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8-05-22 10:45
이번 교육부의 자폭을 아시나요?
 글쓴이 : fanner
조회 : 2,552  

가생이 내에서 전혀 언급이 없길래 가져옵니다.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에 적용되는 202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방향이 시민 400여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교육단체와 학부모단체의 비판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국가교육회의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전날 ‘2022년도 대입 개편 공론화 추진 세부계획’을 발표하면서 크게 △공론화 의제 선정△권역별 토론회 개최 △시민참여형 조사 절차 등 세 가지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마지막 단계인 시민참여형 조사 단계에서는 19세 이상 시민 400여명으로 시민참여단을 구성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시민참여단이 무작위로 뽑은 시민인 만큼 대표성을 지니고 있어 국가교육회의가 시민참여단의 의견을 존중할 수밖에 없다는 게 공론화위의 설명이다.

교육단체들은 17일 교육 전문성이 결여된 ‘19세 이상 시민 400명’의 의견을 토대로 대입 개편안을 도출한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교육부가 국가교육회의에 넘긴 대입 개편 이송안에는 수시·정시 분리 또는 통합 여부, 수능과 학생부종합전형의 적정 비율, 수능 절대평가 전환 등 교육계에서도 첨예하게 대립하는 굵직한 사안들이다. 

 이현 참교육연구소장은 복잡한 입시문제를 무작위로 뽑은 일반 국민에게 맡기면 제대로 된 결론을 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소장은 “일반 국민을 무작위로 뽑아 숙의과정을 거치겠지만 올바른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며 “교육문제는 굉장히 복잡하다. 단순히 입시제도로 여기면 안된다. 입시는 학교교육·수업·사교육 등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여론을 수렴하는 건 필요하지만 매우 복잡하고 식견이 필요한 개편 결정권을 시민에게 위임한 건 위험하다”고 꼬집었다.
-중략-
대입정책 주무부처인 교육부를 향한 성토도 이어졌다. 나 부회장은 “교육부가 무책임하다. 교육부가 2022년도 대입 개편안 결정을 1년 유예하고 8개월간 여론수렴을 했음에도 결론을 못 내고 시민에게 책임을 돌렸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성식 실천교사모임 회장은 “관료자들의 면피성밖에 안 된다”면서 “입시는 매우 복잡한 문제인데 시민에게 맡긴다는 게 말이 안 된다. 정책을 결정해야 할 관료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정책을 만들어야 하는데 국민들에게 책임져 달라고 하는 꼴”이라고 언성을 높였다.



비전문가에게 교육 입시를 정하게 한다????
교육부가 이젠 교육을 포기하는 수준이네요.

현재 교육부가 왜 이런 미친짓을 하게 되었는가는 
이 영상을 보시면 알게 되실 겁니다.


2017. 8. 21 교육제도 토론회 영상입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 라고 했다.
그만큼 교육이란 중요하디 중요하다. 얼만큼 강조해도 모자를 만큼.
헌데 교육부는 그 책임이 막중하디 막중한 곳일진데
비전문가에게 앞날을 맡긴다고??????
하... 정말 세상이 어찌될려는건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별명없음 18-05-22 10:57
   
아니 뭐 전문가에게 밭겨서 그동안 잘 돼왔던것도 아니고...

학종이란 쓰레기 만들어서 교육문제 꼬인게 한두해도 아닌데...

원전 문제처럼 시민 토론회에서 여론 수렴해서 정한다면 뭐가 문제가 되나요..

세부 시행안만 전문가들이 다듬으면 되지...
     
fanner 18-05-22 11:04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5212050015&code=990100
현 중3 학생부터 적용되는 2022학년도 대입제도는 사실상 국가교육회의가 결정한다. 정확히는 국가교육회의 산하의 대입제도개편특별위원회 산하의 공론화위원회 산하의 '시민참여단'이 결정한다.
          
별명없음 18-05-22 11:25
   
교육뿐 아니라 모든 정책들이
자칭 타칭 전문가들은 자기들 이익대로 결정하려고만하니
대화와 타협이 안되는겁니다.

