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6-06-25 01:46
프랑스도 경제구조가 만만치 않네요.
 글쓴이 : 미쁜흐노니
조회 : 2,506  

프랑스.jpg


EU 중에는, 독일이 제조업, 공업을 다 씹어먹는건줄 알았는데,
오히려 독일보다도, 프랑스 경제구조가 더 탄탄했네요.. ㄷㄷㄷ

금융, 농업, 제조업, 관광, 화학, 철강, 명품의류, 관광 등등 ㄷㄷㄷ 
환상적인 경제구조군요... 

다른거보다 농업이랑 의류산업은 참 부럽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안냥~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흑룡야구 16-06-25 01:48
   
농업이 부럽네요.

우리도 이제 농업을 준비해야 하는 지위가 됐는데 말이죠.
     
미쁜흐노니 16-06-25 01:48
   
식량 자급율이 300%나 된다고 하더라구요 ㄷㄷ
          
흑룡야구 16-06-25 01:49
   
완전부럽네요. ㅠㅠ

우리도 빨리 농업 좀 신경써서 농업 수출국 반열에 올랐으면 합니다.ㅠㅠ
               
archwave 16-06-25 01:58
   
엄청난 인구밀도에 70 % 가 산지인 국가에서 농업 수출국 ?

아무리 고급 품종을 만든다 해도 기본적으로 양이 턱없이 적을 수밖에 없음.

지금도 농업 수출하긴 할걸요 ? 양이 적어서 그렇지.
                    
흑룡야구 16-06-25 02:02
   
유상몰수 유상분배의 원칙으로 우리 나라 건국 초기 토지를 한 개인이 많이 소유할 수 없게 한 토지법이 있었습니다.

그 이유가 전 시대에 지주에 의한 땅 독식이 심각했기 때문이었죠.

이후로 농업은 경제발전의 명목 하에 뒷전에 밀려 있었고, 농촌의 세대 교체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지금 농촌이 제대로 된 생산력을 발휘하지 못 함은 땅이 좁음도 이유겠으나 제대로 된 영농과 투자가 없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제대로 된 투자와 기업형 농업은 충분히 경쟁력이 있으며 고급화, 브렌드화를 하지 않으도 우리 나라의 식량자급률을 높이고 곡물 자원에 대한 수출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고 봅니다.
                         
archwave 16-06-25 02:44
   
차라리 고급 품종 만들어서 돈 벌자는 얘기를 하세요. ( 이것도 매우 힘든 얘기지만 )

식량 자급률이 50.2 % 밖에 안 됩니다.
고기도 키워먹어야 하니 사료 수입하는거 포함한 곡물자급률은 23.8 % 밖에 안 되고요.

경지 면적을 지금보다 4 배로 늘려야 겨우 자급할까 말까입니다.

국민 1 인당 경지면적 얼마나 될거 같은가요 ?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MainPrint.do?idx_cd=3007&board_cd=INDX_001 참고

프랑스가 0.303 ha 인데, 한국은 겨우 0.034 ha 입니다. 프랑스의 1/9 이죠.
미국은 0.488 ha 이고 호주는 무려 2.016 ha 에 달하죠.
프랑스가 농업으로 재미보는 것은 일단 경지면적이 넓어서입니다. 그래서 농사지어도 수지 맞죠.

기업형 농업이니 뭐니 하려면 농민의 수가 지금보다 1/10 로 줄어야 합니다.

좀 말이 될 얘기를 하시길..
                         
푸컴 16-06-25 03:03
   
수출관점으로 봤을때, 고급화 이런개념은 사실상 농업에서는 의미없는 이야기...

식량은 누가 뭐라고 해도 양으로 승부보는것이 기본이니까요.

식량 고급화에 투자할 에너지와 돈이면 다른데 투자하는게 훨씬 효용가치가 있기에

고급화는 어렵죠. 내수에 따른 자급율을 따지면 모를까...

소고기 1만마리 생산하는 농가와 1마리 생산하는 농가와 비교해서

고급화 경쟁하자고 하면, 1만마리중에 10마리가 더 고급지고, 가격은 더싸죠.

작물도 마찬가지죠. 100ha 농경지중에 고급작물 2% 생산과 1ha 농경지 100%고급작물 생산과 비교자체가 않되죠.

참, 자동식 첨단 쌈채소 공장이 일산? 이었나 잇죠.

