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3-31 05:19
아놔 비정상회담..짱위안...
 글쓴이 : 그린박스티
조회 : 3,811  

최근에 중국 후난성의 57층 빌딩이 19일안에 건설해서 이슈가 된적 있잖아요.
 
그거 내용이 나왔는데 짱위안 자부심이 대단하네요.ㅋ 다른 패널들이 다들 위험 하다고 하는데..
 
짱위안은 끝까지 안전하다고 ㅇㅈㅇ ㅎㅎ 말한다는...
 
국내 전문가들도 지반 안정화 단계를 무시하고 건설하는건 위험하다고 하는데...
 
그거 건설한 사람들도 전문가라고 안전하다고 말하다니.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옵하거기헉 15-03-31 05:31
   
.
.
.
짱깨들이 왜 답이없는지는 장위안보면 알수있죠
애견사랑 15-03-31 05:52
   
이런 논리는 현대차의 급발진이 언제 터질지 모르고 타고 다니는 것과 같은건데.
     
sba7336 15-03-31 06:46
   
현대차에 급발진 문제가 있다면...
미국부터 해서 전세계에서 고소당하고 피해보상 하느라 이미 문닫았을 겁니다...

현대차 자동변속기의 구조가 어떤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이해를 좀 하고 나서 이런 말을 ...
          
중용이형 15-03-31 06:54
   
근데 급발진은 비단 현대차만의 문제는 아니지 않나요? 급발진 사고라는게 아주 흔한 것은 아니지만 원인을 모르는건지 업계에서 비밀로 하는 것인지는 몰라도 보상은 이루어지기도 하는 것 같은데 보통은 결함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의적으로 책임진다는 식으로 보상이 이루어졌던 것이 아닌가 싶거든요.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도 변속시스템의 결함은 없다. 차가 왜 저러는지 모르겠다. 기업에선 다 그런식으로 얘기하지 않았나 싶어요. 급발진 사례나 영상을 한 두개 본것도 아니고...사례는 얼마든지 있으니 원인은 모르지만 이미 일어나는 사고이며 현상이죠.

작동원리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한거죠.
               
sba7336 15-03-31 07:29
   
급발진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부와 소비자단체들이 조사를 해서 그 결과를 가지고 판단을 해야지... 나는 귀신을 봤다 그렇기 때문에 귀신이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는...

도요타 급발진 사고들에 대한 조사와 재판의 경우를 보면 (조사와 재판에 6년 걸림)..

- 급발진으로 피해를 본 소비자측은 도요타 자동변속기와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

- 조사결과: 밝혀진 원인
    - 옵션으로 판매된 운전석 바닥매트가 고정되지 않아 액설레이터가 끝까지 눌러졌을때, 메트와 낑겨서 액설레이터가 원위치 되지 않고 쓰로틀 밸브를 최대로 열어 급가속하며 제어불능 상태와 브레이크가 소용 없는 상태가 된다 (샌디에고 전직경찰 가족 4명 사망 사고) / 도요타가 원인을 계속 숨김
    - 엑설레이터가 기계적으로 뻑뻑하고 완전히 밟히고 난뒤 원위치 시키는 메카니즘이 불량하여 급가속 현상을 발생시킨다 / 도요타가 원인을 계속 숨김
    - 스로틀 벨브를 조절하는 와이어 구동부가 뻑뻑하고 끈적끈적해서 액설레이터는 밟았다가 발을 떼면 원위치로 돌아오지만, 스로틀벨드 제어 와이어는 끈적이고 뻑뻑한 구동부에서 멈춰 스로틀밸브가 열린채로 급가속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 도요타가 계속 감춤

    : 도요타는 1조2천억원의 벌금을 내기로 합의 함 (많은 사람들이 수십만에서 억대 받음)
    : 재판 판결문에 도요타에 과실이 있다는 문구가 삽입되지 않음
    :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 도요타의 급발진사고에 대한 수사를 더 이상하지 않고 종결하기로 도요타와 합의
    : 문제가 된 차량의 모델을 전부 리콜하고 override brake로 교체 - 3조원 이상 들어갈 예정

*) override brake : 브레이크와 악셀레이터가 동시에 밟히는 순간, 엔진제어기가 스로틀벨브를 닫으면서 브레이크 성능을 높혀주는 기능. 또한 브레이크가 밟혔는데도 불구하고 스로틀벨브가 너무 많이 열려있어 제동에 문제가 되는 경우, 엔진제어기가 스스로 스로틀 벨브를 닿아 브레이크 성능을 높혀주는 기능.