링크 건 기사도 보면
자칭 전문가인 교사들 목소리가 교육정책에 반영 안돼서 열받는다 이거죠...

교사들 입장 대폭 반영하면
또 학부모 단체에서 만족한다고 환영할거 같습니까?

교욱제도가 매번 헛 바퀴 도는게
정치인들 입장 다르고, 사학계 입장 다르고, 학부모 입장다르고, 교사들 입장하고 달라서 문제아닙니까...

맨날 지들 입장만 내세우면서 시간만 보내기보다

세부 안은 당연히 교육부에서 만들고
그 여러 안을 가지고 일반 시민단 400명으로 토론을 통해서 고르면 됨..

...

시민참여단이란것은
거버넌스를 도입한 작은 국회를 만들어서 토론한다고 생각하면 되는겁니다...

무슨 정책을 비전문가가 감히~!!

라는 생각은
관료주의, 엘리트주의에 사로잡힌 편견임...
높으신 양반들, 배우신 양반들만 뭘 결정할수 있는게 아닙니다...

다른분들 댓글처럼
전문가든 비전문가든 정치인이든 몇년을 지지고 볶아도 나오는건 사실 별거 없음..
학력고사처럼 일렬로 성적 순 줄을 세우는게 차라리 깔끔할정도..
다만 그 과정이 공정하도록 관리해주는게 정책적으로 뒷받침 되어야 하는 문제지..
               
fanner 18-05-22 11:32
   
맞아요 동감합니다.
하지만 너무 걱정되네요.
요즘 점점 교육부가 헛짓거리를 너무 하니까 더욱 그럽니다.
               
페레스 18-05-22 11:43
   
잘되면 거버넌스인데요
잘못되면 아무도 책임안지는 문제가 생기죵
그리고 시민단체가 다해버리고 교육부는 집행만 할거면 교육부도 없애버리고 그냥 청으로 만들어서 집행만 하게 해버려야죠 장관까정 두는거 돈낭비입니다
                    
별명없음 18-05-22 12:58
   
태클은 아닌데.. 첨언하자면...
전문가들이 교육정책하면 언제는 걔들이 책임졌습니까...?

교육정책이란게 단기간에 결과가 나오는게 아니다보니
지금까지 교육정책에 책임진 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교육부 실무 공무원들은 다른 자리로 가거나 정년 퇴임하면 그만이고
고위직은 정치한답시고 공천 받아서 지방선거 같은데나 나가거나...
사학재단들어가서 교수직함 걸고 놀고 먹죠...

교육정책이란것도 웃긴게..
대학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입시정책 세우면 개판 됩니다. 대학 입장에서 세우니까요..
그렇다고 고교 선생들이 세우면 또 대학들이 난리 납니다.
또 교육부가 주도로 나름 쓸만한 공교육 위주 정책세우면
정치인들이 사학재단들 압력 받아서 다 걸레조각으로 만들어버림..

전문가랍시고 어느 한쪽이 주도권 잡으려고 개싸움하는것밖에 없어요...
교육문제 뿐 아니라 모든 정책이 마찬가지임..

원전 문제때도 공론화의 장을 만들어서 원만하게 해결한것처럼
교육문제도 공론화 시키는게 낫습니다.

주무부처에서 여러가지 안을 만들고
그 안들을 가지고 실제적으로 적용 받는 사람들이 토론을 하면서 다듬어 나가야죠.

정책에 의한 직접 영향을 받는 일반 사람들이
스스로 교육정책세우고 그 결과도 자기들, 자기 자식들이 영향받는거고
시간 지나면 발생하는 피해도 직접 입으니 그에따라 책임도 지게 되는거죠...

전문가 타령하는 특정인들 손에 맡겨놓고는
궁시렁궁시렁 남탓만 오지게해봐야 소용 없죠...

국회의원놈들이 지들맘대로 나라 살림 해처먹어도
결국 나중에 어차피 하던놈들이 낫지 하면서 또 찍어주고 맡기면서...
뒤에선 술 안주로 정치인들 욕하고, 뉴스볼때마다 정치인 욕하는거랑 다를게 없음..

