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7-09 21:38
IBM에서 세계 최초로 7nm 공정 칩을 개발했다는 군요
 글쓴이 : 번개머리
조회 : 2,155  

http://siliconangle.com/blog/2015/07/09/ibm-announces-7nm-chips-breakthrough-to-keep-moores-law-alive/

IBM announces 7nm chips breakthrough to keep Moore’s Law alive


IBM Research announced a major breakthrough on Thursday, saying it’s built the world’s first fully-functional 7 nanometer node test chips, in conjunction with partners GlobalFoundries In.,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d the SUNY Polytechnic Institute’s Colleges of Nanoscale Science and Engineering.

------  글로벌 파운드리사와 삼성전자 SUNY Polytechnic Institute’s Colleges등이 같이
          협력해서 개발했다는군요 
          여전히 IBM과 삼성은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는 모양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ㅇㅇ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griaso 15-07-09 21:41
   
IBM아직 죽지 않았죠. 현재까지도 미국내 특허 출원건수 1위입니다. 그리고 사실상 컴퓨터 하드웨어에 관해서 대부분이 IBM기술이죠. 90년대만해도 잡지책에 PC를 IBM호환계열이라는 말까지 흔하게 쓸정도로 대명사입니다.

비즈니스가 컨설팅쪽으로 빠지면서 IP회사로써 연구는 계속하나 봅니다.
그럴리가 15-07-09 21:42
   
그리아소/ 나도 아이비엠 안죽었네 라고 하려고 했는데 흐흐
     
griaso 15-07-09 21:43
   
ㅎㅎㅎㅎ
긴양말 15-07-09 21:43
   
무어 법칙 깨지고 황의 법칙 아님?
     
griaso 15-07-09 23:21
   
그건 좀... 우리나라 신문읽고 우리나라 무진장 잘나가나부다 생각하면 안됩니다. 이공계는 숫자로 이야기하는거죠. 어차피 우리나라 신문들은 전문가들은 하나도 없고 기사를 쓰기위해서 기사를 쓰는 사람들밖에 없습니다.
 
폄하하려는건 아닌데 외국에서는 황의법칙이란말 없습니다. 우리나라 기자들이 삼성 PR팀이준 기사와 함께 만들어낸거죠. 그리고 스케일이 무어의 법칙은 실리콘 업계의 집적도를 말한거고 황의 법칙은 삼성전자 내부의 메모리칩 관련 이야기죠. 황의 법칙이 된다면 엑시노스 칩 만들때도 들먹여야하는데 전혀 언급이 없죠 ㅎㅎ

무어의 법칙도 알다시피 물리법칙이 아니고 사실 고든무어가 자기가 만든게 아니라고 계속 말해왔습니다. 밑에 엔지니어가 준 데이터 놓고 그냥 한마디한게 외국 기래기들에 의해서 와전되서 퍼진거고 마케팅상 인텔이 냅두는거죠.
ForMuzik 15-07-09 21:46
   
글로벌 파운드리,IBM,삼성 셋이 커먼 플랫폼 연합이죠
그래서 삼성이 글로벌 파운드리에 기술 이전도 해웠죠
coooolgu 15-07-09 21:47
   
휴렉팩커드는 이제 프린트로 올인할 생각인듯
이케아 15-07-09 21:47
   
삼성이 IBM, 글파랑 커먼플랫폼으로 14나노도 같이해서 지금 엑시노스 찍어내고 있죠.
전쟁망치 15-07-09 21:51
   
글로벌 파운드리는 어느나라 소속이죠?

