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6-20 22:17
황교익이 평가하는 한정식
 글쓴이 : 레스토랑스
조회 : 1,656  

https://i1.ruliweb.com/img/17/06/20/15cc33acbc0124300.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고르곤졸라 17-06-20 22:18
   
이양반은 맞는말은 하는데 가끔보면 좀 독단적인 ㄱ ㅐ소리를 함
돈까스가 일본에서 생겨난거라고 말하질 않나 ;;
     
고르곤졸라 17-06-20 22:33
   
근데 본문내용은 맞는걸로 알고 있음
     
magic 17-06-20 22:38
   
돈까스가 영국의 '포크 커틀렛'을 일본화한 음식이란 건 어지간한 사람들은 다 아는 상식입니다. 황교익만 아는 사실이 아닙니다. ^^
          
촌팅이 17-06-20 23:25
   
오스트리아 음식 아니였나요?
               
magic 17-06-20 23:42
   
독일인도 먹었겠고, 오스트리아인도 먹었겠고, 영국인도 먹었겠죠. ^^ 기원이 어딘지는 모르나 이름이 영어니깐 영국으로 했지만, 서양요리라 칭합시다.
                    
촌팅이 17-06-20 23:46
   
네~
햄돌 17-06-20 22:21
   
황교익 이 사람 도대체 왜 저럴까요
     
꽃보다소 17-06-20 22:25
   
일베를 이해할 수 있으면 저 인간도 가능하리라고 봅니다.
     
magic 17-06-20 22:41
   
비틀린 걸 바로 잡는 게 왜 껄끄럽게 느끼시나요? 일본이 젊은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를 안 가르치는 게 잘못이라고 생각한다면, 우리도 우리의 음식의 부끄러운 역사를 알아야 올바른 전통을 세울 수 있지 않을까요?
조용 17-06-20 22:26
   
강점기-전쟁 2중 트리를 맞은 한국이라... 정말 옛부터 내려온 음식이 드물긴 하죠. 하물며 저런 상차림은... 그나마 수라상만 좀 이어져오고 있고..

애초에 좀 이상한게 조선시대는 독상문화로 한정식이 있을리가 없죠.
     
꽃보다소 17-06-20 22:29
   
독상문화라고요? 이성적으로 생각해서 가능하다고 생각을 하시나요.
그 대식구들 전부를 독상으로 차린다고요.
그렇게나 조선시대에 잘먹고 잘살지 안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조용 17-06-20 22:31
   
http://chefnews.kr/archives/2670

참조.

겸상은 전쟁 이후에 나타난 문화에요. 여기 게시판에 한때 꽤 올라왔었는데 말이죠 ㅎㅎ
               
꽃보다소 17-06-20 22:38
   
사진으로 남은 자료는 확실히 독상이군요.
하지만 조선시대때 부터라고 말한다면 근거가 약하죠.
가난한 백성들이 독상을 했을 거라 생각이 들지를 않는 군요.
양반들이야 그렇게 했다고 해도 대다수의 국민들까지 독상을 했다고 하기는 힘들다고 생각을 합니다.
                    
조용 17-06-20 22:42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bna5&articleno=7132&categoryId=80®dt=20130628105412

더 옛날자료는 해당 링크의 맨 마지막의 그림 보시면 됩니다.


좀 너무한거 아닙니까?-_-;; 맨 처음 기사 링크 마지막 사진이 어딜봐서 양반들이라는건지..
                         