장담하는데 국회의원 대신
의사소통에 지장 없는 일반국민 300명 뽑아서 앉혀놔도 현직 국개의원들보다 일 잘할겁니다...
실상 국회의원들 국정업무는 국회사무처에 소속된 실무 보좌관들이 일 다합니다..
국회의원들이 채용하는 정무직 보좌관들은 비서노릇하면서 매번 사고치고 뉴스에나 나오는 애들이고..

엘리트주의, 관료주의 정첵, 간접 민주주의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차원에서

교육정책뿐 아니라 앞으로 많은 부분이
직접 민주주의의 과도기적 행태로서의 거버넌스 형태로 이루어질겁니다.
황금십자가 18-05-22 11:03
   
몰르겠다 그동안 위에서 말아먹어서 믿음도 안가서 ... 집단 지성도 함 믿어볼만 한거 같공...
일반인은 좀 불안하기도하고... 믿을놈이 없내...
캐널 18-05-22 11:05
   
멀 해도 욕먹는게 교육제도임...

전문가가 해서 시민이 해서가 아니라...

기존제도를 바꾸는것에 대한 거부감이 팽배함....

왜냐하면 그동안 하던거에 맞춰서 계획 짯는데 다시 바뀌면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

누가 박정희가 가장 잘한일은 중고등학교 평준화라고 하던데....

독재자가 나타나 대학도 평준화 하지않는 이상...

교육정책은 세종대왕님이 환생해서 정책을 펼친다한들 욕먹게 되어있음....
fanner 18-05-22 11:17
   
저도 답답하기만 하고 답이 없어 의견을 말하는 것도 힘드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UwvfA8vp7R4
그래서 06:38 에 짤막한 내용 옮겨 적어 봅니다.
[결론 말씀 드리겠습니다.
전문가는 참 많다
의견도 많다
근데 아쉬운건
우리 현실과 참 동떨어져 있다
동떨어져있는 얘기들을 하다보니
수험생도 학생들도 고달프고 힘들어지고
학교현장도 힘들어진다.]
페레스 18-05-22 11:25
   
뭔가 특별하게 뛰어난 대입정형이야 나올것도 없고 그렇다면 공정성 위주로 가면 됩니다
정시 수시 한 60대 40이나 70대 30 80대 20정도 만들어 놓고요
뭔가 독특한 재능이 있는 얘들은 그런 얘들 위한 전형 만들어서 수시로 집어 넣고요
그런거 없는 대부분의 얘들은 수능으로 평가해서 대학에 들어가면 되는겁니다

공정성 위주로 수능성적순으로 줄세워서 집어넣으면 가장 공평하고 좋은 방법이구요  떨어진 얘들도 지가 공부 못해서 떨어진거니 별 반발도 안 나옵니다

예전 전두환때 학력고사처럼 그런식으로 하면 되요
뭐 이상한거 자꾸 집어넣지 말고요 아무리 머리 굴려봐야 별거 안 나옵니다
     
아안녕 18-05-22 14:19
   
교육의 중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고
커리큘럼을 바꿔봤자 학생들은 입시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 때문에
입시를 바꿔 교육의 질을 높이려고 하는데
공정성을 해칠때가 많죠
입시 제도를 복잡하게 꼬아놓으면 정보를 가지고 있는 소수가 혜택을 받습니다

정시 위주의 입시의 경우 사교육이라는 변수가 있지만
자신의 노력과 능력이 훨씬 더 중요하기 때문에 큰 반발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동안 전문가라는 양반들 때문에 더 꼬였다고 봅니다
한국에는 수능 위주의 정시와 일부 다른 제도가 적합합니다
강운 18-05-22 16:01
   
전문가라도 양심이 좀 있는 전문가
일반인이라도 당장 내 이익을 생각안하고 멀리 내다 볼줄 아는 그런 일반인이 필요 하다고 봐야 하는데
과연 얼마나 있을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