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7-07 16:44
그리스 사태를보고 느낀게...
 글쓴이 : 하기기
조회 : 828  

국가 발전에 가장 큰 요소는 정치 정책의 백터, 즉 방향성이 첫번째고 
두번째가 국민성이란게 절실히 들어나네요...

이건뭐 유료화 되고 돈 많으면 보통 사회발전이 기본인데 복지부터 갈아 엎는나라는 진심 뭔생각인지 모르겠네요...

한국의 경우 돈으로 중화학을 건설했고 브라질의 경우 하층민의 복지가 아닌 교육 계혁부터 시작했으니 그리스를 보고 느낀게... 진심 정책의 방향성이 나라의 존패를 나눌수 있다고 느껴짐...

국민성이 왜 두번째냐면...

룰라가 살려논 브라질이 다시 망해가는거 보면 뭐... 정책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이건 국민성도 한몫 해보임

진심 한국은 두마리 토끼 다 잡은 국가인듯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dd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밥주세요 15-07-07 16:48
   
교육열은 한국의 오랫전통이죠 나는 안먹고 못입어도 자식은 교육시킨다
     
기억자 15-07-07 16:58
   
확실히 그게 나라발전에 큰도움이 되었죠 부모님께 감하함을 문제는  너무지나친 사교육이 아이를 xx로  ㄷㄷ
몽키헌터 15-07-07 16:58
   
고난과 희생으로 점철된...
부모님 세대가 위대해 보이는 이유죠...
JJUN 15-07-07 17:22
   
방향성이 최우선인게 맞죠.
그 방향성을 알맞게 가기 위해서는 당시의 상황을 잘 진단해야 하고 향후 미래까지 내다보는 안목이 필요한데
또한 이것을 정부에서 하기 위해서는 지도자의 리더쉽이 중요하고
그 리더쉽을 바탕으로 주변 주요 인사들 임명을 잘해야만 가능한 것이고
또한 지도자는 적당한 고집도 필요하지만 귀를 기울일줄 아는 덕목이 필요하며
지도자와 정치권 인사들의 역량에 따른 국민들의 통합이 필요한데

우리나라의 경우 60-70년대는 독재란 명목하에 리더쉽이 150%발휘되었고
반강제적으로 국민들 통합(?)시켰죠(인권유린이다 뭐다 아직까지 말들이 많고 분명 부정적인 요소도 있음을 부정할 순 없지만)
거기에 부지런한 국민성이 촉매제가 되어서 현재 대한민국이 된겁니다.

그에 반해 그 딸은 사실상 자기 아버지의 역량 50%.. 아니 20-30%도 안된다는게 시간이 갈수록 점점 나타나는것 같네요.뭐 시대가 시대인지라 과거처럼 할 수 없기 떄문인 점도 그렇지만 애초 역량 자체가..........(전 보수인데도 불구하고....)
암튼... 미래의 청사진과 실행할 수 있는 지도력 그리고 인재등용 등등이 제일 중요한건 사실입니다.
더 쓰면 정게로 가야할것같아서.....여기까지만....
꾸우엑 15-07-07 19:30
   
믄소리세요.. 브라질이 망하고 다시 일어설수 있었던게 바로 서민살리기 저소득층 지원 노동개선등의 복지정책이였어요  브라질이 망하고 imf  빛더미에 앉고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이 룰라 대통령인데요

정책의 대부분은 ‘서민 살리기’  저소득층에게 생계비를 지원하고 빈민들에게는 식량을 무상공급했습니다. 이같은 ‘빈곤퇴치 프로그램’으로 2900만명을 기아에서 구출하고 노동시장의 개선으로  중산층은 3000만명이상 늘어나죠

이런 다양한 복지정책과 함게 사회간접시설 투자가 이루어졌기에  빛더미와 기아의 나라에서 브라질 이 세계 8위 경제대국으로 성장할수 있었던거죠.

 복지는 버리는게 아니에요 재투자이지  경제라는것은 단순하게 말하면 국민들의 삶의 수준이죠

재벌 기업이 1000억원을 버는것보다  민간에 100억이 풀리는게 더 경제에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민간에 풀린 100억은 단순은 100억이 아니거든요 이게 돌고 돌면서 수백배의 부가가치를 창출합니다.
왜냐하면 민간에 풀린돈은 다시 소비의 형체로 돌기 때문이죠

물론 재벌기업이 1000억을 벌고 이것을 그대로 투자를 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지만
근데 투자하는경우가 거의 없거나 투자를 해도 외국에 투자하거나 또는  외국산 자동화설비등 실제적인 국내 경제
에 도움이 안되는 투자를 한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거죠 소비또한 명품등 외국산 제품만을 대부분 구입하므로 국내 경제에 별 도움이 안됩니다.

일명 낙수효과 라는게 선진국에서 아무런 효과가 없는게 바로 이런이유죠... 돈은 벌지만 정작 국내 경제에는 별 도움이 안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