꽃보다소 17-06-20 22:52
   
조선시대 때 사진기가 있었군요. 저는 몰랐습니다.
제가 말한 주장은 조선시대때 양반들은 독상문화 였을 거란 것이죠.
그래서 시대가 변화고 사진기도 들어 올 때쯤 서민들도 독상을 했다는 것입니다.
조선실록에 그런 역사적 사실이 기록이 되어 있다면 더 정확하겠군요.
사진으로 그렇다고 하기에는 100년 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조용 17-06-20 23:10
   
ㅋㅋㅋㅋ 진짜 너무하네. 그럼 그 전에는 겸상이었다가 다시 독상으로 바뀌고 다시 겸상으로 바뀌었다고 얘기하고 싶은건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18세기 그림을 보여줘도 귀를 막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agic 17-06-20 22:43
   
우리가 아는 역사가 지지리도 못살던 구한말밖에 모르니 독상문화를 없다고 하지, 임진왜란 전까지는 잘먹고 살았을지도 모르죠.
          
rhine12 17-06-20 22:32
   
독상이 맞아요. 어린아이 정도만 어른과 겸상을 했지 독상이 기본입니다.
          
헬로가생 17-06-20 22:36
   
"조선시대에 잘먹고 잘살지 안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조선을 모르시는군요.
          
이리저리 17-06-20 22:43
   
독상문화였다는게 거의 정설로 알고 있습니다만..
          
팔하코 17-06-20 22:59
   
이성적으로 생각할 필요도 없이 수백년간의 각종 연회그림 구한말 사진을 봐도 전부 독상입니다. 최근에도 양반집은 독상쓰구요. 처마밑에 상을 주렁주렁 걸어놓죠.
     
귀요미지훈 17-06-20 22:51
   
역사를 모르면 하다못해...

최불암 나오는 한국인의 밥상..이라는 tv 프로그램이라도 좀 보고 글 싸지르시길

한국에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음식이 얼마나 많은지 놀라 자빠질거임.
          
조용 17-06-20 23:17
   
향토음식이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거 다 알지만 아쉽게도 전부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온거라서요.

중간에 뭐가 바뀌고 하는지 전혀 알수가 없죠. 아예 사람마다 요리법이 천차만별로 바뀌는게 허다한게 향토음식이라...
hotbee 17-06-20 22:28
   
여기서 일베가 나오는 이유는 뭘까요? 님들은 듣기 싫은 말을 하는 사람은 다 일베 수구 꼴통 친일 더 크게 잡아 짱깨 등등 님들이 듣고 싶은 말 안하면 다 나쁜 사람입니까? ㅋㅋㅋㅋㅋ우물안 개구리가 소로 위장하셨네..
이리듐 17-06-20 22:34
   
여기서 황교익이 한정식을 부정적으로 본다고 할 수 있는데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가 한정식이 기생이 나오는 요릿집에서 생겨낫다는 것과 일제강점기 일본으로부터 영향받은 상차림이라는 겁니다;

근데 제 생각에 그걸 가지고 꼭 부정적으로 볼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요릿집도 결국 과거 기방에서부터 오는 우리문화이고, 일본으로부터의 영향도 무조건 부정적이라고 볼 수도 없는건데 말이죠.
     
내일을위해 17-06-20 22:37
   
그  기생집이  사실  요리집입이다.  궁에서  나온  궁녀들이 모여  열었는데  기생문화와  결합된걸로  압니다.
          
이리듐 17-06-20 22:40
   
예 기생집과 요릿집을 구분할 필요는 없죠.
     
조용 17-06-20 22:44
   
부정적으로 보니까 전파를 못 탔죠;;; 사실 저떄가 언제인지 딱 정해지지 안 알려져있지만 좀만 민감한 거라면 다 잘랐던 시기라면 뭐;;;;

근데 저게 황교익 잘못임? 방송에서 못 탔다는 얘기인데...
          
이리듐 17-06-20 22:49
   
글을 잘 읽어보고 썻어야햇는데 잘 안읽고 지나치게썻네요. 죄송합니다
내일을위해 17-06-20 22:35
   
황교익 맞는말인데?  우리나라  전통  밥상에  수십가지  반찬  오르는게  없는데? 슈라상도  저리  안오르고  가당  화려한  상이  젯상이라면  이해할까?  우리나라는  잔치도  각자  소반에  받아  상받은거로  아는데  왜들  욕할까.  나  어릴때  외가집가면  소반이  광에  잔뜩  있었고  아님  마을  창고에  있었던  기억이  있는데  나만  그런가?
     
