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2-05 20:27
혹시 이것이 새로 도입되는 GO 입니까???
 글쓴이 : 일본진돗개
조회 : 609  

본문이미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77&aid=0003145005

GDP+GO, 美 내년 지표 추가

광고
 
<iframe id="f280240" name="f280240" src="http://ad.naver.com/adshow?unit=120H&subject=sid1-101_sid2-262" width="280" height="240" marginheight="0" marginwidth="0" border="0" frameborder="0" scrolling="no" align="center" title="배너광고"></iframe>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경제활동을 측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지표는 국내총생산(GDP)이다. 하지만 GDP가 과연 경제활동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 것인가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미국의 GDP를 발표하는 미 상무부 산하 경제조사국은 내년 봄부터 총산출(GO·Gross Output)이라는 새로운 경제지표를 발표할 예정이다. 50여년 전 GDP가 처음으로 채택된 후 처음으로 경제활동을 측정하는 새로운 지표가 등장하는 것이다. 

GO는 최종 소비재의 가격만을 따지는 GDP와 달리 생산과정의 모든 가격을 집계하는 방식이다. 즉 최종 소비재뿐 아니라 최초 원자재부터 중간재의 가격도 포함시키는 개념인 것이다. 

최종 소비재의 가격만 집계하는 GDP 집계 방식으로는 소비의 측면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GO의 경우 생산 부분도 강조돼 소비와 생산의 비중이 균형을 찾을 수 있게 된다. 

포브스는 GO가 '만드는(make)' 경제를 측정하는 방식인 반면 GDP '사용하는(use)' 경제를 측정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활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GDP보다 GO가 더 효과적이며 단순히 소비에 가려 등한시됐던 저축, 기업 투자, 기술의 진보 등이 강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 소비의 부진은 곧 미 경제의 침체를 뜻한다는 공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GDP 집계 방식에서는 소비가 미 경제의 70%를 차지하지만 GO로 경제활동을 측정할 경우 소비가 미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수준인 40%로 줄기 때문이다. 

반면 기업투자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 이상으로 확대된다. 자연스럽게 기술 투자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커지게 된다.

경기 변동을 보여주는 데에도 GDP보다 GO가 더 효과적이다. 

포브스에 따르면 2008~2009년 침체기 동안 명목 GDP는 고작 2% 감소에 그쳤지만 GO는 7% 이상 줄었다. 중간 생산자는 10% 이상 감소했다. 침체에서 벗어난 2009년 이후 명목 GDP는 1년에 3~4%씩 늘었지만 GO는 5% 이상 늘었다. 

포브스에 따르면 미 GO의 규모는 GDP의 두 배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GDP는 우크라이나 출신 미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가 개발한 지표로 1944년 브레턴우즈 회의 후 경제활동을 측정하는 핵심 지표로 인정받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3187818

삼성-현대차가 韓 GDP 1/3 차지한다?

해외활동 포함된 매출, GDP와 비교대상 안돼… 중소기업은 'GDP 96%' 계산 나와]

병을 치료하는 데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요즘은 고가의 의료장비를 동원해 몸속을 정확히 들여다보고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정확히 찾는 것이 의사의 능력으로 통한다. 

왼쪽 콩팥에 문제가 있는데, 엑스선(X-선) 필름을 뒤집어 놓고는 멀쩡한 오른쪽 콩팥을 잘라내는 우를 범할 수 있어 진단은 치료에 앞서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난 13일 CEO스코어와 재벌닷컴이라는 두 재계분석 사이트에서 경쟁적으로 내놓은 통계자료를 놓고, '엑스선 필름을 뒤집어 읽는 양태'를 보여 논란이 일고 있다. 뉴스 전달에 있어서 기본적인 팩트를 잘못 해석해 국민들에게 오인하게 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본문 이미지 영역
본문이미지
◇GDP 중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96%?='삼성·현대차 그룹 매출, 한국경제 볼륨 3분의 1이상'이라는 자료를 인용해, 삼성과 현대자동차그룹의 매출액을 합하면 국내총생산(GDP)의 35%가 돼 '한국경제의 1/3을 차지하고 있다'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 또 양 그룹의 영업이익이 국내 기업 전체 이익의 30%를 넘어섰다는 '오버(Over)'도 했다.

