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9-06-10 17:56
인터넷게임 중독에 대한 미국 정신의학회의 대처 현황
 글쓴이 : 스포메니아
조회 : 1,590  

현재 미국 정신의학회 (AP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는 인터넷게임 중독을 장애(또는 질환)으로 분류하지 않았기에 (2013년 정신질환 목록인 DSM-5을 작성할 당시, 인터넷게임 중독 장애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없어서), 인터넷게임 중독을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질환 증세 목록에 올리고, 인터넷게임 중독을 정신 질환으로 분류할지 말지에 대해서 연구 중입니다. 

또한, 인터넷 게임 중독 장애에 대한 판단 기준을 마련해 놓았습니다.


인터넷 게임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협회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은 매우 인기가 있으며, 미국 가정의 3분의 2에서 적어도 한 사람이 비디오 게임을 한다고 한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약 1억 6천만 명의 미국 성인들이 인터넷 게임을 하고 있다고 한다. 이 게임은 매우 재미있을 수 있고, 게임에 몰입하는 것은 쉬울 수도 있지만, 중독될 수도 있을까? 그것은 연구자들과 건강 전문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의되고 있는 의제이다.


DSM-5에 포함된 인터넷 게임

게임 중독은 정신 건강 전문가들이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미국 "정신의학회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5)"에 설명되어 있다. 2013년 DSM-5가 발간될 당시, 이 건강 상태가 특이한 정신장애인지, 아니면 이를 (질병으로) 분류할 수 있는 최적의 척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가 없었다. 그러나, 미국 정신의학회는 더 연구가 필요한 질병 상태를 권고하는 섹션에서 인터넷게임 장애를 인정했다 - 이 권고 섹션에는 카페인 사용 장애 및 기타 건강 상태도 포함되어 있다.

DSM-5는 알코올, 담배, 각성제, 마리화나, 오피오이드와 같은 물질과 관련된 중독성 장애를 포함한다. 도박장애는 DSM-5에서 인정된 유일한 행동중독(약물 사용과 반대되는)이다.

DSM-5는 게임이 한 개인의 삶에 있어 몇 가지 측면에서 "중대한 장애나 괴로움"을 발생시켜야 한다고 지적한다. 여기에서 제안된 질병 상태는 게임에만 국한되며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 온라인 도박 또는 소셜 미디어 또는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문제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안된 인터넷 게임 장애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게임에 집착(심취)
- 게임을 빼앗기거나 할 수 없을 때, 금단 증상(슬픔, 불안, 화를 잘 냄)
- 내성, 충동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게임 시간을 써야 하는 필요성
- 게임하는 것을 줄이는 능력 상실, 게임을 그만 하려는 시도에 실패
- 다른 활동 포기, 게임으로 인해 이전에 즐겼던 활동에 대해 흥미 상실
-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게임을 계속 하는 것 
- 가족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게임을 하는데 소비한 시간을 속이는 것
- 죄의식이나 절망감 등 부정적인 기분을 해소하기 위한 게임의 이용
- 게임으로 인해 직업이나 인간관계를 위태롭게 하거나 잃을 위험

제안된 이러한 기준에 따르면, 인터넷게임 장애라고 진단하려면, 1년 이내에 이러한 증상 중 5개 이상을 경험해야 한다. 임상적으로 심각한 게임 문제를 일으키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로 인터넷에서 게임을 하지만, 이 질환은 인터넷이나 전자기기에서의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구는 진행 중

인터넷게임을 중독/정신장애로 분류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논쟁과 함께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비디오 게임과 중독성 물질에 대해 뇌의 변화가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신경학적 연구가 있다. 

2017년 3월 미국 정신건강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Symphysical)에 발표된 연구에서, 인터넷 게임장애 기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박중독과 게임문제에 대한 연구와 비교하고, 그리고 인터넷 게임장애가 신체적인, 사회적인, 정신적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게임을 한 사람들 중 대부분은 인터넷 게임 장애의 증상을 전혀 보고하지 않았고, 인터넷 게임 장애에 들어맞는 사람들의 비율은 극히 적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의 성인에 대한 몇 가지 연구를 포함했다. 그들은 18세에서 24세 사이의 젊은 성인의 86% 이상 그리고 모든 성인의 65% 이상이 최근에 온라인 게임을 한 적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최근 게임을 한 남녀의 비율은 대략적으로 같았다. 그렇지만, 인터넷게임 장애 기준을 충족한 사람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사람보다 정서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좋지 않은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엇갈리고 있다.

연구자들은 일반적인 사람들의 0.3에서 1.0 퍼센트가 인터넷게임 장애에 대한 잠재적인 진단에 해당될 수 있다는 것을 발혀냈다. 저자들은 열정적인 참여(게임에 열중하고 집중하는 사람)와 병리학(병/중독된 사람)간에 중요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 사람이 게임으로 고통을 받는지가 게임에 열중하고 집중하는 사람인지, 병 또는 중독된 사람인지를 구분하는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다. 

미국정신건강의학회지의 연구에 대한 논평에서 Patrick M. Markey 박사와 Christopher J. Ferguson 박사가 쓰기를, 그 연구는 "비디오 게임 중독이 실제 일수 있지만, 몇몇 사람들이 주장했던 전염병은 아니다"라고 결론냈다.

