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12-14 20:55
[생생中國] 中 GDP 6%대 성장률로도 美 추월 가능…中國, 소비대국·정보강국으로 부상한다
 글쓴이 : ㅉㅉㅉㅉ
조회 : 1,351  

후진타오 시대 12%대였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6.9%까지 떨어졌다. 그래서 서방세계에는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가 넘친다. 심지어 미국은 중국 핑계를 대면서 금리 인상을 연기하기까지 했다. 중국의 성장률 둔화는 정말 우려할 만한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

중국 경제는 이미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63%에 달하는 거대 경제권이다. 미국 GDP가 현재 중국 GDP 수준인 11조달러였던 때가 2002년이었는데 당시 GDP 성장률은 3%였다. G2였던 일본의 전 세계 GDP 비중이 14%였던 때가 1997년인데 당시 일본의 GDP 성장률은 2%였다. 미국과 일본이 현재 중국의 경제 규모였을 때 2~3% 성장에 그쳤지만 별문제 없었는데 지금 6~7%대 성장을 하는 중국의 GDP가 문제라고 하는 시각은 잘못된 것이다.

이런 오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2%대에서 6%대로 낮아진 것을 경착륙으로 보는 것은 경제 규모가 5배가 커졌는데 이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5년 후진타오 시대 GDP가 1% 성장하려면 220억달러가 증가해야 했다. 그러나 2015년 시진핑 시대에 GDP가 1% 성장하려면 1140억달러가 증가해야 한다. 후진타오 시대 매출액이 100이라 할 때 12% 성장한다면 12다. 시진핑 시대는 매출액이 500이다. 6.9% 성장한다면 35가 늘어야 가능하다는 얘기다. 중국이 6.9%대 성장을 한다면 GDP로는 7760억달러가 순증해야 하는데 이는 1995년 장쩌민 주석 시대 전체 GDP 7570억달러보다 더 큰 규모다.

중국은 ‘100년 계획’이 있는 호흡이 긴 나라다. 공산당 창당 100주년인 2021년에 중진국 도달, 즉 ‘소강사회’ 실현의 목표를 갖고 있다. 중국은 이에 따라 1953년부터 5년 계획을 실시해왔고 2015년은 제12차 5년 계획(2011~2015년)의 마지막 해다. 그리고 2016년부터 시작될 제13차 5년 계획은 중국의 100년 꿈이 이뤄질 2020년까지의 계획이다.

중국은 2020년까지 경제성장 목표를 ‘2010년 GDP의 2배 달성’으로 잡았다. 2015년 GDP 성장률을 7%라고 가정하면 향후 5년간 연평균 6.53%만 달성하면 이룰 수 있는 목표다.

서방은 중국의 7% 이하 성장 여부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정작 중국은 7%든 6.5%든 크게 신경 안 쓴다. 왜냐하면 6~7%로 10년 성장하면 미국을 추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GDP의 63%인 중국의 GDP가 6.53%씩 성장하면 2020년에는 77%에 달하고,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2026년에 중국 GDP는 미국 GDP를 추월한다.

중국 경제를 바라볼 땐 이제 성장률보다 성장의 내용을 살펴야 한다. 시진핑 주석은 집권 3년 만에 중국을 제조대국에서 서비스대국으로, 투자대국에서 소비대국으로 바꿔놨다.

2016년부터는 중국의 국가 전략이 통째로 바뀐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13차 5년 계획에서 중국은 제조경제에서 정보경제로 전환한다. 중국은 이번에 인터넷, 대중창업 만인혁신, 중국제조 2025 등의 정책을 내놨다.

세계 최대의 모바일, 인터넷대국인 중국이 정보강국으로의 변신을 천명한 것이다.

앞으로 중국 경제정책의 무게중심이 환경보호, 의료, 위생안전 등으로 옮겨가는 것도 중요한 변화다

성장률이 떨어져도 세계최대 경제대국이 되는것에는 변함이 없네요.이제 환경을 파괴하지않고 친환경적으로 성장한다니 더욱더 기대되네요

http://news.mk.co.kr/newsRead.php?no=1177106&year=2015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힐베르트 15-12-14 20:57
   
동아게가 재미없어서 여기서 하시는건가요?
개들의침묵 15-12-14 20:58
   
<) ^.  .^ (>
( "(ㅇㅇ)" )  ~♪
--m----m--      ..... 배고파 밥줘......♡
모래니 15-12-14 20:58
   
6%도 적지 않은 성장율이긴 한데, 계속 6%로 성장할거라고 잡는것도 오류에요.

