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8-08-08 23:37
우리의 기억은 어디에 저장될까요?
 글쓴이 : 에1리언
조회 : 406  

우리의 뇌는 갑작스런 사고나 혈관에 문제가 생기면 고장 납니다.

그러면 표면적으로 표가 나죠.

그런데 뇌수종 걸린 분들이 간혹 뇌가 모두 물에 잠겨도 정상적인 작동을 한다는 이야기 들어 봤을 겁니다.

95%까지 뇌가 사라져도 모든 판단력과 기억이 살아 있다는 거죠.

의사로부터 뇌가 없다는 판정을 받은 사람이 수학 교수를 하기도 한다더군요.

일부 의사들이 서서히 뇌가 기능을 잃어 가면 그 기능들을 우리의 장기에서 분할해 그 역할을 해서 뇌가 없어도 정상적으로 생활이 가능한 것이라고 추정은 하고 있지만

간혹 그 생각이 날 때마다 섬찟하기도 합니다.

우리의 의식과 기억은 도대체 어디에 보관되는 걸까요?

6조 개의 세포들이 나누어 보관하는 걸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잘 부탁드립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코리아헌터 18-08-08 23:44
   
뇌는 메모리이고 저장공간은 심장,허파 같은 내부장기가 드라이브가 되기도 합니다.
     
에1리언 18-08-08 23:46
   
프로세서는...
ㅣㅏㅏ 18-08-08 23:46
   
심장이식후 없던 기억이 생기는 사례가 있어서 영화 드라마 소재가 되기도 하죠.
러키가이 18-08-08 23:59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7&wr_id=3245722&sca=&sfl=wr_name%2C1&stx=%EB%9F%AC%ED%82%A4%EA%B0%80%EC%9D%B4&sop=and

우리의 기억은 뇌속의 관같은곳에 있는데 이게

신체가 심장이 정지한다든지 신체가 급격히 죽어갈때 활성화된다고함

(러키쇼타임) 영상 참고요 -0-
러키가이 18-08-08 23:59
   
영상 본문 내용  중 일부 발췌

===========================================================
놀랍게도 '혼은 우주와 연결된 양자 컴퓨터'라는 것이다.

뇌세포 속에는 마이크로 튜브라는 관형태의 구조가 있다. ....... 이하 생략 .......
===========================================================
     
에1리언 18-08-09 00:08
   
저도 양자학에 관심이 많은데
이게 너무 철학적이어서 아무 곳이나 마구 가져다 붙여서 이론이 된다는 겁니다.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균형이론 18-08-09 01:20
   
기억의 흔적을, Engram이라고 합니다. 이런 Engram이 어디에 저장되는지는 신경생리학자들의 아주 오래된 연구주제였습니다. 그런데, 쥐에게 특정 기억을 호출하도록 유도하고, 뇌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뇌의 너무나 많고 넓은 부위가 활성화되는 것을 보고는 학자들이 특정 기억은 특정 뇌부위에 저장될거라는 가설을 버렸습니다.

지금까지 여러가지 많은 학설들이 있어왔지만, Hebb의 이론이 가장 타당성있게 거론됩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기억은 어떤 특정 세포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세포들 간의 네트워크의 형태로 저장된 다는 것 입니다. 즉 하나의 기억은 세포들 간의 네트워크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동그라미"등과 같은 특정 형태의 기억이 우리 뇌에 저장되는 것은 수십개 혹은 수백개 신경세포들간의 네트워크입니다. 즉 우리 뇌에 그런 네트워크가 있으면, 우리가 눈으로 동그라미를 보는 순간 바로 그 동그라미에 해당되는 뇌세포간의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서, 동그라미라는 것을 인식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우리 뇌세포가 어마어마하게 많고 따라서 그들간의 만들 수 있는 네트워크는 거의 무한대입니다.
균형이론 18-08-09 01:24
   
따라서 실제로 어릴 때 뇌부위가 많이 손상되어 있더라도, 거기에 적응해서 남아있는 부위의 뇌세포들 간의 네트워크가 더 많이 생성된다면, 정상적 생활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즉 뇌의 신비인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