햄돌 17-06-20 22:37
   
수라상이 뭔지 모르나봄?
          
내일을위해 17-06-20 22:39
   
임금님  밥상요.  제가  핸펀이라  오타가  좀  많은데  이해부탁드려요.  수라상도  오행과  유교  영향으로  차리는  접도가  있습이다. 무조건  화려하지않아요.
     
조용 17-06-20 22:47
   
ㅇㅇ 이거 맞는 말입니다. 수라상이라도 많아야 12첩 정도라고 알고 있네요. 말이 12첩이지 정성드린 반찬 12가지를 한끼에 챙기려면 미치죠;;; 코스요리 가짓수만 챙겨봐도 그정도면 진짜 호화상 맞음.

근데 소반이 광에 있었다니;;; 용캐 그게 남아있었네요.
     
magic 17-06-20 23:28
   
나 어렸을 때는 시골 외갓집 가면 광에 나무로 만든 채, 키, 광주리, 소반 등이 가득했지요. 너무 시골이라 우물에서 물 길어 마셨습니다. 넓은 마당에 토끼, 닭 , 오리, 돼지 다 키우고요. 옛 것을 잃어가면 전통이고 뭐고 없습니다. 할머니, 어머니가 아는 지식도 소중한 문화재입니다. 전 어머님의 김치담구는 법을 배우고 싶네요. 김치맛이 자극적이지 않으면서, 향기가 예술이거든요.
팔하코 17-06-20 22:37
   
우리는 겸상문화가 아니긴함. 1인용 반상문화. 임금님이 베푸는 잔칫상도 그랬고 양반집 밥상도 그랬고 주막 국밥상도 그랬고.
샤를마뉴 17-06-20 22:39
   
원래는 독상문화였죠.

20세기 중반 이후로 바뀐 거임.
     
magic 17-06-20 22:46
   
저의 외갓집이 유교문화가 심한데, 명절에 가면 식사 할 때 남자랑 여자랑 겸상도 안합니다.
부분모델 17-06-20 22:43
   
저딴식으로 말하면 우리나라는 전통이고 뭐고 없고, 죄다 일본에서 넘어온게 되는데...

어쩐지 사람들이 저넘을 두고 일뽕이니 매국노니 하는 이유가 있었군아...

만물 일본설을 주장하는넘~
     
조용 17-06-20 22:49
   
실제로 영향 무지 받은건 사실이니까요. 음식만 아니라 일본의 영향을 안 받을래야 안 받을수 없었던 시절이었습니다.
          
햄돌 17-06-20 22:51
   
음식이 일본의 영향을 받아요?
               
조용 17-06-20 23:02
   
안 받을수가 없죠. 불고기만 해도 서로 크로스하면서 영향 받았고...

막걸리 만드는데 거의 일본식 누룩 쓰는건 이제는 아예 정석이 될판입니다. 사먹는 막걸리는 대부분 그렇다고 보면 됨.

김밥은 누가봐도 일본의 김말이 초밥에 영향받았다고 볼수 있고 카레만 해도 그냥 일본식입니다. 하이라이스, 오무라이스도 일본쪽에서 건너왔구요.

흔히 떡이나 빵에 들은 팥도 일본의 앙에서 비롯된거구요.. 그래서 팥앙금이라고도 많이 말하죠.

빵이라는 이름은 본래는 포르투칼어지만 일본에서 넘어왔다는게 거의 정설. 애초에 아시아권에서 빵을 빵이라고 하는게 일본과 한국밖에 없고.

대충 제가 아는게 이 정도네요. 솔직히 과거 일본의 경제력은 넘사벽으로 보일정도였고. 영향을 안받았을래야 안 받을수가 없었어요..
                    
조용 17-06-20 23:04
   
혹시나 해서 말하지만 김밥의 유래는 뭐 한국이다 일본이다 말할 생각 없습니다. 현재 모습의 영향을 받았다는게 일본의 김초밥이라는 뜻이니까.
                    
