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12-14 21:44
유럽의 강소국들중 스위스 개관.
 글쓴이 : 컵안의별
조회 : 1,366  

유럽의 대표 강소국들 스칸디나비아3국(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베네룩스3국(벨기에,네덜란드,룩셈부르크)+스위스,덴마크

그 중 우리나라 산업구조에서 우리가 부족한 부분을 많이 가진 국가는 스위스로 봅니다.
천연자원 부족하고 영토 작고 인구도 부족하면서도 우리가 갖춰야 할 부분을 이미 가진 국가.

인구는 8백만대 임에도 국내총생산(GDP)이 우리의 절반 수준.

대표적인 기업들은 스웨덴도 비교가 안되는 수준.
금융,바이오제약,화학,기계,정밀공업,무역 부문은 유럽 최정상권.

대표기업들
금융 Zurich Financial Services, Credit Suisse, UBS, Swiss Reinsurance, ACE
바이오제약 & 의료장비 Novartis, Roche, Lonza, Synthes, Actelion
화학 Syngenta, Givaudan
기계 & 정밀공업  ABB, Richemont, Schindler, Swatch
무역 Glencore
식품 Nestle
토목건설 Holcim

매출기준으로는 무역,자원개발을 하는 Glencore가 가장 크고,

가장 탄탄하고 부러운 3회사는 네슐레,노바티스,로슈
식품 부분의 네슐레는 여러 하부 브랜드들을 가지고 있으며 2014년 순이익 146억$
바이오제약 노바티스 2014년 순이익 102억$
바이오제약 로슈 2014년 순이익 94억$

상기 3사보다 매출규모의 급은 다르지만, 세계 탑급 회사는 시계,보석가공의 Richemont, Swatch
농화학 부분 Syngenta

우리 나라가 한 단계 진화하려면 금융과 바이오제약 부분은 반드시 일궈야 하나 갈 길이 너무 멀고 멈.
기업에만 맡겨서는 R&D 차이로 이미 벌어진 규모차이로 간극을 좁히기란 불가능에 가깝고, 국가적인 시책으로 공기업이라도 만들어서 R&D에 집중 투자해야 하지 않을런지...

삼성전자야 R&D가 거의 130억$가 넘는 굴지의 회사지만,
저 조그만 나라 스위스 연구집약적이고 고급인력이 필요한 제약부분의 노바티스,로슈의 R&D 규모 역시 각각 100억$ 쯤이란 것.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전쟁망치 15-12-14 21:45
   
크...나라 크기에 비해서 대단하네요..

정예나라네요
힐베르트 15-12-14 21:49
   
음.

일단 스위스는 잘살고 좋은 나라지만 스위스는 한국과 국가모델이나 지향점이 다릅니다. 기왕에 한국이 참고해야 할 나라라면야 독일이니 스위스같은 강소국형은 한국사정과 거리가 멀어요.

더욱이 스위스의 총GDP는 한국의 1/3쯤 됩니다.

우리나라도 금융산업이 발전할려면 막대한 잉여를 비축해서 대외안정성을 확보하고 원화자산에 대한 해외매매가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미금리 올리면 자금유출될까봐 전전긍긍하는 사람들이 많은 환경에서 역외원시장마저도 아직 못 열리는것을 본다면야 능력부족 이전에 의지부족도 있습니다.

그리고 삼성은 바이오시밀러에 투자하고 있어요. 이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8%라는점만 본다면야 낙관적이지도 않고 비관적이지도 않은것 같습니다.
컵안의별 15-12-14 21:53
   
삼성이 바이오로직스,에피스를 만들어서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아직은 걸음마 수준이고.. 바람직한 투자로 봅니다.
저 바이오제약과 요즘뜨는 바이오시밀러는 세계적으로 가장 돈 되는 사업분야지요.
반드시 성공하길 바랍니다.
군말 15-12-14 21:54
   
우리는 아직 쫓는 입장이니까요~
     
힐베르트 15-12-14 22:00
   
그 우리는 중국을 말씀하시는거죠?
          
군말 15-12-14 22:37
   
ㅋㅋㅋ 당연히 한국이죠..
자기 주장이 정당화 안되시니 화나서 스토커질 하시나?
               
힐베르트 15-12-14 22:53
   
아니 님한테는 중국이잖아요.

스토커질이라니요. 정당한 의문인데.
중간계호빗 15-12-14 22:30
   
인구도 적은 북유럽 국가들이 왜 세계 최고의 선진국들인지 궁금했습니다.
허구한날 우리나라는 인구 5천만 밖에 안되는 소국이라 내수도 안된다는 소리 하도 많이 들어서리
서울뺀질이 15-12-15 00:14
   
돈 놀이는  닮고 달은  유태인들이 잘합니다.  한국은 아직  거기에 낄 군번이 아니구요.  유럽에도 유태인이 많이 퍼져서 돈장사  잘 하고 잇지요.  한국은 제조업이나 일단  올인 하는게 살 길입니다.    금융은 나중에  생각해 볼 일 입니다.
windflower 15-12-15 00:40
   
삭제가 됐군요;;
바이오 산업 잘 하면 황금알을 낳는 사업이지만 생각보다 신규나 고용비율이 다른 산업보다 작고 미진한 사업입니다. 왠만한 메이저급의 바이오 회사도 한국에 있으면 좋지만 지나친 올인은 바람직 하지 않네요. 요즘 조립라인을 값싼 인권비때문에 공동화 현상이 계속 생기지만 그래도 제조산업은 고수하고 지켜는 게 바람집합니다.
     
windflower 15-12-15 01:45
   
값싼 인권비때문에 동남아로 이전 공동화 현상(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