앞으로 10~20년뒤 중국이 미국을 추월한다는 이야기가 도대체 얼마나 오랫동안 같은 이야기가 반복되고 있는지 나원. 아마 2005년엔 2015년에 추월한다고 했었죠.
     
ㅉㅉㅉㅉ 15-12-14 21:00
   
중국과 미국의 경제력 격차가 계속 줄어들고있습니다
          
모래니 15-12-14 21:04
   
당연히 줄어들겠죠. 누가 안줄어든다고 했습니까?
전쟁망치 15-12-14 20:58
   
허기야 13억 인민들 굶겨 놓고 2000~3000만명 인구만 중산층 만들어놔도 왠만한 선진국의 소비시장보다 클테니 뭐

그리 나쁘지는 않죠...

다만 중국 본토에서 살기 힘들어하는 인민들이 중국을 버리고 해외로 계속 이민을 가려고 하는건 정말

눈뜨고 보기가 그렇더군요, 눈쌀이 찌푸려져요 충분히 더 잘살게 할수 있는데도요.  그만좀 해외에 내보내라고 하세요
     
ㅉㅉㅉㅉ 15-12-14 21:03
   
중국의 중산층은 3억명이 넘습니다
          
전쟁망치 15-12-14 21:04
   
어디서 구라를 쳐요... 좀 정도껏 치세요
               
ㅉㅉㅉㅉ 15-12-14 21:06
   
                    
전쟁망치 15-12-14 21:13
   
기사하나 가지고 사실인양 보도하는게 어디 있어요?

일단 중국은 정보 통제 국가라서 객관적으로 진짜 중산층이 3억인지 알수가 없는데 ㅋㅋㅋ
                         
ㅉㅉㅉㅉ 15-12-14 21:15
   
서방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힐베르트 15-12-14 21:05
   
중국의 중산층은 한국의 최저소득계층보다 소득이 높지 않았다는게 문제죠. 자기들 기준에서 중산층인데.

OECD기준 중산층의 정의는 중위소득 50~150%대의 사람을 말하는 것임. 중산층이라는게 소득수준이 높다는 의미로 쓰이는게 아니라 전체 소득분포에서 중간에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밀집되어 잇는가를 말해주는 지표임.

그러니 소득이 100달러인 나라에서 중산층이 80%가 될수도 있고, 소득이 100000달러인 나라에서 중산층이 50%가 될수도 있는거. 중산층비중이 높다는게 그 나라가 잘 산다는 의미는 절대 아님.
블루로드 15-12-14 21:07
   
경제전문가들이 앞으로 11~14년후 쯤에 중국 경제의 규모가 미국을 앞설 것이라는 예상을 내 놓은게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 예상은 앞으로도 중국 경제가 매년 6% 이상의 경제성장 기조를 계속 안정적으로 유지한다는 전제 아래 낸 것이죠 (그리고 미국은 1.5~2% 이하의 경제 성장을 주욱 한다는 예상과 함께 ...)
     
ㅉㅉㅉㅉ 15-12-14 21:09
   
충분히 안정적으로 중국은 성장할수있습니다
유쓰유쓰 15-12-14 21:07
   
저희 아버지 왈 : 자기 학생때 부터 중국이 10년내로 세계 최강대국으로 부상한다.. 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합니다.
     
모래니 15-12-14 21:12
   
10년뒤에 중국이 최대 강국(경제)가 된다는 떡밥이 벌써 얼마나 오래전부터 나온건데. 그 '시간'이 줄어들질 않아요.
당연하죠, 첨엔 10% 경제 성장율이 계속 될거라고 보고 10년뒤, 담엔 9%, 담엔 8%, 담엔 7%, 담엔 6%. 이젠 6%가 계속 될거라고 호언 장담하는 사람이 있네요. 누구라고 말은 못하겠지만...
어림 반푼어치도 없는 소릴.
          
ㅉㅉㅉㅉ 15-12-14 21:13
   
2024년쯤이면 세계최대경제대국이될것으로 보고있습니다
               
모래니 15-12-14 21:15
   
ㅋㅋㅋㅋ 2024년엔 또 다시 2034년이라고 말하겠지요.
                    
ㅉㅉㅉㅉ 15-12-14 21:16
   
이미 중국은 ppp규모가 세계1위입니다
                         
유쓰유쓰 15-12-14 21:33
   
리스크도 세계 1위급이죠.
                         
