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6-07-01 22:23
독일 통일과 한국 통일의 가장 큰 차이점 두 가지.
 글쓴이 : archwave
조회 : 811  

1. 독일 통일 당시 서독 화폐와 동독 화폐를 무조건 1:1 로 교환해줬음.


당시 시장환율은 동독 마르크화는 서독 마르크화의 1/3 가치도 지니고 있지 않았음.


이게 의미하는 바를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현재 EU 에서 벌어지는 일의 몇 배 심한 일이 생긴겁니다.


독일같은 강국과 그리스 같은 약체가 하나의 화폐 유로를 같이 씀으로서 생기는 부작용은 모두들 아시죠 ?

독일은 자신의 실력에 비해 저평가된 유로를 쓰니까 수출 경쟁력이 강화되고,

그리스는 반대의 상황이라 수출 경쟁력이 약회되었죠.


이 문제는 EU 초창기부터 있던 문제지만, 이 부작용이 갈수록 심화되서 EU 가 독일의 제 4 제국이란 얘기까지 나올 정도로 극심한 편중이 일어난겁니다. EU 내에서 빈익빈 부익부.


당시 서독과 동독의 화폐가 1:1 로 되었다는 것은 동독 기업들은 예전보다 몇 배의 인건비와 비용을 지출하게 된 것을 의미하죠.


애초에 통일 전에도 동독은 공산권에서는 가장 강력한 공업대국이었으며 당시 한국보다 훨씬 잘 살던 국가였지만 하루 아침에 화폐 가치를 폭발적 절상한 여파를 견딜 수 없었던겁니다.


동독 기업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공동화. 일자리 없어진 동독 노동자들은 서독으로 이동 러시.


이런 일이 통일 한국에 일어날 가능성은 없습니다.


아주 다행스럽게도 북한은 이미 달라, 위안화가 거의 공식 통화다시피 한 상태죠. 북한 원화 규모 자체가 보잘것 없어서 위와 같은 부작용이 날만큼 크지도 않고, 현재 시장환율을 보면 북한 원화는 한국 원화의 1/7 가치 정도이므로 1:1 통합 같은 말도 안 되는 일은 일어나지도 않을 것임.


--------------------------------


2. 동독은 공산권에서는 매우 선진적인 국가였습니다. (소련보다 더 발전된 국가) 인프라도 그렇고 거의 모든 것이 완비된 국가였죠.


새로 건설해야 할 것도 없었습니다.


즉 통일된 이후에 통일 독일을 건설하기 위해 뭔가 해야 할 것이 없었으니 새로운 일자리 창출될 거리가 없었죠.


그러나 북한은 다릅니다.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7&wr_id=1264603


위 글에 썼다시피 북한에는 엄청난 일거리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한국도 북한으로 갈 기술자 수요 때문에 실업률 제로인 꿈의 세상을 보겠지만, 북한은 더 하죠.


일자리 넘쳐흐르는 북한을 놔두고 한국에 부득부득 올 이유가 없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archwave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곧파 16-07-01 22:24
   
격차가 크면 유리한지 아는데 정반대입니다
독일보다 유리한게 아니라 불리하죠
남성연대리 16-07-01 22:25
   
사람들이 경제논리를 먼저 따지지만 사실가장큰차이는 동독과서독은 서로간 전쟁을통한 분단이 아니였음 그래서 협상을통한 통일이 한국보단 쉬웠다는점이 가장큰 차이일듯
콜라맛치킨 16-07-01 22:26
   
우리국민들 등골더 휘어서 아마 공멸할거같습니다.
     
archwave 16-07-01 22:32
   
불경기 해소에 최고의 특효약이 뭐였는지 아시나요 ? 전쟁이었습니다.

생산적인거 단 하나 없고 자원을 숱하게 태워버리기만 할 뿐인 전쟁이 불경기 해소에 특효인 것은 일자리 창출 때문입니다. 군인들 숫자만 필요한게 아니라 후방에서 전쟁물자 생산할 인력도 필요한거죠.

일자리 없어서 등골이 휘지. 일자리 넘쳐흐르는데 등골이 휠 일은 없습니다.

일자리 넘쳐흐르고 사람이 귀해지는 판인데, 국민들 등골 휠 일 있겠습니까 ?
          
콜라맛치킨 16-07-01 22:37
   
우리나라가 북한주민에 지원도해주고 경제력차이가 워낙크니 비용을 우리나라가 대부분감당해야하는데 독일보다 못사는 우리나라가 과연 멀쩡히 버틸까요? 공멸입니다. 독일도 지금까지 계속 쏟아붓고 있는 판국인대
               
archwave 16-07-01 22:43
   
윗 글에 이미 썼잖아요.

화폐 1:1 같은 뻘짓한 덕분에 동독 기업 다 망하게 하고, 노동자를 죄다 서독으로 불려들였으니 그거 원위치 시키는게 쉽나요 ?

