 생각해냈는지
많은 사람들이 의아해했다.


This time around, the angst over the Korean drama carries with it bitterness about regional rivalries. While China has long considered itself the source of East Asian culture, the domination of Japanese comics and Korean soap operas in Chinese pop culture challenges that view.

이번 한국드라마의 열풍은 지역경쟁에 대한 약간의 씁쓸함도 동반한다.
중국은 오랜 시간동안 스스로를 동아시아 문화의 원천이라고 여겨왔다. 하지만, 일본 만화와 한국 드라마가 중국의 대중문화를
지배하기 시작하자 그 시각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햇다.


One of China’s top seven Communist Party leaders even weighed in on the issue this week.

“Korean drama is ahead of us,” Wang Qishan said in surprising comments at one of the more important legislative meetings, according to Beijing News. Wang is head of the Central Commission for Discipline Inspection, in charge of an ongoing wide-scale anti-corruption campaign. (Wang, who seems to keep a busy TV viewing schedule, is also reportedly one of the many ardent fans within the party of the Netflix drama “House of Cards.)

한 중국 고위임원이 이 문제에 더 무게를 실었다.
"한국 드라마는 우리를 앞섰다." 며 왕치산은 말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서명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gagengi 14-03-09 23:03
   
동아시아문화의 원류는 중국이 아니라 한국입니다. 중국은 수천년간 한민족계 북방민족에 식민지배받으면서 문화를 받아들인 것 뿐입니다. 동아시아 문화는 홍산문화때부터 한국으로부터 중국과 일본양쪽으로 뻗어갔습니다.

한민족(홍산문화)에 의해 중국문명이 개화 :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6&wr_id=105403&page=5
자그네브 14-03-09 23:08
   
감사합니다. 궁금했던 기사였는데....
카르마이즈 14-03-09 23:21
   
"그냥 한국드라마 열풍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것은 우리 문화의 품위를 해한다." 라고 한 양회 위원은 말했다.

한국찌라시들이 가볍게  한류자랑으로  기사를 뽑아내던데  이게 저쪽의  본심이겠죠.
일본정치권에서  한류를 보고  쿨재팬 계획을  수립한것처럼  자존심이 상한 중국정치권에서도
뭔가  특단의  조치를 취할것 같습니다. 
자국 엔터산업을 위해 특단의  발전계획을  세우던지
아니면  이미 방송국에서  외국드라마  방영횟수 제한하는거에 더해서  인터넷 스트리밍에서
까지  조치를 취할수도 있겠군요.  중국이나 일본이나  비슷한 문화권인 탓에
한국문화가  쉽게 파고들수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둘다  민족적인 자존심이  너무 높아서 
인기가 과열되면  희생양이 될가능성도  높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