단순하게 근거없이 몰아 붙이기 보다는 조사를 해야... 현대차에 급발진 문제가가 있다면, 현대차 타는 사람이 이 나라에 수천만명인데, 집단소송 일인당 1만씩만 내고 해도 해결될 문제임.. 물론 급발진 문제가 있다면, 투자한 돈의 몇배는 더 돌아올 것이고 생명 잃을 큰 요인이 하나 제거되는 것임..
                    
Gemini 15-03-31 09:14
   
그건 급발진이라기보단 그냥 결함이겠네요.
급발진이라고 하는건 알피엠이 올라가는게 엑셀 조작여부와 관계없이 스로틀이 열리는걸 이르는말임.
실제 한국에 어떤분이 원인을 밝혀냈습니다.
다만 그게 시뮬레이터가 아닌 일반 자동차에서 주행중에 일어 났다는것을 증명해야 된다고 해서 인정은 못받았죠.
말씀하신건 사람들이 급발진으로 어떻게 고소를 했지만 시트가 악셀페달의 복귀현상을 막았던 것으로 무마했다고 생각됩니다만 미션부분은 주장을해도 결함이지 급발진과는 상관이 없음.
미션은 엔진 알피엠을 강제로 올릴 메커니즘이 없어요.
단 제한은 할수있음.
각 단수마다 알피엠이 제한되거든요 ECU를 통해서.
엔진브레이크 라는게 주행중에 그 알피엠이 제한되는 기능을 이용한 브레이크죠.
          
SRK1059 15-03-31 06:58
   
급발진의 문제는
변속기의 기구적인 문제가 아니라
변속기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러 칩의 문제.
수동변속기에서는 급발진 문제가 없음.
자동변속기에서만 발생하는 문제.
               
sba7336 15-03-31 07:36
   
미국 정부가 도요타에게 급발진 현상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된 차량의 엔진제어 / 변속기제어 칩에 들어간 프로그램 소스를 제출하라고 했었는데, 도요타가 기업비밀이라며 계속 거부하다가 결국에는 제출했음..
미국의 난다 긴다 연구소들이 참여해서 도요타 제어칩 프로그램과 제어칩에 대한 강도 높은 조사 결과, 문제가 없다는 것으로 판명됨...
               
Gemini 15-03-31 09:06
   
흔하게 생각하는 급발진은 변속기와 관련 없습니다.
수동변속기 차량도 급발진 해요.
다만 클러치를 밟으면 동력전달이 안되기 때문에 사고로 이이지지 않을뿐.
애초에 급발진 상태가 스로틀밸브가 엑셀조작여부와 관계없이 풀로 열려서 알피엠이 올라가는 현상인데 미션과는 무관하죠.
                    
야옹왕자 15-03-31 09:50
   
스로틀바디의 벨브가 열려서 그렇다구요? 미션과 상관없다구요? 미션의 원리를 아시고 하시는 말씀이신지요? http://auto.howstuffworks.com/transmission2.htm
                         
Gemini 15-03-31 10:16
   
아니 알피엠이 올라가는데 미션하고 무슨 관계가 있다는 말씀이신지 ;;
미션은 알피엠을 올릴수가 없어요.
현재의 단수에서 최대알피엠을 제한하는게 미션이 엔진에 개입하는 유일한 거임.
그것도 엄밀히 따지면 ECU가 제한하는거죠.
급발진 영상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알피엠이 미친듯이 올라가요.
미션은 약간 비약해서 큰틀로 보면 엑츄에이터 입니다.
능동적으로 동력을 생산하지 못해요.
기어가 물려 있다면 그저 엔진이 돌아가는만큼 돌아가는 것입니다.
알피엠이 치솟는것과 미션은 관계가 없음.
     
Gemini 15-03-31 09:17
   
에어백 이야기 하시는거 아님?
급발진은 현대만 하는게 아닌데...
     
굿잡스 15-03-31 10:29
   
뭐 하면 기 승 전 현대차군요 ㅋㅋ.

해마다 불량율로 세계최대 리콜 사태를 겪는 전범기업 잽차들은 뭔지?

(폭스바겐등도 자국 독일에선 열심히 까이더만)
griaso 15-03-31 06:03
   
공기를 맞추느냐가 중요하지
건물 빨리짓는걸로 자랑하면 오히려 날림으로 지었다고 자랑하는꼴이되죠.^^ 뭐 짝퉁도 자랑스럽다고하는 나라니까.
중용이형 15-03-31 07:07
   
제가 건축에는 아는바가 전혀 없어서 장위안 얘기 들으면서 긴가민가 하긴 했어요. 그동안 접해왔던 중국 소식중에는 부실공사로 무너지거나 그럴 위험을 노출한 건축물 얘기를 들어왔던 터라서...

