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09 19:05
중국이 지금이상으로 경제가 더 발전할수 있을까요?
 글쓴이 : 뽀루
조회 : 713  

중국내에 외국자본들이 많고 중국내에 있는 사업들이 해외에서 빌린 빚으로 하는게 많다는데..
 
지금이 중국의 최 전성이고 이 이상은더 성장하기 힘들지 않나요? 솔직히 중국 베이징 물가랑 중국 국민소득을 보면 거품이 굉장히 큰거 같은데
 
과연 더 성장을 하게될까요? 인구가 워낙많고 빈부격차가 심해서 앞으로도 국민소득 1만 달러는 넘기 힘들어 보이는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이테 14-03-09 19:11
   
어려운 문제네요.
베이징은 발전한 도시고 중국 곳곳을 보면 문명하곤 담쌓은데도 적지 않죠.

그런곳까지 다 발전한다면 더 발전할거고..근데 한계는 보이고..
넌몰라도되 14-03-09 19:18
   
30년전 중국이 개방한 이후로....맨날 똑같은 말 반복.
근데요....답은 없는데요....
전문가들 말은요(가짜, 사이비말고 진짜 전문가들).....중국보다, 미국, 일본이 더 문제 많데요. <-- 이게 포인트.

글고 젤 중요한 거는요....(잘 들어 !!)
망해도 중국 혼자 망하는 시대는 아니거든요....(이게 중요한거야)
중국 망하면 다 같이 망해요...(긍까 헛꿈 꾸지 마라고)

내 아디로 검색해봐요. 나는 장꼴라 징말 싫어하거든요.
근데.....중국이 망한다...이건 아니에요.
잘 세겨 들으세요.
     
에르빈롬멜 14-03-09 19:25
   
?
     
퇴계이황 14-03-09 21:03
   
넌몰라도되/ 어느 나라 사람임?? 한국사람 아닌거 같은데.....
     
아르페미아 14-03-10 08:01
   
ㅋㅋㅋㅋㅋㅋ 내 아디로 검색해봐요. 나는 장꼴라 징말 싫어하거든요ㅋㅋㅋ
네.. 노련은 가상합니다만 티가 좀 많이 납니다. 짱꼴라씨..
     
답없다 14-03-10 08:1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세겨X 새겨O
한쿡사람이 이걸 혼동하시나...?ㅋㅋㅋ
마지막 세줄에 님 국적을 그냥 까발리시는데요? ㅋㅋㅋㅋㅋㅋ
도둑이 제 발 저리는 꼴 ㅋㅋㅋㅋ
**** 14-03-09 19:21
   
일본도 거품붕괴 되기 전엔 미국을 넘는다는 소리를 했었죠 근데 요즘 중국 보면 일본의 거품 따위 씹어먹는
김구라아님 14-03-09 19:28
   
그런건 경제학석박사 정도는 되야 대충이라도 얘기할수있는 어려운 질문 아닐까요..

한 국가경제의 장기적인 전망은 너무 어려운듯..
꿈꾸는자 14-03-09 19:52
   
지금도 성장중입니다..대외지표가 그걸 보여주죠..이미 10조달러 gdp돌파했을겁니다..
무역량 총액에서도 작년에 미국을 추월하여 세계 1위자리를 차지했고..뭐 이대로 꾸준히 성장한다면 2020년안에 미국 경제를 추월한다는건 이미 대세입니다..
그래서 미국이 긴장하는거죠..미,소간의 냉전시절이나 1차,2차대전때 미국의 적들은 결코 미국의 경제력과 생산성을 따라가지 못했죠..그래서 미국과의 전쟁에선 생산성에 져서 물량의 미국에 무릎을 꿇었고 냉전시절의 소련도 미국과의 무리한 군비경쟁으로 경제가 파탄나고 무너졌죠..
이유는 미국의 경제력에 미국의 적들이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죠..
한데 중국은 전혀 다른 개념의 적이죠..미국에겐..미국보다 커질게 뻔한 경제력을 갖춘 적입니다..
물량전과 생산성에서 미국이 진다는 말이죠..점점 현실화되고..그러니 미국이 엄청나게 긴장하는 거죠..
그리고 중국의 도농간 엄청난 빈부격차와 소득수준이 낮다는 말은 반대로 하자면 그만큼 자국내 성장할 요건이 많다는 겁니다..자국의 엄청난 성장가능성 즉 시장이 있다는 말이죠..중국과 붙어있는 우리로선 두려울뿐입니다..
     
아르페미아 14-03-10 08:15
   
마치 중국인같은 소리들을... 가생이에 몰래 활동하는 중국인들 진짜 많은듯...ㅋㅋㅋㅋㅋ
중국발 대외지표를 곧이곧대로 신뢰하는건 님같은 중국인들뿐이고... 
2020년에 미국 경제 추월같은 허무맹랑한 헛소리에선 웃으면 되는건가요??
빈부격차가 성장동력이란건 태어나서 님에게 처음들어봅니다만..
이런게 중국인들의 관점인가 보네요. 빈부격차를 성장동력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니
해결할 필요가 없겠죠.  근데 빈부경차가 성장동력인데 왜 자꾸 중국 각지에서 폭동이
일어나고 중국정부는 그걸 숨기기에 급급한지 궁금하기도 하네요.
오구리 14-03-09 20:03
   