Misu 15-12-14 21:37
   
나라에서 배출하는 똥오줌과 폐수, 이산화탄소 매연도 세계 1위죠
                         
원형 15-12-15 08:59
   
그래서 시궁창에서 기름뽑아쓰죠.
ppp맞추려고

폐지로 종이로 고기 만들고, 종이 말아서 쌀을 만들며, 화공약품으로 계란을 만듭니다.

그넘의 ppp
abcd2014 15-12-14 21:13
   
중국은 외국자본기업들이 중국에 생산공장을 설립해 중국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해 해외에 수출하는 방식인데,여기서 벌어들인 수출액 중 90%는 당연히 외국으로 송금되고 남은 10%에서 5%는 중국공산당에 송금,남은 5%는 중국 노동자들의 임금으로 사용됩니다.중국 국적 민간기업(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의 실제 수출액은 1000억달러로써 세계 35위~40위 정도밖에 안되는 수준인게 사실입니다.
     
ㅉㅉㅉㅉ 15-12-14 21:14
   
중국 수출액은 2조달러가 넘습니다
라개똥 15-12-14 21:14
   
별관심없는 중국애들일뿐....
중국만세라고 외쳐달라는건가? G2라고 하지만 급의 차이는 여전한...
윗님 말대로 90년대에도 미국 추월한다고했지만 여전한...
비번없음 15-12-14 21:15
   
ㅇㅈ
Misu 15-12-14 21:23
   
서울대 경제학 북경대 정치외교학 박사출신인 중국학교수님이 말씀하시길
지금 중국이 계속 6%대로 성장한다면 100년은 더 걸려야 한다더군요..
게다가 단순한 경제력으로 미국을 넘는 건 좀 더 빠를 수 있지만 국력 자체가 미국을 넘을 수 있을진 완전한 미지수라고,,

제 생각도 유엔보고서도 향후10년치밖에 예상못하는데 . 님 말은 마치 판타지 같네요
Misu 15-12-14 21:25
   
그리고 중국 성장률 대부분이 지방에서 거짓보고하는 거란 걸 아시고 계시는지...
다시 말해서 중국은 수많은 부분이 허수(虚数)란 얘깁니다.
군사부문도 그렇고 경제부문도 그렇고,,
한국은 중국의 경제발전에 그냥 같이 따라가면서 이익 보면 됨
di0o0ib 15-12-14 21:30
   
중국 인구로 봤을때 경제 규모가 미국의 5배는 되야함.
근데 현실은 미국 만큼도 안되니....
힐베르트 15-12-14 21:32
   
중국경제가 12억을 희생해서 1억을 겨우 먹여살리는 그런 피라미드형태이기에 궁극적으로 모두를 위한 경제성장 자체는 힘들겁니다.

부자들은 이민갔거나 갈 준비이거나. 한해 중국을 떠나는 이민자만 20만명임.
     
ㅉㅉㅉㅉ 15-12-14 21:38
   
떠나는 부자도 중국국적은 유지해서 돌아올것입니다
          
라개똥 15-12-14 21:4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su 15-12-14 21:41
   
이 님은 무슨 '아마~일 것입니다' 도 아니고
그냥 마치 '반드시 ~ 일겁니다' 이미 기정사실화 해버린 식으로 표현하네
무슨 타임머신 타고 오셧나
반가사유 15-12-14 21:33
   
개소리를 신명나게 하네 ㅋㅋㅋㅋㅋㅋㅋ
오마이갓 15-12-14 21:50
   
중국경제는 경제 성장율이 6%대라 문제라는것이 아니라, 투자는 이미 10%대로했는데 경제성장이 6%대라 그차이만큼 거품이 발생해서 문제라는 겁니다. 그동안 이런 거품이 너무 누적되서 한번 터지면 걷잡을수 없다는점이 중국경제의 잠재적인 엄청난 문제입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금리가 오르면 자연히 거품빠집니다.... 지금 미국 금리인상은 예고되었고, 엄청난 속도로 중국내 자금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중국은 어떻케든 방어해보려고 위안화를 급속도로 절하하고 있습니다......
Habat69 15-12-14 22:00
   
6%가 5년후엔 3% 5년후엔 1%대로 가는거쥐 경제 첨 배움니까?
한번 꺽인 경제가 그 한계를 극복할수 없습니다.
오직 상대방을 전쟁으로 이기는 수밖에 없는데 군사분야는 미국이 그냥 킹왕짱이라 중궈가 어떻게 할수 없어용
오순이 15-12-14 22:16
   
아~ 이 짱게 xx들은 무슨 정신병이 있는 거 아닌가...
왜 남에 나라 사이트와서 지랄인지 하루이틀도 아니고
도대체 아이디가 몇개냐? 정신병자 같은 x들..
지살 깎아먹고 있네요. 재수없는 벌레넘들..
구름아래 15-12-14 22:33
   
이분 조선족인가요?
서울뺀질이 15-12-15 00:34
   
매번 허소리 하네.  위엔화 내년에는 FRB 금리 인상 랠리때문에  평가 절하 되어서  달러당 8위엔까지 간다고 보고 있습니다. 6.2 에서  8까지 오르면 단순 산술 계산으로도 29 퍼센트가 평가 절하 되는 겁니다.

