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6-27 14:23
우리말이 어려운점이 있긴 좀 있네요.
 글쓴이 : 부르르룽
조회 : 866  


백종원 요리 따라 해볼려고 검색하다보니 쌀뜬물에 된장 푸는게 나왔는데
누가 tv자막이 잘못된거라는 댓글보고 검색을 해보니

쌀뜬물이 아니라 쌀뜨물이 맞는 말이었네요.  
좀놀랐습니다. 이때까지 쌀뜬물로 썼는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긴양말 15-06-27 14:28
   
하지만 "쌀든물"을  보다 많이 사요하면..그걸 표준어로 할겠죠..조만간..
괴개 15-06-27 14:28
   
쌀뜬+물 이 아니고 쌀+뜨물 이라서 그래요
http://krdic.naver.com/small_detail.nhn?docid=11345200
쌀뜬물이 되면 단어자체의 의미가 달라지기때문에 표준어 변화는 없을듯하네요
     
산마노 15-06-27 14:39
   
아 그렇군요.
덕분에 하나 배워갑니다~
앞으로 쌀뜨물 헷갈릴 일은 없을 거 같아요.
서클포스 15-06-27 14:29
   
표준어는 시대에 따라 바뀌죠.. 즉 많이 쓰는 걸로 표준어가 바뀝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  자장면  이 표준어 였는데.. 짜장면을 많이 쓰니까  짜장면 도 표준어가 되었죠...
오순이 15-06-27 14:30
   
대부분의  국민이 쌀뜬물로 발음하죠..
쌀뜨물이라고 말을 하는 경우는 못 보았는데..
실생활 언어와 괴리가 같은게 있네요.
저도 처음 들었네요.
COOGI 15-06-27 14:32
   
그냥 많이 쓰면 그게 표준어가 되는거죠.... 예로 들면 남들 다 짜장면이라고 쓰는데, 표준어를 자장면으로 지정했다가 나중에 짜장면으로 바뀐것처럼요..
산마노 15-06-27 14:41
   
글쵸. 헷갈리는게 좀 있어요.
그 중에 하나가 '댓가'
댓가가 아니라 대가가 표준어거든요.
근데 미드자막이나 댓글보면 정말 많이들 '댓가'라고 쓰더라구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면 그게 표준어가 되긴 하지만 그 전까지는 지키려고 노력은 해야하는거 같아요.
     
괴개 15-06-27 14:49
   
이건 저도 잘 모르겠던데
댓가의 바른말 대가의 발음이 대까입니다
큰집을 말하는 대가의 발음은 대가 구요
아무래도 발음의 차이가 댓가라는 단어로 나타난게 아닐까 싶네요
후아앙 15-06-27 14:42
   
말장난이 다소 있죠..  고딩때 국어 샘이 나도 국어선생이지만. 왜이리 꼬아놓는지 모르겠다고 그러더라구요.
그럴리가 15-06-27 14:50
   
대가 라는 말이 표준어가 맞긴 한데, 대가처럼 발음이 다른 게 많아요.

대가를 바래 라고 안하고 댓가를 바래 라고 하죠.. 표준말이라는게 좀 나쁘게 말해서 탁상공론처럼
학자들이 자기 입맛에 맞게 정한거라....
오른쪽위 15-06-27 15:29
   
언어는 변화게 되있어요. 사람들이 많이 쓰는쪽으로 바뀔수도 있고요.
의사소통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한글은 쉬운데 한국어는 어렵죠.
sky하늘 15-06-27 15:33
   
진짜 한글 철자는 멋진데 한국어는 무지 어려움.
한글이 표음문자인데 소리나는대로 안적어서 외국인에겐 진짜 넘사벽일듯.
예를 들어, 차카게살자-착하게살자.  그리고 이중자음. 닥으로 읽지만 닭으로 표기하는거.
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표음문자임에도 소리나는대로 안적게 했을까 궁금...문법을 위해서인가...
데이빗 15-06-27 16:03
   
신기하네요;;
저는 쌀뜬물 많이 못 들어본거 같은데 다른 분들 많이 쓰나 보네요.
잘되겠지 15-06-28 01:39
   
쌀뜨물로 계속 써왔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