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09 19:11
혹 이책인가요? 신단수님?
 글쓴이 : 남만맹덕
조회 : 263  

창의성의 이해






저자 : John S. Dacey님

이신동 
(순천향대학교 교육과학부 교수) 
이정규 
(성균관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박성은 
(가톨릭대학교 의학교육과 연구교수) 
김은진 
(서울청구초등학교 교사) 

John S. Dacey 

Kathleen H. Lennon

목차위로

제1부 서론 

제1장 창의성의 여러 가지 요소들 
창의적인 사람들의 초기환경 
창의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다른요소들 
생물ㆍ심리ㆍ사회학적 관점 
창의성의 새로운 모델 
이 책의 구성 

제2장 창의성의 개념의 역사 
두 개의 마음의 방 
그리스 시대 
중세 시대 
르네상스와 인본주의의 시작 
개혁과 인본주의 
연합론자와 게슈탈트 관점의 논쟁 
19세기의 뇌 생물학 
유전과 환경 
20세기 초기의 전망 

제2부 사회적 요인 

제3장 가족의 역할 
앨버트의 이론 
데이시의 연구 
다른 경험적인 연구들 
창의적 성장에 대한 가족의 지원 
결혼과 부모 역할의 효과 

제4장 사회적 환경의 역할 
학교 
사회적인 보상은 도움인가 장애물인가 
연령에 따른 창의성 
천재와 창의성에 대한 문화의 역할 

제3부 심리학적인 요인 

제5장 창의적 성격의 열 가지 특성 
열가지 특성 
융통성 
창의적 사람의 기타 특성 

제6장 자기통제의 효과 
자기통제에 대한 부모 역할 
학교에서의 자기통제 
생물심리사회적 자기통제 모형 

제7장 창의적 성격 특성의 형성 
초기 이론들 
최근의 이론 

제8장 창의적 인지과정 
연합주의 
게슈탈트 심리학적 입장 
초기 인지-발달론적 접근 
현대적 인지 이론들 

제9장 창의적 문제 해결 
길포드의 지능구조이론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 대한 다른 접근방법들 
다루기 힘든 창의적 학생 

제4부 생물학적인 요인 

제10장 세포 수준에서의 두뇌 
신경세포들 간의 소통 
기억 
신경전달물질 

제11장 인간 두뇌의 좌ㆍ우 반구 
반구 우세 
뇌 반구 우세에 대한 증거 
좌ㆍ우 뇌 반구의 조화 
뇌 연구와 창의성에 대한 경고들 

제5부 통합 

제12장 창의성에 대한 생물ㆍ심리ㆍ사회학적 설명 
생물ㆍ심리ㆍ사회학적 접근의 일반화 
길포드 모형에 대한 데이시-레넌 모형의 적용 
맥락주의적 측면에서의 새로운 창의성 이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군포시청 14-03-09 19:25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