그럼 달러로 환산산 일년 GDP 10조달러가 단숨에  7조달러로 떨어지는 겁니다.  게다가 중진국 함정에 빠져서 잠재 성장률이 계속 낮아지는 걸  신정상 상태라고 자위하는 걸 보면 걍 웃음밖에 안 나오네요.   

6퍼센트 성장대도  얼마 안가서  3퍼센트대로 떨어 집니다.  중국 성장을 견인한 것은 내수가 아니라 수출과 외국인 투자가  대부분인데  요새 외국인 자금 엄청나게 빠져 나가고 있고  중국 위엔화 표시 채권 패대기 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경제도 미국 빼고는  유럽,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 호주, 캐나다  다  안 좋습니다.

따라서  위엔화 평가 절하해도 수출은 늘어 날일이 없지요.  그리고 제조업도 제대로 성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업으로  업종 변경해서 성장 한다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는데  중국에  중산층이 얼마나 된다고 내수로 경제를 진작 시킬 수 있을까요? 

애시당초  달러 벌었을때  사회 안전망에 투자 해서  복지/교육/의료 분야에 집중 투자해서 중산층 키웟어야 하는데  미국하고 군비 경쟁 열나게 하면서 돈만 날렷으니 이제 한계에 봉착 한거죠.  소련이 미국하고 군비 경쟁해서 나라 거덜 난걸 옆에서 봣는데도  똑같은 짓을 하는 걸 보 짱개들 머리가 멍청한 게 분명하죠.

서부지역 개발해서  경제 성장률 유지 하겟다고 하는데  빈 건물 잔뜩 지어서 머 합니까?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은  생산 함수를 상방 이동 시키는 건데 이건 생산성 향상이 일어 나야 합니다. 

한마디로 기술 개발을 해야 하는데 그게 그렇게 쉬울까요?  2차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들이 독립해지만 중진국 함정에서 벗어난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합니다. 

짱개들은 항상 5년 후  10년 후 떠드는데  제대로 된 땀과 노력없이는 국부는  창출이 안됩니다.  여태까지 경제규모가 커진게 자기네 실력이 아닌데  착각을 제대로 하는 거죠.  남의 기술 털도 안 뽑고  걍 날로 먹는 나라에서 기술 개발이 제대로나 될까요?

게다가, 미국 경제와  중국경제는 이제 디커플링된 상태라서  중국에 잇던 공장들 미국으로 리쇼어링해서  다시 대미 수출이 이전 처럼 늘어날 일은 없습니다.    조만간 중국은 어차피 경착륙 하게 되어 잇습니다.  안전 벨트나 매시지요.
여나킴 15-12-15 02:24
   
중국은 경제 어쩌고 저쩌고 할 문제가 아님
미국 추월하지도 못할뿐더러
지리상으로 우리나라가 가까워서 우리나라에 짱깨들이 너무 많아서 미국과 중국사이에서 선택해라
중국이 짱이다 자꾸 이런 논리로 선동하려 하는데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짱깨가 우리나라 발전, 사회통합에 바퀴벌레 같은 존재임
더군다나 근본적인 시민의식부터 시작해서 인권문제나 풀어야 될께 한두가지가 아님
길거리에 지네 나라에서 돈 많다고 우쭐해서 우리나라 관광온 짱깨들 보면 수준 참 노답임
가생이나 외*닷컴이나 중국 네티즌 글만 보더라도 대부분 의식 수준이 우리나라 8~90년대 수준임
짱개들은 본인 스스로 알고 있는지나 궁금함
그냥 종특상 자존심만 쌔서 나불 나불 하기나 하지
그저 우리나라나 다른 선진국들이 볼때는 졸부 이미지에 미개한 나라일뿐임
너끈하다 15-12-15 12:46
   
중국의 전망이 나쁘진 않지만 점점 힘들어질껍니다. 계속 발전이야 하겠죠. 시장규모가 있는데.
근데 그 과정이 앞으론 더 힘들어질껍니다. 벌써부터 중국에서 할께 없다라는 예기가 나오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