연구와 토론은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몇몇 사람들은 게임이 우울증이나 불안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의 증상일 수 있고, 장애나 중독 그 자체가 아닐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전문가들이 토론하는 동안에도, 개인들의 이야기는 게임 중독 현상으로 인한 몸부림과 파괴를 보여준다. 한 예가 최근 워싱턴 포스트 기사에서 강조되었는데, 여기에서 읽을 수 있다.

전미 과학 아카데미의 공식 회의록은 현재의 논쟁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비디오 게임을 확인된 행동 중독자 목록에 추가하는 것은 수백만명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정상적인 행동을 병으로 표현할 수도 있으며 새로운 오명을 만들 수도 있다." 

만약 자신이나 사랑하는 사람에 대해 걱정이 된다면,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정신 건강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Internet Gaming

Online games are very popular, at least one person plays video games in two-thirds of American households, according to the Entertainment Software Association. Roughly 160 million American adults play internet-based games, one recent study estimates. The games can be very entertaining, and it may be easy to get absorbed in the competition, but can they be addictive? That is a question still being debated among resear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Internet Gaming in DSM-5

Addiction to gaming is described in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s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hich is used b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to diagnose mental disorders. There was not sufficient evidenc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dition is a unique mental disorder or the best criteria to classify it at the time the DSM-5 was published in 2013. However, it recognized internet gaming disorder in the section recommending conditions for further research, along with caffeine use disorder and other conditions.

The DSM-5 includes substance-related addictive disorders, such as alcohol, tobacco, stimulants, marijuana and opioids. Gambling disorder is the only behavioral addiction (as opposed to substance use) identified in DSM-5.

The DSM-5 notes that gaming must cause "significant impairment or distress" in several aspects of a person's life. This proposed condition is limited to gaming and does not include problems with general use of the internet, online gambling, or use of social media or smartphones. The proposed symptoms of internet gaming disorder include:

  • Preoccupation with gaming
  • Withdrawal symptoms when gaming is taken away or not possible (sadness, anxiety, irritability)
  • Tolerance, the need to spend more time gaming to satisfy the urge
  • Inability to reduce playing, unsuccessful attempts to quit gaming
  • Giving up other activities, loss of interest in previously enjoyed activities due to gaming
  • Continuing to game despite problems
  • Deceiving family members or others about the amount of time spent on gaming
  • The use of gaming to relieve negative moods, such as guilt or hopelessness
  • Risk, having jeopardized or lost a job or relationship due to gaming

Under the proposed criteria, a diagnosis of internet gaming disorder would require experiencing five or more of these symptoms within a year. The condition can include gaming on the internet, or on any electronic device, although most people who develop clinically significant gaming problems play primarily on the internet.

Research is Ongoing

Whether internet gaming should be classified as an addiction/mental disorder is the subject of much debate and a growing body of research. There is neurological research showing similarities in changes in the brain between video gaming and addictive substances.

A study published i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in March 2017 sought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riteria for internet gaming disorder, compare it to research on gambling addiction and problem gaming, and estimate its impact on physical, social and mental health. The study found that among those who played games, most did not report any symptoms of internet gaming disorder and the percentage of people that might qualify for internet gaming disorder is extremely small.

The research involved several studies of adults in the U.S., United Kingdom, Canada and Germany. They found more than 86 percent of young adults ages 18 to 24 and more than 65 percent of all adults had recently played online games. The percentages of men and women who recently played was roughly equal. However, the research is mixed on whether those who met the criteria for internet gaming disorder had poorer emotion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an those who did not meet the criteria.

The researchers found that 0.3 to 1.0 percent of the general population might qualify for a potential diagnosis of internet gaming disorder. The authors suggest there is an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passionate engagement (someone enthusiastic and focused on gaming) and pathology (someone with an illness/addiction). Whether the person is distressed with his/her gaming may be the key factor distinguishing the two.

Writing in a commentary about the study i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Patrick M. Markey, Ph.D., and Christopher J. Ferguson, Ph.D., concluded that the study suggests "video game addiction might be a real thing, but it is not the epidemic that some have made it out to be."

The research and the debate are ongoing. Some argue, for example, that gaming could be a symptom of an underlying problem, such as depression or anxiety, and not a disorder or addiction itself.

Even while professionals debate, individual stories point to struggles and devastation from the phenomenon. An example was highlighted in a recent Washington Post article, which can be read here.

Th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summarizes the current debate: "Adding video gaming to the list of recognized behavioral addictions could help millions in need. It could also pathologize a normal behavior and create a new stigma."

If you are concerned about yourself or a loved one, talk with your health care provider or a mental health professional.

Physician Review By:

Ranna Parekh, M.D., M.P.H.
June 2018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쥬스알리아 19-06-10 18:19
   
뭐든지 적당히 하는게 좋은 것 같아요~

     
스포메니아 19-06-10 18:30
   
뭐든지 너무 과하면 안좋죠...
알리아님처럼 절제심과 중용의 덕을 갖추고 싶어요.
한국아자 19-06-10 20:15
   
게임중독이라.. 게임은 체력이 있어야하는거라 나이들면 눈톡만하고..귀찮아서 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