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4-28 07:13
7급 공무원 vs 대기업
 글쓴이 : JJUN
조회 : 13,575  

두 직종 다 
27년간 근속기준입니다.

7급 공무원 27년 근속 후 본인 20년간 생존(75세 사망), 배우자 30년간 생존(85세 사망).
총 17억원 정도의 소득이 발생(1호봉~27호봉의 중간값이 월 234만원 정도임)
(234만*12개월*27년)+(연금 약 310만*12개월*20년)+(연금 약 186만*12개월*10년) 
*. 배우자의 경우는 남편이 사망한다해도 60%의 연금수령

총 17억2천5백만원의 소득

대기업 28살에 취업하여 27년간 근속 55세에 퇴직
27년간 평균 6,000만원정도의 연봉을 받았다치면
16억2천만원의 소득이 발생


*.공무원의 경우 사망기간에 비례하여 소득액이 천차만별로 바뀌겠지만

한국남성 평균수명 77세
한국여성 평균수명 84세

에 의거해서 남성 75세 여성 85세로 계산하였음.

즉, 7급 공무원 27년 > 대기업 27년(약 1억 차이)


여기서 생각해야 할 점.

1. 대기업에서 27년간 버티기 자체가 힘듬.
2. 대기업 들어가기가 7급 공무원 되는것보다 어려움.(시기를 놓치면 대기업은 쫑)
*. 물론 7급공무원 되기가 쉽다는 얘기는 아님.
3. 젊은 시절엔 대기업 들어가는게 삶의 풍족함을 더 누릴 수 있으나 노후가 보장이 안됨(본인이 정말 부지런히 모으지 않는 이상, 재테크를 잘하는 사람이라면 장점이 될수도)

결론 : 7급 공무원이 대기업 입사/근로에 비해 업무상으로도 편할뿐더러, 벌어들이는 소득액 역시 7급 공무원 승. 그리고 약간의 공무원 혜택 등등

왜 주변에서 죄다 공무원시험에 열을 쏟는지 알 수 있음.
*.공무원 연금 개혁이 어떻게 끝날지 모르겠으나 아직까진 공무원이 甲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ㅇㅇ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JJUN 15-04-28 07:26
   
대기업 퇴직금을 빼먹었네요.
퇴직금까지하면 대기업이 연봉에선 아주 조금 더 앞설듯 싶네요.
번개볼트 15-04-28 07:48
   
7급되는 사람 별로 없고 9급으로 잡아야죠...
대기업 연봉이 심하게 낮은듯...
9급이 13년 일하면 최소 7급이 되어 있을거고 실수령액은 수당포함 실수령 350넘어요..
     
JJUN 15-04-28 09:25
   
실수령 350요????? 다시 알아보고 오세요;;;;;

초과근무,기타수당 합쳐봐야 얼마 안됩니다.
평균 월 50정도 더 붙어요.....

초과근무/기타수당 합쳐서 월 350버는 7급공무원이 되려면 23-24호봉 되야 합니다 ㅡㅡ
근데 23,24호봉 공무원이 초과근무를 그리 열심히 하진 않을것같네요....?

결국 7급공무원 27년차 되도 350받을까 말까 합니다.(27년차 기본 월급이 314만원이고요)
몽실통통 15-04-28 08:01
   
대기업 연봉을 너무 낮게 책정했다. ;
이기야 15-04-28 08:06
   
대기업도 공무원처럼 호봉제에 정년 보장되는데 많습니다.. 오히려 준대기업이 복지나 정년이 더 좋은데 많더라고요.. 제가 알고 있는데만 몇군데 됩니다.. 물론 일도 편하고요.. 프리랜서다보니 여러 회사에서 일하면서 보고 느낀겁니다..
개고생 15-04-28 08:43
   
돈보단
저녁이 있는 삶이란 점에서... 압승
행복도 레벨이 다르덥디다.

근데 7급 합격이 대기업 들어가는거 보다 힘듬
     
JJUN 15-04-28 09:16
   
대기업의 경우는
공채로 들어갈시 연령제한때문에...(연령제한 원래는 없지만 실제로 뽑는 기준은 29-30세 미만)
넘기면 그냥 쫑났다고 봐야져......(석/박사 기준은 별도)

그에 비하면 7급 공무원은 20세만 넘으면 항시 열려있어서 ㅋ;
7급 공무원의 경우
최저 경쟁률이 31:1(공업-화공)
최고 경쟁률이 296:1(일반교육행정)

대기업 공채의 경우(작년기준)
하반기 공채 지원자가 10만명을 훌쩍 넘겼고
하반기 14,000여명 뽑았음.
거의 100:1 경쟁률

어디가 더 들어가기 힘드냐고 한다면
사실 둘다 어려움.
다만 대기업의 경우는 두세차례(2-3년) 떨어지면 끝이라고 봐야함.
          
개고생 15-04-28 09:47
   
응시기회로만 따지면 그렇지만
대기업 뚫은 사람들이 때려치고 7급 응시하는 경우가 많거니와
+사시 행시 축소로 그인원들이 7급으로 쏠리기도 해서...

허허....뭐가됐든 퍽퍽하구먼요
JJUN 15-04-28 08:58
   
흠....
대기업 일반 사원들 연봉이 그렇게 쎄지 않은데...
대리 달고도 보통 5000전후????
과장 달아야 6천전후인데...과장 달면 이미 40대 초중반

대기업 들어가면 연봉 8천~1억쯤 금방 될거라고 생각하시는분들이 생각보다 있으시네;;;;;
뭐 계열사별로 천양지차로 다르긴한데
평균으로 잡으면 평생 평균연봉이 6천 혹은 끽해야 6-7천 사이일텐데...
낮게 잡았다고들 하시네 -0-;;;;

현대같은 생산직이야 원체 급여가 쎈곳이니 논외로 하고 대체적으로 대기업들 연봉 그렇게 안쎔.
*. 대기업이 삼성전자,현대만 있는것이 아님;;;
비만 15-04-28 10:16
   
대기업 평균 6천이 말이 안되죠.
10년 정도면 8천이 넘는데. 그 이상으로 잘 안올라가긴 합니다만.
그리고 30대면 과장 달죠. 어지간히 늦게 입사하면 못 할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 대부분 석박사가 있어서 경력을 더 쳐 줍니다. 급여 시작점이 다르죠.

뭐 가끔 깐 기업이 있기는 하지만 유명 대기업은 그렇게 싸지 않아요.
비만 15-04-28 10:23
   
반대로 공무원은 급여가 다가 아닙니다.

공무원들은 자기들 급여가 짜다고 생각해서 이리저리 수당을 많이 받습니다. 하급이라고 부패 없는거 아니고 그냥 전원 다 해먹고 있어요. 불법 수령하는 수당만 한명당 몇십만원씩 있습니다.
옆에서 보기에 일하는만큼 월급이 적을 뿐인데 공무원들은 자기들이 받는게 적다고 생각해요. 동년배보다 적어 보이니까요. 연금은 자기가 낸 거 돌려받는거고 급여와 관계없다고 주장합니다. 연금적자는 정부가 돈 빼가서 그런거라고.

전국에 백만명의 공무원이 있는데 평균 10만원만 해먹어도 매달 천억의 세금이 손실되는겁니다. 연간 1조원이 넘죠.
0033 15-04-28 10:59
   
부모님 덕좀 볼 정도의 가정살림이 좋다면 공무원이 좋고,
결혼도 자기가 모아서 할 정도의 상황이면 대기업이 낫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