도시간  혹은 도농간 빈부 차이가 크다는 게 지금 중국의 성장동력입니다.
저개발 도시위주로 개발을 통해 수출 부진을 내수확대로 돌파해보려는 겁니다.
내수자체가 워낙 크니 지난 금융위기와 재정위기 때 별 탈 없이 넘어간 듯 싶지만 내수확대라는 것이 결국 민간의 자발적인 투자증대나 가속화를 시키는 것이 아니라 정부, 지방정부 주도의 국책산업이나 건설의 확대라는 게 문제입니다.
터무니 없이 일만 벌려놓고 그 뒷감당은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게 뇌관인데 딱히 자료가 별로 없어요. 자료구하기가 힘든 이유는 중국당국에서 내놓는 자료가 투명하지도 않고 신뢰도도 떨어진다는 겁니다. 조사가 부정확하다기 보다는 발표자료의 조작이 많습니다. 불리하거나 불안을 초래하는 자료는 공개 안하는 경우도 많구요.
그럼에도 뇌관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수십조가 들어간 혹은 들어갈 도시계획인데 완공 후 유령도시가 되버린 경우도 있고, 쓸모도 없는 대규모 시설을 짓기도 하는 모습이 딱히 자료가 없더라도 우려를 살만큼 심각했으니까요.
어쨌든 몇 년동안 지속된 위기에도 불구하고 7~8%대의 성장은 내수진작에 따른 효과가 큽니다.
우리나라도 그 덕을 좀 봤죠.
적어도 향후 10여년 간은 발전에 큰 문제는 없으리라 봅니다. 그 만한 내수시장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미 투자자본(기업설비쪽)의 이탈도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데다가 수출의 확대에는 거의 한계점에 다다른 상태라 이전의 10% 이상의 고속성장은 힘들지 않을까 봅니다.
큰 시장이라 메리트가 있는 것이지 생산기지로서는 그 이점이 날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에 대비해 미국 금융위기(2007) 이전 핵심사업으로 몇 개 업종을 선정해 집중적인 투자를 하긴 했는데...
그 집중적인 투자로 인해 해당 산업 기업 수의 증가는 이루어졌지만 생산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는 부진했습니다. 이후 금융위기와 재정위기로 파탄난 업종이 상당했습니다.
그로 인해 정부의 재정적 부담 역시 커졌구요.
아직은 유럽 일부 국가나 일본과 같이 이미 파탄이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정도의 재정상태에 비하면 양호한 편이라 말할 수 있겠지만 중국 내 단기 투자(투기) 자본의 크기는 외환보유고 만큼이나 큽니다.
어느 누구도 위기 없이 지속적인 성장만 이루어질 거라고 생각 안합니다.
더 이상 재정적으로 개입이 어려운 상태로 내수시장 역시 지체되고 실업률이 치솟기 시작하면 언제든 금융위기가 발생할 소지가 충분하다는 겁니다.
그 정확한 시기야 예측이 힘들지만 아직은... 적어도 7~8%의 성장은 한동안 계속되지 않을까 예측해봅니다.
뮤진 14-03-09 20:45
   
인터넷서 10여년전부터 항시 대두되고 나오던 질문이지만.

오려 10여년 전보다 더 위력적으로 발전은 하고있습니다.

어차피 저희끼리는 추측만 할뿐이죠.

또 10여년 전관 다른게 중국애들 개개인들의 소득이 늘어감에따라.

10여년전 명동.한국백화점등 일본애들 90% 중국10%였다면

지금은 그게 바꼈고.중국내수에서만 성공해도 그게바로 세계명품이다란 말이 나올정도로

중국애들 소득이 높아감에따라 외산자본들이 공격적으로 더 투자하고있어서

언제까지 더 발전하냐의 질문은 지금에선 답내리긴 애매하다고 봅니다.
퇴계이황 14-03-09 21:14
   
꿈꾸는자님 밑에 글은 읽지도 않았네요.
중국이 현재는 절대로 미국경제 못 넘어섭니다.(언젠가는 되겠지만 아~주 먼 이야기)
완벽한 민주주의 체제 들어서기전에 그리고 부패 현재보다 대폭 완화시키기전에 어림도 없습니다.
부동산 버블 지금 타의추종을 불허합니다. 국민의 생활 실상은 전혀 고려하지도 않고
보여주기식 유령건물들 어마어마하게 많고, 기득권층의 탈세와 재산빼돌리기가 얼마든지 가능한 나라가 중국이고 빼돌려진 재산만 추산해도  "경" 단위 입니다. 서민경제는 절대로 살아나지 않고 오로지 기득권층으로 모든 돈과 권력이 기울어지게 된 나라에서 절대무리고 . ( 많이 쓰기 귀찮아서 줄임니다) 제일 중요한건 미국과 유럽이 짜놓은 경제성장 틀에서 그 틀을깨고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기란 현재는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총GDP는 높을 지언정 외국자본덩어리 중국자체가 순수한 중국의 재산이 되진 않습니다.
외국으로 빠지는 돈 또한 엄청나게 많은 액수 입니다.
란데스헤르 14-03-09 21:18
   
저가 경영학과 나왔는데 중국 학생들 없을 때 슬쩍슬쩍 말해주는데 미국 다음 패권국이 될거라고 몇 번 말해주신적이 있네요
답없다 14-03-10 08:20
   
성장 가능성이야 많죠ㅋ
하지만 국민성이 그따구에 게으르기로 유명한 종족들이라 ㅋㅋ
어느선에서 정체기가 올수밖에 없죠. 그 국민성은 못버림 종특이라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