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8-12-22 18:46
이희진으로 본 주식시장의 이해
 글쓴이 : 갑오징어
조회 : 1,380  

20181222_182533.png





이희진이 결국 자기명의로된 자산이 없어서 겨우 10억원 회수 한다더군요 대략 130억쯤 총 400억정도 해먹을 거라 예상 됩니다  워낙 유명하니 방송도 보고 그래봤었는데 딱 사기꾼이더군여

나머지는 전형적인 사기꾼들 수법인 노역하다가 나오면 됩니다 


사기꾼들이 걸리면  내역증빙이나 조금 현금 내놓고 배쩨라 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추징 못하니

이희진처럼 노역하다가 만기 채우고 나옵니다 워낙 유명하니 만기 기간이 1~2년 늘어난특징입니다  

이런걸 보통 세팅 되었다고 합니다



이희진은 바지사장입니다 이희진을 키운 언론사는 이미 수년동안 수차례 사기 혐의로 걸려들어갔지요

그럼에도 검찰조사 한번 안받습니다 언론이 이렇게 부패 되었는데  개뿔 언론 자유니 탄압이니 ...

개소리를 해대지요  언론은 그냥 매국노입니다 




주식시장


내부자들 보셨지요 그건 약과입니다 제 아는 사례만 해도 정말 유명한 권력가의 동생이

바지사장 내세우고  시장에서 장난치는거 봤습니다( 순화적표현)

말하기엔 부담이 매우 큽니다



유명연예인부터 언론 권력자  자본가 등등 정말 많습니다

그러니 스타방송이나 책등등 많이 보실텐데   기본적인 기술적 분석이나 기본 분석은

알고 계시돼 믿지 말아야합니다  즉 참고만하세요


스타 애널리스트은 잠깐  성공했지요 그러나 잠깐 입니다 

잠깐 성공은 생각보다 많이 합니다 그러나 꾸준히 이어가지 못합니다





누군가 보고 있다


유명 사이트 팍스넷 초록창 아니면 스타들이 운영하는 주식방  tv등 전부다   시세조작하는 팀이

전부 모니터링 합니다 말안들으면 여론 형성부터 마음대로 할수 있습니다


같은 팀끼리도 레벨이 있고 서열이 있습니다 이걸 이해못하는순간 망합니다



예를 들어


기관 -단타

외국인- 주포

개미- 노예


기타 레벨이 또있습니다




현물보다 선물


정말 머리 쓰기 싫고 잘모르겠다하면 폭락장때 들어가고  현물보다 선물 포지션을 잘이해해야합니다

현물은 코스피 코스닥이고 선물은 옵션이지요

선물은 쉽게 못속인데 이걸 설명할려면 복잡합니다

즉 선물이 우선이고 현물이 두번째인데  이건  코스닥도 영향 있습니다


장끝낼따마다 선물 포지션 뜰탠데 대략 1년치 정도를 쭉 분석해보세요


솔직히  선물만 잘이해해도 기본이상 가능합니다





주식의 성공가능성


50% 확률이지만 실제 개미가 순수하게 출금까지 가능한 확률은 5%에 불과합니다

이것도 복잡하지만 그만큼 어렵다는거지요








예  가상화폐


가상화폐 붐은 2010년 초반 그이후 2차가 이번인데  아직도 가상화폐 이야기하는거 보고 놀랐지요

가상화폐 실제 정부 제제 들어가기전에 이미 손 다털었습니다


이는 뭐냐 정부 제제 안했음 엄청난 피해가 났을것입니다


그때 언론들은 시장 자유니 개소리를 했댔지만    그거다  기획입니다

꼭 주식시장에서의 언론은 필수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두리차 18-12-22 18:53
   
주식하다가 돈 날려본 사람으로써
개인이 벌려면 대세 상승장에 대기업 장기투자밖에 없는거같음
은행 이자보다 좀 더번다 생각해야지
두배 세배 먹겠다고 개잡주 손대면 저처럼...큭

펀드 매니저도 털리는 세계인데 개미가 먹을라면
촉이 겁나 뛰어나던가 자신만의 확실한 매매기법이 있던가
그게 아니라면 손 안대는게 나음

직장인이면 주식신경쓰여서 일도 손에 안잡힘
     
갑오징어 18-12-22 18:56
   
그렇지요 대부분 한번 돈맛 들면 일못합니다 하루만에 월급뽑는건 일도 아니니까요 그리고 펀드매니저들 솔직히말해서 사기꾼입니다  안그런분들 있지만 ... 매우 드물죠        펀드대부분 수익율인 안좋은게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물론 잘된 케이스가 있긴 있습니다만  꾸준하기 어렵다는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