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12-29 13:07
일본의 제국주의가 19세기의 유럽의 제국주의랑 다른 이유
 글쓴이 : 비전오
조회 : 909  

유럽의 제국주의는 

브리앙 켈로그 조약을 통해서 스스로 청산

영국도 스스로 식민지 다 포기..

즉 유럽 제국주의 국가들은 식민지 침략을 전쟁범죄로 규정하며 조약 맺고 스스로 제국주의의 종말을 만들어냄

일본과 독일도 당연히 그 조약에 가입했었는데

일본은 계속해서 중국을 침공하고 학살하고 위안부를 징용하는 등

당시 미국의 경고에도 계속해서 제국주의를 일삼음.

결국 미국이 경제 제재 조치를 취함... 그러니까 일본이 무력으로 진주만 공격 ㅋㅋㅋ

일본은 2차대전 일으키면서 어긴 국제 조약만 엄청나게 많음.ㅋㅋㅋㅋ


이런 기본적인 사실도 모르면서

왜 유럽 제국주의를 아무말도 안하면서

 일본한테만 ㅈㄹ이야 빼애애액하는 역갤충 벌레 새끼가 한마리 있네 ㅎㅎ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안녕하세요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coooolgu 15-12-29 13:09
   
??? 일본도 개객기지만 엄밀히 말해 영국도 개객기 맞아요 둘다 개객기지만 일본이 더 족같은개객기죠.

인도는 지금도 영국에게 식민지 시절의 수탈을 배상하라고 합니다.
힐베르트 15-12-29 13:13
   
켈로그-브리앙 조약 (Kellogg-Briand Pact)은 1928년 8월 27일 미국의 국방장관 프랭크 켈로그 (Frank Billings Kellogg)와 프랑스 외무부 장관 아리스티드 브리앙 (Aristide Briand)의 발기에 의하여 파리에서 15 개국이 체결한 전쟁 규탄 조약으로서, 서문과 전문 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문 1 조에 따르면, 조약에 가담 비준한 국가는 자국 국민의 이름으로 국제 분쟁의 해결 수단이나 국제 외교 정치의 수단으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거부함과 동시에 포기하는 것을 조약의 기본 이념으로 삼고 있다.

라는 조약이지 제국주의의 청산조약 같은건 없어요. 역사무식님.
힐베르트 15-12-29 13:18
   
전쟁포로에 관한 제노바조약이 몇년도에 체결되었는지부터 검색질 해보심이?ㅋㅋㅋ
 
영국이 식민지를 다 포기한게 아니라 식민지에서의 통치비용과 영제국에의 효과적인 지원을 고려해서 인도인들의 자치운동을 허용하면서 생긴 사단이 인도독립임. 시기로는 1948년. 아프리카는 1960년대에 손을 떼었고. 수에즈운하를 국유화할려면 나세르의 시도에 영프연합군이 무력으로 들이밀다가 미국, 소련으로부터 욕먹은게 1956년이었나.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는 아예 개척 수준의 식민지라서 형식상으로는 영국여왕이 군주이고, 총독이 내려감.

프랑스는 2차대전 직후에 인도차이나독립을 막고 군대주둔해서 이익을 지키다가 전쟁터지고 53년에 철수.

유럽이 제국주의를 청산한게 그닥 오래전이 아님.

더욱이 제국주의도 당시에는 이런 용어가 쓰이지 않았고 비스마르크는 의미없는 해외팽창정책에 영국이 자멸하기를 기다렸다는거.
     
유딩곰 15-12-29 13:22
   
G마크 먹은거임?? 말해봐여
     
coooolgu 15-12-29 13:59
   
제노바 조약이 아니라 제네바조약이겠지요?
     
아담스미스 15-12-29 14:12
   
벌레 안녕
국뽕밀수자 15-12-29 13:23
   
헬베르트 G마크 먹엇네 ㅋㅋ
coooolgu 15-12-29 13:55
   
언젠간 먹을거라 생각했지만 그현장을 보다니..
Banff 15-12-29 14:42
   
식사하러 잠깐 나갔다 온사이에 쾌속 G를 받으셨네..

자료검색해서 카피해올 시간에 가생이 운영원칙좀 다시 읽고 오시지.

런던 -> 힐베르트  다음은 어떤 아이디로 들어올지 기대가 됩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