한층에 8층으로 생산을 하고, 흙이 없이 물을 공급해서만 기르고,

무해충, 무오염상태에서 기르지만, 생산단가가 맞지 않아서 아주 고가였던것으로

기억합니다. 평수대비 생산량이 30배(?) 였었나? 그래도 생산비용이 만만치 않아서

일반 흙에서 기르는 것보다 비용이 어마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하물며, 땅이 허벌나게(?) 넓은곳에서 대량생산하는것과 비교하면 답이 없어 보이네요.
나이테 16-06-25 01:48
   
ㅇㅇ
몸빼 16-06-25 01:51
   
공산품 대부분은 경쟁력이 없죠.
구 프랑스 식민지한테 강매해서 먹고 사는 나라가 프랑스입니다.
대단할 것 없어요.
단호한호박 16-06-25 01:59
   
원래 EU 투탑이 독일 프랑스 인데요??
천해일미 16-06-25 02:03
   
그러면 뭐하나요.재정적자는 유럽최고수준이라 EU내에서도 골칫덩이고 기업들은 부유세를 피해 본사를 해외로 이전시켜버리는데...
노원남자 16-06-25 02:05
   
프랑스..그래도 항모만들고전투기만드는나란데 어느누구도 절대 만만하게안봐요. 독일과대등한나라란건 누구도 부정못하죠.
로쟈리 16-06-25 02:06
   
프랑스 농업도, 과학기술도 뛰어난 나라 ㄷㄷ 국뽕기질과 똘레랑스 사이에서 무슬림화해버리네여..
50드론러쉬 16-06-25 02:08
   
오히려 제조업 비중 낮추려고 노력하던데
나이테 16-06-25 02:11
   
게다가 요리,미술,건축 까지 있자나요. 그것도 이미 관광에 포함되는거려나.
천해일미 16-06-25 02:13
   
그리고 위 그래프는 프랑스 산업구조가 아니라 수출 비중입니다

프랑스의 산업구조중에 서비스업이 2/3 67%정도 차지하고

작년에 수출액에서 우리나라한테 추월당했습니다
푸컴 16-06-25 02:14
   
프랑스 특유의 거짓말 특성이 언젠가는 전세계 경제에 제2의 빅엿을 줄거라 나는 믿고 있다.
     
블루로드 16-06-25 02:22
   
ㅎㅎㅎ
          
푸컴 16-06-25 02:24
   
ㅋㅋㅋ 꼭, 한번은 사고칠 애들이라...

중국 먼저냐? 프랑스 먼저냐? 일본 먼저냐? 이정도라고 봅니다. ㅎㅎㅎ
아날로그 16-06-25 03:12
   
필리핀을 보면 답이 딱 나오죠......

최대의 밀 수출국 중 하나 여는데....산업화라는 명목하게 싹~ 다 밀어버려서,.,,,
이제는 국제가격이 정해주는 데로 수입하고 있죠
     
촐라롱콘 16-06-25 09:57
   
밀이 아니라 쌀이겠지요......^^

밀은 비교적 저온건조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곡물인데.....

필리핀 같이 고온다습한 지역은 쌀이 진리지요~~~
아날로그 16-06-25 03:13
   
우리나라도....보리, 밀.....자급률 높혀야 됩니다.

그 넘의 땅떵이가 좁은게...웬수라....
아날로그 16-06-25 03:14
   
근데 필리핀이 맞나?.......아웅....뇌세포가 점점 죽어가나 보네요....
     
푸컴 16-06-25 03:16
   
ㅋㅋㅋ 공감하는 글이네요. ㅋㅋㅋ
모래니 16-06-25 06:30
   
wine 보소.. 헐.
비만 16-06-25 10:23
   
프랑스는 국유기업이 산업 전반을 이끄는 축입니다. 국유기업 특유의  낮은 생산성과 경쟁력을 국가가 정치력으로 커버해주고 있는 상태죠.
프랑스도 대규모 경제 개혁 및 민영화 할 날이 얼마 안 남았습니다.
멍굴년 16-06-26 08:18
   
우리나라는 1인 경지 면적이 영세해서 수지 타산이 맞지 않습니다. 농업에서 프리미엄은 영향력이 적어요.
농산품 최고급으로만 사먹는 분 계신가요? 선물용빼고는 아무도 없을 걸요. 싸고 좋은것만 찾지. 쌀 친환경 무농약 특등급 찾는분 계세요? 아무도 없어요. 걍 싼고 정당한게 최고지. 게다가 우리나라는 기후가 대규모 식량을 생산하기엔 별로 좋지 않습니다. 채소 과일은 대부분 하우스 재배를 하는데 시설 투자비도 엄청나게 들죠. 미국/ 호주 같은 나라들은 드넓은 평원에 옥수수 씨만 뿌려도 알아서 자랍니다. 프랑스 같은 나라도 평원에 비행기로 밀 농사 지어요. 우리나라처럼 사람이 고달프게 농약치거나 김매기 안합니다. 이렇게 생산하면 동물들 사료도 그냥 얻는 겁니다. 우리나라는 동물들 사료도 외국에서 가공한걸 수입해야 되잖아요. 사료값이 미국소 5배는 들겁니다. 그러니 한우값이 금값이고요.
갑룡이 16-06-26 18:21
   
프랑스 농업과 축산업은 망해가고 있죠
http://www.economyinsigh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09

구조만 마시고 직접 프랑스 내부 자료들을 보시면 오히려 독일이 뭐든지 나은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