한국 기업의 국내외 생산 활동을 포함한 전체 매출을, 국내에서 생산 활동(순수출+내수+투자+정부지출)을 통해 발생된 부가가치의 총계(GDP)로 나누는 '이상한' 셈법을 동원했다.

이런 셈법으로 계산하면 삼성과 현대차 그룹이 GDP의 35%를 차지한다는 결론이 나오지만, 더 이상한 것은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국내총생산(GDP)의 96%를 차지한다는 결과가 도출된다.

2012년 우리나라 GDP(IMF 기준)는 약 1233조 3100억원(1조1635억 달러, 원달러 환율 1060원 기준)이다. 같은 해 우리 중소기업 총매출(국내 매출 기준)은 1188조 9346억원(한국은행 2012년 기업경영분석 통계)이다. 

이를 계산하면 GDP 대비 중소기업의 매출은 96%가 된다. 이같은 논리대로 라면 '중소기업이 한국 경제의 96%를 독점한다'는 식의 이상한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한국은행이 2012년 국세청 법인세신고 기업 50만 3104개 중에서 46만 4425개를 조사한 결과 국내 전 산업의 매출은 3450조 7640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GDP의 2.8배다. 매출과 GDP를 단순 비교해 삼성-현대차 그룹의 매출이 GDP의 1/3 이상인 35%를 차지한다는 왜곡된 데이터가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2012년 국내 전체 법인(공정거래위원회 기준 48만 6000개)이 거둔 매출 4212조원 중 삼성과 현대차 그룹이 전체의 11.3%인 476조 8000억원 올렸다. 이 매출 통계도 기업의 현실을 정확히 반영한 것은 아니지만 얼추 사실에 가까운 통계다.

실제 삼성과 현대차 그룹의 2012년 매출(양사 공식 통계)은 각각 380조원과 164조원으로 총 544조원이다. 공정위 자료의 476조 8000억원과는 67조원이 차이난다.

해외법인을 포함한 연결기준 재무제표(양사 통계)와 국내 사업 중심의 개별기준 재무제표(공정위 통계) 사이에서 오는 차이다. 

◇삼성-현대차 그룹 매출 비중은 11% 가량=삼성과 현대차 그룹이 한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을 계산할 때 정확한 통계 근거가 없다면, 국내 전체 기업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 가량 된다는 표현이 정확하다. 

또 삼성과 현대차 그룹이 국내 전체 기업이익의 30%를 차지한다는 논리도 억지에 가깝다. 삼성과 현대차 그룹 외에 다른 기업들이 이익을 높이지 못하면, 국내 기업 전체 이익의 100%를 훨씬 넘어설 수도 있는 통계의 함정이 있다. 두 그룹만 잘해서 될 일이 아니라, 국내 기업 전체적으로 동반상승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국은행 통계(개별기업 기준)에 따르면 2012년 국내 전산업의 영업이익률은 4.11%다. 이 가운데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5.13%, 비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3.05%다.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같은 제조업보다 비제조업의 이익률 제고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지 않는 한 국가 전체적인 경쟁력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의미다. 

삼성전자와 현대차 그룹이 매출의 70~90% 가량을 해외에서 벌어들여 상대적으로 다른 기업들보다 이익이 많은 것을 두고, 국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며 경쟁력 집중으로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얘기다.

삼성이나 현대차 그룹이 국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소위 '단군 이래'로 이 두 기업만큼 전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인 기업도 없다는 소리들도 들린다. 

고교 평준화를 하듯이 '공부 잘하는 학생'을 억눌러 평균을 낮출 것이 아니라, 전체 평균을 높일 수 있는 대표선수를 키우는 것이 지금 한국이 할 일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안녕하세요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브라흐만 14-02-05 20:41
   
네. 정확히는 지금도 우리나라에서 산업연관표에서 발표하고 있지만요.

그리고 기사내용만 언급하자면 뭐만 하면 단군 타령하는데 마치 대한민국 이전에는 개거지국가라는 인상을 주는 기사이군요. ㅎㅎ
vvv2013vvv 14-02-05 20:49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50년된 구닥다리지표 GDP는 이제 한계가있죠
그리고 삼성전자 현대차 집중기사도 참 어이없었는데 이런 기사가 있었군요  잘봤습니다
깔끄미 14-02-05 20:52
   
Use make 개념으로 설명하니 명확하게 이해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