공장이 워낙에 여기저기 있던데

회장은 인도계고
     
번개머리 15-07-09 21:56
   
미국으로 알고 있습니다.
     
greaf 15-07-09 22:06
   
정확히는 UAE 아부다비 왕실 소유지요. 본사는 미국에 있긴 하지만. 원래 AMD에서 떼어내서 아랍 기름쟁이들에게 팔아먹은 회사라 지금 개발한 공정은 AMD CPU와 그래픽 카드 제조에 최우선 적으로 사용될 겁니다. CPU는 그렇다 쳐도 그래픽 카드가 기대되네요. TSMC에 의존하는 엔당은 지금쯤 벌벌 떨고 있을게고요.
          
darkbryan 15-07-09 22:20
   
그럼 7나노 AMD CPU 나오는건가요?
               
greaf 15-07-09 22:30
   
일단 14나노 미터 공정 x86 CPU 부터 내놓을 겁니다. 2016년으로 예정되어 있긴 한데 예정대로 진행될지는 좀더 지켜봐야겠지요. 그래픽 카드는 AMD도 아직까지 TSMC에 생산을 의존하고 있는데 14나노 공정 캐패시티 늘어나면 글로벌파운더리에서 직접 생산할 거고요. 기사에 나온 7나노는 실험실 입증 수준이므로 7나노 상용화 까진 적어도 3~4년은 기다려야 할것 같습니다.
               
griaso 15-07-09 23:12
   
greaf 님 말이 맞습니다. 현재 인텔조차 10나노 공정 2017년 장담을 못하고 있죠. 삼성도 2017년 후반에나 10나노 가능할거 같고 TSMC는 주주들때문에 2016년 허세부리는 정도입니다.  물론 2017년도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대세입니다.
          
전쟁망치 15-07-09 22:24
   
아 AMD

요즘 엔당한테 무진장 발리고 있는데 엔당이 또 TSMC 랑 꿍짝꿍짝 하고 있었군요

흠.  개인적으로 AMD 가 좀 힘을 내었으면...

어딜가나 독점은 안좋음

최소 2개 세력이 경쟁을 해야 항상 소비자는 득을 봄.

예전 AMD는 참 가성비는 좋았던거 같은데


요즘 CPU 도좀 불안하고 그래픽 카드도 좀 불안하고
               
greaf 15-07-09 22:36
   
안그래도 엔당이 삼성쪽으로 갈아타려고 이리저리 간보면서 찔러보고 있다지요 우선 테구라 생산부터 샘성쪽으로 갈아탄다 뭐래나 하더군요. 삼성은 자기네 엑시노스 만들기도 벅차 채산성 안나온다면서 툴툴거리는 중이고요. 삼성이 좀더 야심이 있으면 엔당 물량도 언젠가 맡아서 생산 하겠지요. TSMC는 최신공정 적용에 쥐약이어서, (공정 안정화 기술도 없는데다가 베짱장사로도 그동안 돈 많이 벌었으니 의지도 없고요) 1~2년새 AMD에게 최신공정 밀릴 예정인데요. 엔당 황 회장은 요즘 잠 편히자기 힘들다고 하더네요.
                    
griaso 15-07-09 22:57
   
그게 사실 엔비디아나 AMD(구 ATi)나 TSMC나 다 대만계 화교가 세운 회사입니다. 그래서 설계는 AMD/Nvidia가 하고 TSMC가 제조를 맏는 정형이 고착화되어있었지요. 그리고 다시 칩들을 대만계 그래픽카드 보드 회사들(asus,기가바이트, EVGA, MSI등)이 다시 사가서 조립해서 시장에 내놓죠.

그런 카르텔이 하루아침에 변하기는 쉽지않죠. 다만 그래픽 성능을 높이려고 해도 TSMC에 전적으로 의존하다보니 아키텍쳐 변경만으론 한계가 있어서 삼성에 입질이 오는 중입니다. 애플물량에 의존적이었던 삼성이 근래에 관계가 틀어지면서 리스크 관리차원으로 퀄컴과 엔비디아 등과도 몇년전부터 이야기 하고 있었습니다. 
어차피 삼성이 TSMC보다 6개월이상 앞서는 차이만 확실하게 나면 엔비디아가 됬든 AMD가 됬든 물량을 옮기게 되고 뒤쳐지면 죽기때문에 나머지 한개 회사도 결국 삼성에 손내밀게 되있죠.
 
