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7-04 15:24
선진국이되면 경제성장률이 낮아져야 하나요?
 글쓴이 : 돌아온드론
조회 : 645  

편견인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ㅎㅎ

온 국민이 창의적이고 열심히 일하고 자원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면. 선진국도 10%씩 성장할것 같습니다. 

오히려 리제 이정도면 됬다라는 안주함때문에. 선진국일수록 경제성장율이 떨어지는거 아닐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우리는 삶에 마땅히 의미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삶에는 우리가 부여하는 만큼의 의미만 있을 뿐이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ultrakiki 15-07-04 15:25
   
10% 요 ????
로마전쟁 15-07-04 15:27
   
이미 많이 성장한 단계에 있으면 고성장이 힘든건 어쩔수 없죠.

이미 날씬한 사람이 10키로 빼는건 엄청 힘들어도 고도비만이 10키로 빼는건 어렵지 않듯이

아주 가난한 나라가 10프로 성장하는건 쉬워요 근데 이미 이룩한거 많고 고도로 발전된 상태에서 10프로 성장하는건 너무너무 힘들죠

그러니 선진국이 5%만 성장해도 고성장을 이루었다고 말하는거죠. 아마 선진국에서 10%성장하는건 정말 정말 힘들겁니다.

10%씩 매년 성장하면 물가를 포함해서 많은것이 요동칩니다.
펭귄스마일 15-07-04 15:30
   
그런거로 안주하는국가는 부패한국가죠.. 국가나 국민모두의 이익이나 행복보다는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고 나라가어떻게되든 뇌물받을생각만하는.. 그리스가 대표적이구요.
인구가 한계가있기때문에 어느나라든 정점에 가면 성장이 정체되긴하죠. 그래서 신흥시장에 진출하려고 난리들인거고, 문제는 내수가 탄탄하게 바쳐주던가, 미국처럼 중심시장이 되야하는데 그러지 못하면 거의 정체되죠. 일본처럼.  일본문제는 저임금에 있다고봄니다. 아베노믹스로 환율은 떨구는데 임금인상은 미비해서 서민은 죽어나고 일부 수출기업만 호황인~ 이게 장기적으로 유지하면서 수출기업이벌어들인돈이 국민한테 잘 배분되면 이상적인데 돈푸는데도 한계가있어서 어찌될지..
진실게임 15-07-04 15:34
   
성장률과 성장규모는 다르죠.

거인의 1% 성장과 난장이의 100% 성장은 거인 쪽이 압도적으로 더 많이 성장한 것일 수도 있죠.

비율은 본래 크기에 비해서 얘기하는 거라서 같은 성장률이라고 해도

본래 작은 규모가 1% 성장하는 것과 큰 규모가 1% 성장하는 것은 실제로는 엄청나게 다른 크기일 수가 있습니다.
     
돌아온드론 15-07-04 15:36
   
경제규모가 커지면. 성장률이 늦어져야만하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듭니다.ㅎㅎ
          
비좀와라 15-07-04 15:48
   
자원이 한계가 있어서 그렇니다.  성장률이란 많이 짓고 만들어야 높아지죠 자원이 무한정이라면 규모가 크다고 성장률이 작아지진 않겠지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많은 자원을 투입해야 하니 경제규모가 커지면 경제성장률이 작아지는 겁니다.
핼신사랑 15-07-04 15:38
   
이건 인과관계가 바뀐 것 같은데요..
성장률이 감소되면 선진국이 되는게 아니라
경제적으로 선진국이되면 성장률이 떨어지는게 일반적인 추세이긴 합니다..
다만 예외적인 상황이 나올 가능성은 있죠
     
돌아온드론 15-07-04 15:41
   
왜 그런걸까요?
          
천장무류 15-07-04 15:46
   
시장 확보가 더이상 힘듬
비유하자면 육상 100M 9초대 기록에서 0.1초 단축하는게 힘든것처럼 말이죠
이정도까지 되면 기업들이 몸을 가볍게하기 위해
인원감축,첨단설비투자,저임금 나라로 공장이전
첨단 기술개발등등으로 자구노력을 하는거고
여기서 도태되면 나락으로 떨어지는거죠

그리고
기술발전도
하위에서 중,상위까지는 급속도로 따라가는게 가능한데
최상위를 뚫기 힘듬니다.
그러니 중,상위 나라들만 박터지게 싸우게 되는거죠
          
핼신사랑 15-07-04 15:50
   
예외적인 상황은 아무래도 채굴가치가 있는 대규모 지하자원이 발견되거나하면
성장률이 오를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경제에 문외환인 제 예상일 뿐이지만;
아니면 화학연료를 대체할 효율높은 연료를 독자 개발하거나 하면?
탱크 15-07-04 16:58
   
외계인이 가르쳐줬어요 수준의 압도적 기술우위를 바탕으로 교역시장을 뭉개버리거나
태권브이 만들어 초패권국으로 군림하며 제국주의식 약탈 독점 강매를 자행하거나
철혈 독재로 터무니없는 저임금 저지대 유지해서 중진국급 가격경쟁력 유지하거나

뭐 방법이야 많이 있죠. 하나같이 현실적이지가 않아서 그렇지.
Modernconsensus 15-07-04 17:12
   
잘못된 인과의 오류와 변동률과 양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네요
선진국이 되니 경제성장률이 떨어진것임.

그런데 경제성장률이 떨어졌다고 해서 경제 성장을 이전보다 못하느냐?

아니요 그 이전보다 양적인 면에서는 더 큰 경제성장을 하는 중입니다.
단적으로 우리나라가 한해 3% 언저리에 현재 성장하고 있어서  8~9% 우습게 찍던 70 80년대보다 못한거 같지만 한 해의 경제성장의 양적인 면은 지금이 더 크죠.

우리가 일본보다 경제성장률이 몇 배 높다고 일본보다 더 크게 성장하느냐? 아니죠. 일본이 우리 경제 규모의 약 4배정도이니 우리 성장률이 일본보다 4배는 높아야 양적으로 더 크게 성장하는 겁니다.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는 것은 한계기술/생산 체감의 법칙이 대부분의 기술수준에서 적용되고 있기 때문.
기술수준에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은 소득증가는 필연적으로 경제성장률 저하로 이어짐.
그렇다고 그 전보다 덜 성장하는 것은 아님. 비율만 떨어질 뿐이고 양적으로는 대부분이 더 성장함.
정닭밝 15-07-04 19:12
   
10퍼센트는 좀 안될듯요 선진국에 10퍼센트대 성장률올려면 거의 산업혁명같은 역사적 기술발전이 있으면
모를까.. 지금 100대기업중 미국기업이 최다수로많고 왠만한 과학분야도 미국을 기준으로놓고
그 밑에 포진해있는데,, 거의 생산의 완전기계화정도되면 10프로정도 가능도하겠죠
라이벌없는 단 한국가만 기계화된다면 인건비에 많이 기대는 제조업이 죄다 몰려가고 뭐 이런저런
역사적 기술발전 오지않는이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