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9-02 08:34
80년대 에로영화가 한국영화의 주류를 이뤘던 이유가 뭔가요?
 글쓴이 : 웃기는축구
조회 : 2,503  

당대 탑여배우들은 토속적인 에로영화를 많이 찍었던데,,

검색해보니, 정치적인 이유를 근거로 드는 이유도 있고

당시에는 야동이 없어서 준포.르노 개념으로 설명하는 분들도 있었는데,,

정확한 이유에 대해서 아시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지미페이지 15-09-02 08:41
   
전두환 정권에서 3S(Sports-Sex-Screen) 정책을 펼친 거 맞고요.
야간통행금지 없애면서 심야상영이 가능해졌고 그 첫번째 타자가 애마부인이었죠.
근데 이게 대박이 나면서 에로영화 붐이 생긴 겁니다.

시장 자체도 작고 검열도 존재하는 상황에서 적은 제작비로 만들 수 있는 영화가 에로영화 말고는 별로 없는 상황이었으니 정부에서 그런 걸 조장한 게 맞습니다.
그 쪽으로는 검열을 풀어줬으니까요.

검열이 있는 상황에서 제작자 입장에서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장르가 에로영화였기 때문에 그런 영화가 많이 쏟아진거죠.
가끔쓴다 15-09-02 08:43
   
애마부인
무릎과 무릎사이..
연필부인 흑심품었네..
..

명작들..
없습니다 15-09-02 08:56
   
당시 실제 돈이되는 사업은 미국영화 수입 상영이었고 미국영화를 수입하려면 몇편의 한국영화를 만들어야했습니다. 기왕 만들거 저렴하게 관객들이 일정수 이상 들어오는 장르가 애로영화였죠. 또 당시 비디오의 확산으로 집에서 보기도 편해졌으니까요. 거기다 70년대 엄격했던 유교주의적 검열이 크게 완화됐었고요.
서클포스 15-09-02 09:07
   
당대 한국 영화 기반 자체가 형편 없었습니다..

한마디로 다른 장르를 찍을 실력과 여건 자체가 안되었습니다..

돈 적게 들고 흥행 요소가 많은 장르 이게 주류 죠  그리고 그런 장르가 바로 에로 성인 장르고요...


다른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만들 기반이나 기술 영화 산업 전반적으로 낙후 되어 있었다고 보면 됩니다..

한국 영화가 다양한 장르로 발전하게 된 것은 아마

" 쉬리 "  이후 부터 인걸로 기억합니다.. 그 이전에는 대규모 자본을 들여서 영화 만들형편도 없었고

영화계 기반 자체도 형편 없었음...
     
모니터회원 15-09-03 01:26
   
에로영화밖에 찍을수 없을정도로 당시 영화계가 낙후되진 않았었습니다.
그 이전에 이미 멜로물이나 학원물, 액션물이 유행을 했었고요, 홍콩영화가 뜨기 전까지는 우리나라 액션물이 더 잘나갔었습니다. (그래서 성룡도 한국에서 액션배우로 액스트라를 했었구요.)

갑자기 애로물이 유행한건 정부정책이 가장 컷었죠. (프로야구도 그때시작, 올림픽 유치가 최정점)
또 최소자본으로 최대 이익을 얻는게 애로물고, 초기작은 예술성도 인정을 받아 해외에서 상도타곤 했으니까 유명 여배우들의 출연에 대한 거부감도 덜했죠.
자두사랑 15-09-02 09:30
   
스크린 쿼터제 때문이 가장큰 이유...
예산이 가장 적게 들어가는 장르가 에로...

스크린 쿼터 설명은 아래 링크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5721&cid=40942&categoryId=33091
Banff 15-09-02 10:05
   
80년초중반은 비디오플레이어가 귀하던 시절이라 극장용으로.

90년대 비디오플레이어가 대중화되면서 한시네마같은데서 극장용보다는 비디오용으로 흥행. 

2000년대중반이후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서양 일본 XXX급이 어둠의경로로 대중화되면서 한시네마류도 망함.
오라 15-09-02 12:22
   
기술력이 딸려서 그랬을껄요.

당시에 홍콩영화가 스크린을 싹쓸이 하던시기로 기억되는데
영상이나 사운드가 한국영화와는 차원이 달랐음.
사러름 15-09-02 12:32
   
표현의자유 수준이 낮아서 당연히 문화발전은 낮았죠.
그만큼 영화소재가 적을수밖에 없고 전두환정권 3S 정책도 주효했습니다.

김대중정부 들어서고 내건 슬로건이 IT와 접목된 '문화'였습니다.
표현의 자유도도 높았고요. 물론 문민정부의 시작인 김영삼 정권때부터 자유도가 높아지긴 했습니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는 그 방향으로 정책을 내놓고 지향했죠.
HHH3 15-09-03 00:10
   
그시기 어느나라나 마찬가지였습니다.
미국 일본 한국은 물론이고 그당시 잘나가던 홍콩 대만(?) 쪽 영화들도
다 그랬구요.
그당시 배우들중 동서양 막론하고 유명배우들이 애로배우 출신인 경우가 많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