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12-13 17:02
ssd의 단점?? 아니면 제품불량?? / 여러분 도움으로 원인해결
 글쓴이 : 휴로이
조회 : 1,388  


점점 줄어드는 ssd 사용공간.
온갖 유틸리티로 필요없는 파일들을 삭제해봐도 .. 복구 안되는 저장공간.

ssd를 사용하면서 느낀게.. 예전에 hdd를 사용할땐 스왑 파일등 자질구레한 파일들을 삭제만해줘도..
원래의 저장공간으로 돌아갔었는데 ssd를 사용하면서 아무리 삭제하고 또 삭제해도
최소 사용용량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 이유를 모르겠네요. 

하긴 hdd를 사용할땐 사용공간에대한 고민 자체가 없어서 몰랐을지도.
패치하면서 .. 받았던 파일이 삭제가 안된것도 아니고 인터넷파일이 삭제안된것도 아니고..
먼저번 백업이후 새로이 설치한 프로그램도 없는데 .. 왜 지속적으로 줄어들까요??
ssd의 문제일까요?? 아님 윈도우7의 문제일까요??

아무래도 조만간 또 초기백업으로 덮어야할것 같네요.  또 윈도우 패치하느라 짜증날듯..
마이크론 M500 240G .. 

삼성 tlc면 모르겠는데 그것도 아니고.. 그거참.. ㅡㅡㅋ
더군다나 램디스크 사용 때문에 인터넷 파일이나 스왑파일도 별로 없다는것..


\\\\\\\\\\\\\\\\\\\\\\\\\\\\\\\\\\\\\\\\\\\\\\\\\\\\\\

로밍폴더 폴더스캔한 결과입니다. 별러없네요.
캡처.PNG

\\\\\\\\\\\\\\\\\\\\\\\\\\\\\\\\\\\\\\\\\\\\\\\\\


범인을 잡은것 같습니다. 요놈인가 보네요.

캡처2.PNG


Hdd를 사용할땐 단 한번도 저 정도 용량때문에 애먹은적이 없어서 까마득히 잊고있던 ..
윈도우 자체 저장공간 확보 옵션유틸입니다. 어째서 다른 유틸리티로는 저 공간이 확보가 안된걸까요??
윈도우 자체 저장공간 관리 프로그램만으로 검색이 가능한가 보네요.


오류보고?? 해결방법 확인?? 이런걸로 소중한 ssd를 차지하지 마란 말이야.. ㅡㅡㅋ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무얼원해 15-12-13 17:05
   
하드 대비 용량이 적어서 최소용량 체감하는게 달라서 그런것 같습니다.
아무리 지워도 용량이 안돌아온다면..
혹시 아이튠즈나 네비업데이트 프로그램 쓰시지 않는지요
저 두 프로그램들은 내문서 로밍폴더에 지맘대로 백업하는 양이 어마어마합니다.
     
휴로이 15-12-13 17:07
   
음.. 아이튠즈가 설치는 c 지만 미디어 폴더옵션은 hdd로 설정되있는데 그래도 그럴까요?
ssd 사용시기와 아이폰 사용시기가 비슷해서 애매하네요.
          
하늘바라기 15-12-13 17:10
   
원해님 말씀대로 아이튠즈가 백업하는거때문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휴로이 15-12-13 17:12
   
아이튠즈를 날려버리고 hdd에 재설치해봐야겠네요.
                    
행복찾기 15-12-13 17:35
   
용량 큰 SSD를 사용하면 그런 걱정 안해도 됩니다.
윈도우 운영체제 자체가 사용할수록 쓰레기파일이 많이 생겨서 그런 겁니다.

HDD는 대개 1테라 이상을 사용하기에 수십기가 정도되는 잉여파일이 문제가 안되지만,
128기가나 256기가 정도되는 SSD에서는 공간을 너무 많이 잡아 먹죠.

그외에 복원 파일이 업데이트 할때 생성되는 데 이게 적게는 수기가에서 많게는  수십기가도 잡아먹습니다.
          
