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7-10-17 12:00
[YTN] 미래 핵심자원 '리튬' 바다에서 캔다
 글쓴이 : 유수8
조회 : 1,597  

1.JPG

2.JPG

3.JPG

4.JPG




게시일: 2017. 6. 22.

[앵커]
미래는 전지 시대로 예측되지만, 우리나라는 전지의 핵심 소재인 리튬 자원이 없어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바닷물에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토대로 리튬 자원 확보에 나섰습니다.

이정우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통용되는 전지의 핵심 소재는 리튬입니다.

리튬은 건전지는 물론 자동차,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등 미래 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필수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바다에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확보해 실용화에 나섰습니다.

[김병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수용존자원연구실장 : 일본은 우리보다 한 22년 먼저 시작했지만, 우리가 후발주자이면서도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해서 지금 현재는 일본보다 앞섰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과 정보기술 시대의 휘발유로 불리는 리튬 가격이 지난 1년 새 3배나 폭등하는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리튬 수요가 급증하고,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안정적인 리튬 확보와 공급원 개발이 더욱 절실해 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리튬은 남미의 염호에서 대부분 생산돼 전 세계에 공급됐지만, 리튬 가격이 폭등하면서 지난해부터 중국이 광산 개발을 본격화하고 나섰습니다.

전 세계 리튬 매장량은 1,400만 톤이지만 해수의 리튬 용존량은 2,300억 톤으로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우리 기술력은 현재 바닷물 1ℓ당 0.17㎎의 리튬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세계 최초의 무동력 흡착 시스템을 이용해 탄산리튬 5㎏을 6일 만에 추출하는 등 세계 최고 기술력으로 상업화 문턱에 진입했습니다.

[정강섭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양용존자원추출기술개발 연구책임자 :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해양으로부터 리튬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한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고 매우 중요한 기술이 되겠습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자원 전쟁.

매장량 무한대의 해양 리튬광산 개척과 상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경쟁에 우리의 기술력이 한발 앞서 나가고 있습니다.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진보적보수 17-10-17 12:02
   
포스코 16년 영업이익이 2조 후반대인데 이거 되면 4조는넘겠다.
     
유수8 17-10-17 12:10
   
그게... 그렇게는 쉽지 않을듯 해요.. 리튬 가격이 지금보다 몇배가 뛰면 가능하겠지만...
생산량이 한계가 있어서....;;
다잇글힘 17-10-17 12:15
   
이것까지
전기차 한대에 들어가는 리튬양이 28킬로그램이라고 할때
순수리튬도 아니고 탄산리튬 5킬로그램을 얻는데 6일소요.
그냥 탄산리튬을 28킬로그램을 얻는데는 33.6일 걸리고
얻어야 하는 순수리튬을 감안하면 178일이 소요되네요.

자동차 한대에 들어가는데 리튬 얻는데 178일 소요 1년에 3대양도 뽑지를 못하네요
수요를 감당할만한 수준이 되려면 그만큼 시설이 엄청나게 커야 한다는 얘기가 됩니다.
     
archwave 17-10-17 12:31
   
5 kg 을 6 일만에 추출했다는 것은 한 마디로 실험실에서 한 그런거죠.

5 kg 을 6 일에 했으니 1 년 해봐야 300 kg 이라는 것은 말이 안 되고요.
( 이렇게 보면 연간 8 대 양이네요. )

당연히 연속 공정으로 할테니까, 실험실 수준을 그대로 적용하면 곤란.
그리고 시설을 실험실 수준으로 만들지도 않을거고요.
          
다잇글힘 17-10-17 12:33
   
실험실 수준과 상용화수준은 결국은 크기의 문제입니다. 그래서 현재 실험실 수준이 어느정도고 그걸 상용화수준에 맞춰서 계산하면 답은 나온다고 생각되네요. 그래서 어느정도 수준의 크기에 얼마만한 시설을 투자해야 하는지 계산해보시라고 이야기를 드린거죠.
어쨌든 추출기기의 단면적과 그에 합당하는 바닷물의 부피는 실험수준이니 상용화수준이니 하고는 하등 관계가 없는지라
돌개바람 17-10-17 12:34
   
다잇글힘/ 본문에 나오는 6일걸렸다는 시간은 본격적인 상업설비가 아니라 어느정도의 효율이
나오는지를 알아보는 소규모 실험설비에서 나온거죠 그리고 상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당연히
대규모 생산설비를 구축하죠 하지말라고 해도 돈이 된다는 판단이 되면 생산설비에만 조단위로
쏟아붓는게 기업입니다.
     
다잇글힘 17-10-17 12:37
   
네 그래서 당연히 대규모 시설설비를 할텐데 어느정도 설비를 갖춰야 하는지 계산해보라고 한거죠. 아무리 최적화하더라도 결국은 그만한 수준의 바닷물과 추출기기는 갖춰야 합니다.
archwave 17-10-17 12:36
   
그런데 바닷물에서 뽑으려면 좀 양이 많긴 하네요.

바닷물 약 24 만톤이 있어야 자동차 1 대분의 리튬 40 kg 을 추출.

흠.. 시설 되게 크긴 해야겠다. 그래도 바닷물에서 뽑는다는데.. 게다가 무동력 흡착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