멀쩡한 국가 (동독) 을 망하게 해놓은겁니다. 그걸 다시 살리려니 당연히 등골 빠지죠.

그런데 북한은 이미 망한 국가라 한국이 뭘 해도 더 망하게 할 일 없고, 그냥 차근 차근 개발시켜나가면 됩니다.

북한 인민들은 통일된 후 날이 갈수록 더 좋아졌지, 나빠질 일은 없죠.

통일 독일에서 동독 노동자들이 일자리 잃고 서독을 떠돌던 그런 식의 일은 북한 주민이 겪지도 않을거고요.

참고로 그렇게 서독의 뻘짓에 의해 일자리 잃은 동독 노동자들에게 서독 노동자와 같은 실업 급여를 지불해줬죠. 망하게 해놓고 실업 급여 지불.. 뻘 짓도 이런 뻘 짓이..
          
웅힝힝힝 16-07-02 00:53
   
북한의사회인프라 건설 지원 일자리는 늘겠으나  북한이랑공동 으로생필품을써야되니 엄청난물가상승 이예상되고 그비용을남한국민들의세금으로 충당해야되니 당연히등골이휘지요
               
archwave 16-07-02 01:38
   
통일 한국이 이뤄졌다고 세계 물가가 상승하나요 ?

국내 생산분 물가가 오른다면 수입해서 쓰면 그만입니다.
힘드네요 16-07-01 22:28
   
통일후를 생각하는것도좋지만  통일을  어떻게할껀데요

예를든  독일이 어떻게통일됐는지아시죠



북과남이 어떻게 통일될껀데요 

이게ㅐ가장큰 핵심같은데
     
archwave 16-07-01 22:33
   
독일도 어떻게 보면 아주 우연하게 통일 계기가 마련되었었죠.

나중에 국경 연다는 것을 지금 당장 여는 것처럼 말한 말실수 때문에..

한국과 북한도 언제 어떤 계기로 통일될지는 앟 수 없죠.

언젠가 닥칠 일에 별 근거도 없는 공포심 갖지는 말자고 쓴 글입니다.
          
넘버4 16-07-01 22:36
   
별 근거도 없는 공포심이라뇨, 다 근거가 있는 공포심이지.
     
손맛좀보자 16-07-01 22:34
   
정확한 지적이라고 생각됩니다.

당연한 전제로 독일식 통일, 또는 북한의 붕괴후 식민지식 통일을 전제로 모든 유불리를 따지는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보다 선행된게 독일은 저렇게 통일해서 힘들었으니 우리는 이런식으로 통일하자는 논의가 필요한거라고 생각합니다.
넘버4 16-07-01 22:31
   
솔직히 통일을 하기 위해서 지금 우리가 할수 있는건 없죠. 북한이 알아서 붕괴되거나, 스스로 개혁 개방 하는걸 기다리는 수 밖에요. 그러니까 답이 안보이는 겁니다. 뭘 할수가 없으니까.. 우리가 먼저 치고 올라갈꺼 아니라면요.
참치 16-07-01 22:35
   
서민만 가난하지, 기업과 정부는 돈쓸데가 없어서 빌빌거리고 있습니다. 이것에 지금 한국과 당시 서독의 차이죠.

북한의 인프라 낙후요? ㅋㅋㅋ  타먹던 예산 유지하려고 멀쩡한 도로 파헤쳤다 다시 깔고, 보드블럭 회수했다 새로 깔았다.. 

투자할 곳이 없어서 쌓아두기만 한 사내 유보금... 역대 최고죠. 

통일하면 북한땅을 군침흘리면서 흘겨볼 애들이 넘치고 넘칩니다.
이리듐 16-07-01 23:48
   
님말씀대로 북한화폐를 1:1로 바꿀 필요가 없죠. 아마 달러를 기준으로 해서 현재가치를 기준으로 바꿀겁니다. 현재 북한화폐의 고정환율은 1달러에 200원이라고 하는데 실제거래환율은 1달러에 8000원으로 차이가 매우 크다고 합니다. 통일후 북한화폐를 환전할때 공식적인 고정환율로 할지 아니면 시장가치에 따른 환율로 할지 어떻게될지 모르겠네요
     
archwave 16-07-01 23:58
   
북한과 대등하게 협상해서 통일한다면 환율 갖고 기싸움 많이 하겠지만, 사실상 흡수 통일이 될 가능성이 크고 그 경우 공식 환율을 인정해줄 이유가 없겠죠.

사실 북한 민간이 들고 있는 북한 원화도 얼마 되지 않으니 이 부분은 좀 느슨하게 해줘도 별로 탈이 없을거 같고요.

또한 북한이 몇년마다 주기적으로 약탈적 화폐 개혁했던터라, 시장환율만이라도 쳐주면 아무런 반발이 없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