엑시노스 만드는게 벅차기보단 물량 문제겠죠. 안정적으로 고급부품을 쓸어갈수있는 회사는 현재 애플밖에 없죠. 맥북프로를 위해 코어 i7을 대량으로 빨아들이니 갑중 갑이라는 인텔도 싼가격에 대량 공급할수밖에 없죠. 에일리언웨어 따위들 10개 납품하는것보다 애플하나가 나으니까요. 애플이 맘변할거 생각해서 리스크를 따지는 삼성은 쉽게 투자하는게 힘들고 또한 현금으로 선결재하는 애플칩 생산이 엑시노스 찍어내는거보단 리스크가 적으니까요.
     
ForMuzik 15-07-09 22:06
   
AMD의 자회사였으니 일단은 미국으로 보는게 맞겠죠
     
griaso 15-07-09 23:15
   
본사가 미국에 있으니 미국회사죠.
원래 IT업계 CEO들 인도계열 많아요. 그냥 현상유지용 월급 사장으로 생각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공장은 인텔도 중국에서 찍어냅니다. 이쪽업계는 메이드인 차이나든 USA든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저임금 노동력이 필요한것도 아니고 수작업으로 nm단위로 칩을 그릴수 있는게 아니라서요. 단지 공급망때문에 대륙별 공장이 있을뿐입니다.
가가맨 15-07-09 22:12
   
IBM의 관용이 아니엇으면...오너 마인드가 우리나라 재벌같앗으면 지금 유수의 IT 하드웨어 업체들은 끽해야 하청이나 하고 잇겟저...아니면 역풍맞고 완전 찢어발개젓거나..
     
비좀와라 15-07-09 22:30
   
IBM의 관용이 아니라 독점을 싫어하는 미국 법의 은혜를 받은 거겠지요.
griaso 15-07-09 23:05
   
아직 착각하는 분들도 있는데 글로벌 파운드리는 AMD자회사가 아닙니다. 과거 자회사였다가 AMD가 인텔한테 개기고 한방에 골로가버려서 돈되는거나 돈먹는거 다팔아치우자할때 분사시킨 회사입니다. AMD CPU물량만 (상대적) 소량생산만 하지 여기도 사실상 식물회사입니다. 돈많은 중동애들 과시욕으로 근근히 돌아가지만 돈먹는 하마라서 AMD자체적으로는 감당이 안되죠.

여러분이 생각하는 그래픽 칩(ATi 라데온)은 100% TSMC생산입니다. 그래서 TSMC 병목현상으로 Nvidia도 AMD도 서로를 잡아먹지 못하고 있죠. 지금 2강독점 체제를 만든게 사실상 TSMC때문입니다. 설계기술은 mature해서 더 나아갈꺼도 없습니다. 기껏해야 비싼 메모리늘려서 3-5%성능향상 밖에 없죠.  공정개선이 있어야만 20%정도 이상 성능향상을 기대할수있겠죠.
     
ForMuzik 15-07-09 23:22
   
절 보고 착각한다고 생각하신거 같은데
글로벌 파운드리가 독립한걸 알고 있으니 "자회사였으니" 라고 쓴겁니다
          
griaso 15-07-09 23:31
   
그런의미가 아니라 AMD의 관계때문에 GPU와 CPU를 같이 생산한다고 착각하는 분들을 의미하는겁니다. 그래서 '들'이란 말을 쓴겁니다.
스카이넷 15-07-09 23:19
   
결국엔 10나노도 돌파 하네요... 공정분야에선 인텔도 자만해선 안되겠습니다.
     
griaso 15-07-09 23:25
   
디테일로가면 아직은 인텔이 넘사벽입니다.

현재 14나노도 인텔은 FEOL BEOL둘다 완벽하게 14나노고
삼성은 부분 14나노
TSMC는 사실상 껍질만 16나노지 속안은 20나노입니다.

별거아닌차이 같지만 그 한끝차이가 수조원의 가치가 있고 넘사벽의 차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