조용 17-06-20 23:12
   
추가로 기억난게 우리는 불쾌하지만 일본 카피 과자들(물론 얘들도 미국 카피한게 상당하지만) 쭈욱 나열한게 있죠.

과자얘기 나와서 하는 말인데 최근 싸이가 광고하는 꼬북칩도 카피 제품...ㅠ
                    
햄돌 17-06-20 23:15
   
전통음식 얘기하고있는데

핀트 어긋난듯?
                    
햄돌 17-06-20 23:16
   
떡에 팥을 쓴건 일제가 아닐텐데?

그리고 앙꼬라는 일본어가 안속 이라는 한국어에서 영향받은거라는

일본교수가 생각나네요?
                         
조용 17-06-20 23:23
   
원조 따지는게 아니라 영향을 받았다는겁니다. 미리 얘기했는데... 뭐만 하면 원조따지는거 진짜... ㅋㅋㅋ
                         
햄돌 17-06-20 23:55
   
팥앙금은 일제이전에도 많이 썼어요
                    
카리스마곰 17-06-21 00:21
   
일본에는 메이지유신 전까지 육식 고기먹는 것이 흔치 않고,
또 고기에 양념을 할 줄 몰라 비려 맛이 없다는 조선통신사의 기록도 있습니다.

불고기를 구울때 사용하는 연기배출 석쇠를 재일교포가 먼저 사용한 것을 마치 일본의 전통적인 고기굽는 방식과 상호 크로스 라이센스를 했다고 오해하겠네요.

막걸리 또한 그 자체가 옛날 탁주. 그것을 맑게한 것이 청주. 이러한 술 빚는 문화도 일본으로 건너가서 사케가 된거죠.  누룩균(효모)을 일본 것을 썼다?
확실히 공장형 막걸리는 십수년전까지 수입산 효모를 쓰는 경향이 있지만, 그걸 안쓴다고 전통 막걸리를 못만드는 것이 아니죠. 오리지날 누룩이 있는데. 
현대식으로 유통기한을 늘리고, 과학적으로 동일한 품질로 찍어내기 위한게 특수 효모인데...
지금은 자체 효모도 많이 배양하여 막걸리나 빵에도 쓰입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31/2017053102970.html

그리고 팥을 먹는 문화만 해도
한국의 동지때 마다 먹는 팥죽, 팥을 이용한 각종 시루떡 일본보다 오래전 부터 있었어요.

김에 밥을 싸 말아 먹는 것은 과거 조선시대 부터 충무김밥과 같은 형태가 있었고요.
일제 강점기에 일본의 노리마키와 같은 형태의 영향을 받아 현대식 김밥이 된 것은 저도 공감합니다.

그러나 김밥 속에 여러가지 넣고 마는 문화는 역으로, 한국에서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의 후토마케에 영향을 주었답니다. 보통 일본식 김밥은 오로지 오이 하나 참치회 하나 이렇게 마는게 보통이었으니까요.
                         
새코미 17-06-21 05:05
   
노리+마키 입니다. 김+감싸다.
원래는 다시마마키, 미역마키였습니다.
원래는 마키가 아니고 위에 덮는 것입니다.
1960년대(1950년대?) 영국여자가 김종자를 개발하여 대량생산하게 된것입니다.
이여자 신사에 모셔져 있습니다.
일본은 평민이 김을 먹기 시작한것이 이여자 덕분입니다.
그전에는 너무비싸서 싸서 먹는 것은 꿈도 못꾸고 사 먹어도 잘게 잘라서
뿌려먹었습니다.
우리는 1901년 독일기자가 금강산 산골 절에서 식사대접을 받는데
상에 김이 나왔다고 써있습니다.

노리마키는 60년대 이후에나 나오는 거지 1900년 초기에는 꿈도 못꾸는 음식입니다.
오죽하면 우리나라는 금강산 산골에서 먹는 김을 일본은 [행운풀]이라고 했을까요.
김을 채취하게 되면 엄청난 돈을 벌었습니다. 그런데 오직 자연에 의지해서
언제나 채취할수있는 것이 아니였습니다.
 