하나의 기네스는 될 수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저 근처는 가고 싶지가 않네요.
똥파리 15-03-31 07:12
   
국수주의자
베토맨 15-03-31 07:35
   
저런 건물 근처엔 가고 싶지도 않네요.

빨리 짓는 것보단 좀 느리더라도 튼튼하고 안전하게 짖는게 최고입니다.
전쟁망치 15-03-31 07:48
   
어쩔수 없나봄 짱위안도 공교육으로 투철한 중화사상 이 머리에 박혀 있기 때문에...
발샤 15-03-31 07:51
   
중국인이자나요
우주의신비 15-03-31 08:11
   
남의 의견도 수긍할줄 알아야 할텐데..
초콜릿건빵 15-03-31 08:29
   
나도 현대는 불신하지만
누가 미국에서 급발진 아직 없었다고 하면 할 말이 없네.
북창 15-03-31 08:37
   
컨테이너를 높게 쌓는것과 같은거라...10층 이하 저층 빌딩엔    괜찮을 거도 같더군요.
     
리들리 15-03-31 09:15
   
건설 영상 보면 컨테이너를 쌓는 형식이 아니라, 블럭을 끼우는 형식이 더 맞다고 보여지네요.

컨테이너 같은건 없었고요.
건물 철골 뼈대도 미리 제작된 형태로 조각조각 나눠져서 갖다가 끼워넣고, 벽면과 바닥 부분 판을 끼워 맞추는 형식입니다.
알사탕 15-03-31 08:38
   
장위안은 기사 들고오면서 기대했던 반응이 안나와서 당황했는지 발음은 더 꼬이고 두바이를 두비라고 헛소릴 하고.......
타일러가 말한거에 완전 동의되고 공감이 갔어요.. 빨리든 느리게 짓든간에 사후관리가 젤 중요하다는 말...
박똘똘 15-03-31 08:40
   
우리도 제2롯데월드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판국에 남얘기 할때가 아닌거 같네요.
리들리 15-03-31 09:12
   
제가 볼때 문제없는것 같아보이는데요. 사실 여부는 모르겠지만.

19일이라는 것도 실제 공사가 진행됐던 기간만 치면 12인가 라고 하는것 같고, 이 기간을 산정한것은 순전히 건물을 올리는 기간만 포함한걸로 압니다.
건축과정을 담은 영상 보면 이미 지반을 다진 공사는 완료되어 있었고 1층 만들고 올라가는 영상부터 시작합니다.
콘크리트 구조물도 사전에 제작된게 정교하게 제작되어 있고 끼우면 그냥 설치가 되는 형식이네요.
건설사가 밝힌대로 진도 9 지진도 문제가 없는게 맞다면, 웬만한 곳에서는 이런 공법을 사용해서 빠르게 건축이 가능하게 됩니다. 일본처럼 지진이 문제인곳에서도 별 무리가 없다는 거죠.

뭐 사실이야 시간 지나며 알게 될테고요.

건축과정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veNf-bz99cI
hawnow 15-03-31 10:14
   
우리가 중국 건축물에 의심을 하는 것도 일본 애들이 한국 못 믿는 것과 같은 논리죠.
간간히 부실한 중국 건축물이 뉴스에 오르지만 우리나라도 마찬가지구요.
저런 시공을 준비한 회사라면 매우 많은 준비를 했을 겁니다. 안정성에 대해서도 당연히 고려했을테고요.
뿡뿡이 15-03-31 10:17
   
듣는 우리는 불안하지만, 저 건축공법자체가 빨리 지을 수 있는 공법이라고 합니다.

이제 집짓는 거 어렵지 않아요~

그래도 뭐니 뭐니해도 안전이죠.
     
처용 15-03-31 11:04
   
그쪽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아무리 빠른 공법이라도 시멘트가 마를 시간이나 될련지 ㅎㅎ
굿잡스 15-03-31 10:31
   
이런건 몇년 지나고 보면 답나오는.
키라뉨 15-03-31 11:42
   
저는 장위안에 그얘기후에 나온 얘기가 더 관심이 가더라구요~

저렇게 시공안하면 중국사람들 다 밖에서 지내야 된다~

무리하게 도시화 추진해서 살고있는 사람들이 쫒겨나는 형태인데 ㅡ_ㅡ;;

뭘 말하고 싶은건지 알수 없네요~
붉은밤 15-03-31 12:19
   
무너져야 말이 달라져요 ㅋㅋㅋ
di0o0ib 15-03-31 13:41
   
현장에서 만들면서 올리는 게 아니고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서 현장에서 조립하는 거니까 안전관리만 재대로 하면 별 문제 없을 것 같은데...
오히려 공장에서 만드는 게 더 재대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현장으로 보내기 전에 더 철저하게 검수할 수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