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12-22 23:19
스마트폰 Tip(10) - 앱 실행 원리
 글쓴이 : 웨이크
조회 : 1,296  

앱은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내장 메모리에만 설치됩니다.
 
즉, 별도로 장착한 sd카드에는 앱을 설치할 수 없는 것이지요.
(내장 메모리 공간 확보를 위해 설치된 일부 앱을 sd카드로 이동시킬 수는 있습니다.)
 
내장 메모리에 설치된 앱을 실행할 때는 메모리(RAM)로 불러와 CPU가 실행하게 됩니다.
 
사용자는 그 결과를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보는 것이고요.
 
내장 메모리에 설치된 앱은 RAM을 거치지 않고는 CPU가 처리할 수 없습니다.
 
어쨌든 RAM 공간이 클 수록 스마트폰의 처리 속도는 빨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스마트폰 앱 중에는 항상 RAM에 상주하고 있는 앱들이 존재합니다.(항상 실행 중)
 
예를 들어 카카오톡 같은 앱인데...
 
AA.png
(상주하고 있는 앱을 강제 중지시켰을 경우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할 수 있습니다. - 예, 카카오톡)
 
항상 RAM에 상주하면서 메시지가 도착하면 알림으로 알려줍니다.
 
물론 상주하고 있는 앱들은 메모리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상주하고 있는 앱들이 많을 수록 스마트폰의 처리 속도는 느려지겠지요.
 
그래서 메모리를 정리하는 앱들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처리 시스템은 PC와 동일합니다.
 
PC도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에 설치합니다.
 
설치된 프로그램을 메모리(RAM)으로 볼러와 CPU가 처리하는 것이지요.
 
상주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작업표시줄의 트레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예, 백신)
 
물론 이 것이 전부는 아니겠지요.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도 있으니까요.
 
RAM 운영 상황도 스마트폰과 동일합니다.
 
RAM이 부족하면 하드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할당받아 가상 메모리로 사용합니다.
 
마치 메모리가 더 있는 것처럼 사용하는 것이지요.
 
가상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하드디스크를 계속 읽게 됩니다.
 
가상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공간이기 때문이지요.
 
물론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보조기억장치(예, 하드디스크)에서 바로 실행될 수는 없습니다.
 
즉, RAM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고요.
 
그리고 보조기억장치(하드디스크, USB 메모리, CD 등)에서 RAM으로 읽어오는 과정을 Load(로드)라 부릅니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열기", "불러오기"가 이 과정입니다.
 
결과를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가 보는 것이고요.
 
물론 작업은 RAM에서 이루어집니다.
 
RAM에 있는 내용을 보조기억 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Save(세이브)라 부릅니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저장", "저장하기"가 이 과정입니다.
 
결과를 보관하기 위해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고요.
 
참고로 보조기억장치는 비휘발성이라 전원을 꺼도 지워지지 않지만 RAM은 휘발성이라 전원을 끄면 모두 사라집니다.
 
그래서 보관을 위해 저장하는 것이고요.
 
참고로 클립보드라는 임시 기억장소는 RAM의 일부분입니다.
 
따라서 PC/스마트폰을 재부팅하면 모두 사라집니다.
 
클립보드가 RAM이란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복사"는 클립보드로 복사한다는 뜻이고, "붙여넣기"는 클립보드에 있는 내용을 붙여넣는다는 뜻입니다.
 
스마트폰에서 특정 내용(예, 메시지)를 복사했을 때 "클립보드에 저장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곤 하지요.
 
스마트폰과 PC의 클립보드는 RAM의 일부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방식이 동일합니다.
 
결국 PC의 프로그램 처리 방식과 스마트폰의 앱 처리 방식은 큰 틀에서 볼 때 거의 동일합니다.
 
PS, 컴맹이 스마트폰을 능숙하게 다루는 경우는 없습니다. 사용 범위에 따라 다르겠지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알면 다쳐!!!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그네21 15-12-26 00:51
   
우리나라 출시 제품들은 메모리 많이 잡아먹기로 악명이 높습니다. 미국출시제품보다 필수적으로 깔린게 많죠. 지워도 되는걸 못지우게 막아놓기까지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