그 오이하나 넣는 김밥을 최초로 만들게 된 계기가 된것 대화도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1960년대에요. 자신이 원조라고 엄청자랑합니다.

후토마키는 부두의 노동자들이 창녀에게 한번에 먹게 했다 하는데
그것 거짓말입니다. 일본이 거짓을 말할때 꼭 그렇게 말합니다.
그럴듯한 이야기를 만들어서 이런사실이 있었다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오사카에서 이러이러해서 후토마키를 먹었다는 설이 있는데 확실하지 않다.]
라고 적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확실하지 않다는 기억하지 못하죠.

김발도 원래는 김을 싸려고 만든것이 아니라
계란말이를 둥글게 말려고 만든것입니다.
겉에 올통볼통 모양도 내구요.
일본요리사를 봐도 1950년대 까지는 계란말이가  주류였었다가
영국여자에 의해서 김이 재배되는 1960년대 이후에나 노리마키가 주류로 변했다라고
써있습니다.
     
magic 17-06-20 22:51
   
간지, 이빠이, 노가다, 츤데레 ... 평상시에도 젊은이들이 쓰는 일본말, 건설 현장 가면 어지간한 용어는 다 일본어이죠.  대학교 때 교수님이 일본 교수 데리고 건설현장 갔는데 하도 일본 말이 많아서 일본사람이 일부러 나 들으라고 쓰는 거냐? 물어 창피해 죽는 줄 알았다네요.  황교익 욕하기 전에 스스로 반성할 줄 알아야지 황교익이 뭘 잘못했나?
     
팔하코 17-06-20 22:52
   
일본이 왜나옴? 한정식은 원래 없던 말인게 불편해요? 해방되고 주고객들이던 왜구들 물러가고 방석집들이 망하기전에 살길모색하려고 만든게 한정식.
털게 17-06-20 22:58
   
우리는 1인 일상 문화죠.저는 이 글을 읽고 우리 것을 찾는데 게을리하지 안했나 함 생각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일반 식당이야 환경이 변해서 힘들지 모르지만 전통 음식점 같은 경우는 노력을 해야되지 않을까요?
사진속 한정식이 꼭 우리 전통문화다 고집 필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승리만세 17-06-21 02:15
   
꼭 그러리란법 없습니다. 좀 사는 양반집정도나 웃어른만 독상이 나오는 경우가있지만 그래도 가족끼리 오손도손 밥잘먹었습니다. 모두가 함께 하하호호 한정식을 함께먹는 문화는 자랑스런 우리의 식문화입니다.
마그리트 17-06-21 00:31
   
그 뭐야 병신 만화 그리는 놈마냥
왜뽕비린내가 역한게 그 부류 아님?
aghl 17-06-21 00:37
   
대표적인 친일파죠. 영 맘에 안드는 사람입니다
승리만세 17-06-21 02:13
   
우리 한민족의 우수하고 화려한 반상문화를 부정하는 자는 매국노이고 반드시 솎아내야하는 처단대상입니다.
뭐 기생집? 일본 문화?? 어디서 개같은 유언비어를 날립니까? 수천년 우리민족의 자랑스런 서민적이고 다정한 요리문화의 정점이 바로 한정식인데 감히 이것을 왜색이다? 추잡한 기생년과 쳐먹는 요사스런 것이다?
이런 쳐죽일놈을 봤나
ㄴㅇㅀ 17-07-07 14:19
   
ㅎㅎ 한정식이 꼭 조선시대에서부터 나와야할 이유도없고 한정식에 무슨 교과서가 있는것도 아니고 그옛날 떵떵거리고 잘살던 부자들은 그럼 잔치상에서 뭘 먹었답니까 꼭 저치는 한식이나 한국역사를 상놈역사로,  죄다 일본강정기 영향받고, 버리는거 줒어먹던 찢어지게 가난한 조선 노예들만 등장한다는.. 그리고 보면볼수록 같은 말을 해도 재수없다는게 저사람 재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