무얼원해 15-12-13 17:11
   
네. 백업은 무조건 문서폴더에다가 합니다.
확인해보세요.
저도 전에 그랬는데 roaming폴더가 거의 50기가 처먹고 있더군요.
Users\개인명\AppData\Roaming
               
휴로이 15-12-13 17:13
   
어디에 설치하건 상관없이 문서폴더인가 보군요.. ㅡㅡㅋ
               
아안녕 15-12-13 17:15
   
Users\개인명\AppData\Roaming

이거 지워도 되는건가요?
5기가네요
                    
휴로이 15-12-13 17:24
   
지우면 안됩니다. 거기에 설치하는 프로그램도 많아요.
영계백수 15-12-13 17:09
   
윈도우를 깔으셨으니 주디스크로 사용하실테니 시스템형성하느라 조금 잡아먹겠고, 윈도우에서 시스템파일들이나 페이징파일들이나 백업용 저장파일들이 용량을 자연스레 차지하니까 그러는걸로 보여지네요
     
휴로이 15-12-13 17:10
   
램디스크 사용하고 페이징 0 설정인데 그래도 그럴까요??
16g 사용에 램디스크 6g 사용중인데.. 램디스크 없이 그냥 사용하면 좀 남는 느낌이라..
완냐 15-12-13 17:15
   
folder size 같은 프로그램으로 어떤 폴더가 데이터 처묵 하고 있는지 먼저 파악 하시는게..
바브팅그리 15-12-13 17:15
   
그런 문제도 있었군요
전 그냥 애초에  ssd에  윈7  많이하는 게임 한가지  이렇게만 넣어져있고
나머지는 그냥 1테라 하드디스크 이용하고있어서 ㅋ  저런 문젠 못느꼈네요
스파이더맨 15-12-13 17:15
   
SpaceSniffer 프로그램 추천이요
요요마 15-12-13 17:19
   
제가
삼성 840 pro  256, 
리뷰안 850x  128,
샌디스크x300  256 

이렇게 3개를 쓰는데..

말씀하신 비슷한 현상은 비정품 윈도우8.1 os를 쓰던 노트북에서 발생했었어요.
리뷰안 850x 128  에서 발생했는데..
(데스크탑 2대는 정품 윈8.1을 사용중이어서 그랬는지 이상없었구요.)

처음에 윈8 깔고 오피스프로그램 정도만 깔아서 여유용량이 80기가 있었는데.. 
이상하게 공간이 줄더니 결국 16기가 정도 남고 약 100기가 정도가 사용중으로 뜨더군요.

그래서 제가 했던 조치는
정품 윈8.1을 추가구매해서 리뷰안ssd를 포맷하고 새로 설치했더니 현재 약 3개월 정도 사용중인데
설치했던 프로그램 용량 이외에는 멀쩡합니다.

정확한 문제의 원인은 모르겠으나...  제 느낌상으로는 비정품 os 사용중이라 가끔 패치가 안되서 오류가 나고
그때에 재부팅하면서 윈도우 되살리곤 했었는데... 그때마다 os가 꼬이면서 문제가 생겼던 것은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꼭 정품os 사용이 해결책이라기보다는..  윈도우업데이트시에 업데이트 실패가 생기면 저렇게 쓰레기파일이
생성되서 용량을 차지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싶네요.

혹시 틀렸다면 잘 아시는 분 답변 좀 달아주세요.
저도 궁금했던 사안이니 정보 좀 얻어가겠습니다.
     
요요마 15-12-13 17:22
   
아  위의 답변들 보니 정말 그럴수도 있겠네요.

저도 아이튠즈 깔아서 쓰고 있었는데..  거기서 자동백업하면서 그랬을 수도 있겠어요.

맞다. 진짜 그럴것 같네요.

제가 새로 os 깔면서 아이튠즈는 안 깔았거든요.  노트북에는...

아.. 근데. 
제가 쓰는 데탑 하나에는 여전히 아이튠즈 깔아서 아이패드랑 백업 연동으로 사용중인데...
거기(삼성ssd)는 용량 잡아 먹힌거 하나 없이 무난하게 잘 사용중인데..

흠.. 아리송하네요.
          
휴로이 15-12-13 17:25
   
저도 ssd의 사용시기와 아이폰 사용시기가 비슷해서 비교 가능한 데이타가 없네요.
ISter 15-12-13 17:27
   
이글을 보고 문득 디스크정리 - 시스템파일 정리 실행해보니  윈도우 업데이트 백업파일, 기타 찌꺼기들 용량이 3기가네요.  간간히 해줘야되는데 쓰다보면 까먹죠
이것도 체크해보세요
     
휴로이 15-12-13 17:38
   
덕분에... 각종 유틸리티로 찾지 못했었던 저정공간 확보 유틸만의 기능을 알게된듯 싶네요.
감사합니다.

쓸데없는 지식이 많아서.. 윈도우 자체 유틸을 사용하지 않는 오류를 범했던것 같습니다.
유틸리티들의 맹신이 저지른 .. 어리석음..
비만 15-12-13 23:10
   
오류보고가 왜이리 많나요? 저건 많아도 1mb 를 안넘는게 정상일텐데요.
시스템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는 뜻인거 같고, 윈도우 설치 상태를 점검해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