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3-29 08:44
인텔 외계인설..
 글쓴이 : 꿀꾸라
조회 : 4,250  

1aa.png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sun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까망베르 15-03-29 08:53
   
헐! 이러면 HDD는 곧 사라지려나요!
경제대국 15-03-29 09:09
   
뭐든 양산이 최고임요..양산할 집진시설있는 대규모 공장도없고 시연도없는 발표는 뻥카일확률이...
COOGI 15-03-29 09:13
   
반도체 집적단계나 공정이나 삼성이 앞도적으로 우위에 있는데 저거 싸움 붙으면 인텔이 이길수가 없죠..
     
끄으랏차 15-03-29 10:56
   
삼성이 압도적 우위?????
          
자바커피 15-03-29 12:01
   
메모리 반도체 공정과 비메모리 반도체 공정은 다릅니다.

인텔이 기술을 개발했어도 양산은 마이크론 끼고 하는 이유입니다.
     
aeon 15-03-29 11:10
   
그럴리가요...
     
헤밍 15-03-29 12:23
   
삼성이 압도적 우위라는건 뭘 얘기하나요??
인텔 알기를 너무 띄엄띄엄 아시는듯 싶습니다.
전쟁망치 15-03-29 09:34
   
문제는 가격이죠

최신기술을 얼마나 적당한 가격에 팔수 있는지가 관건이죠.


예를 들어 그래픽 카드로 치면
GTX970 처럼 그정도 가성비가 나온다면야 대박이 날수 있지만요.

하지만 문제는 역시나 SSD를 사용하는 가장 궁극적인 이유는 속도인데

그냥 단순히 용량만 커진거라면 별로 메리트는 없어 보입니다.

메모리 버스라도 엄청나게 커진다면 모를까요.

지금 사용하는 DDR3 메모리 보면 메모리 버스 클럭이 높아 질수록 가격이 엄청나게 올라가죠.

그걸 잡아야되요  용량도 크고, 읽기, 쓰기 속도도 빠르면서 기존 메모리보다 메모리 버스도 엄청나게 커진데 반해서

만약 가격까지 착하다면 충분히 1위가 될수 있죠

즉 한문장으로 요약하면  가성비가 중요합니다
     
천상 15-03-29 10:55
   
속도도 중요하지만,
기존 하드의 모터등이 빠지면 유지하는데 에너지도 적게 들어가고 발열도 적습니다.

이 열을 잡으면 약간 느려도 얻는 이득은 많을 듯 합니다.
cordial 15-03-29 09:41
   
2.5인치에 10테라라면..
가격만 적당하면 HDD의 시대가 저물지도
메카닉 15-03-29 10:11
   
대단하네요...10tb ssd라니...hdd업체들은 다 나가 죽으라는 소리네..

뛰는 삼성 위에, 날라다니는 인텔이 있었구나...ㅡㅡ

인텔은 외계인을 고문하는게 아니라, 그 자신이 외계인이 아닐까???
     
꿀꾸라 15-03-29 10:24
   
인텔 무서움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무숨부라 15-03-29 10:34
   
마이크론이 삼성에 당해낼 수 없을 겁니다.
귓싸대기 15-03-29 10:35
   
TLC 라... 흠...

제가 막연하게 TLC 에 거부감이 있어서... ;;;;;
전광석화 15-03-29 10:50
   
과연 삼성 vs 인텔 누가 더 기술이 뛰어난지 비교 한 번 해볼까요?

삼성의 최고 집적도 128Gb 32-layer 3D V-Nand IC의 다이 사이즈 = 65mm^2
인텔의 최고 집적도 384Gb 48-layer 3D V-Nand IC의 다이 사이즈 = 175mm^2

< 따라서 1개 layer 기준 다이 면적당 집적도 : 삼성 판정승 : 삼성이 35% 더 높음 >
삼성 = 128Gb / 32 / 65 = 62Mbits/mm^2
인텔 = 384Gb / 48 / 175  = 46Mbits/mm^2

< Layer 비교 >
48 : 32 즉  인텔 판정승 : 인텔이 50%가 더 많음.

< 다이면적 + Layer 동시에 고려할 때, 비트수 비교 ... 즉 종합적으로 비교 >
인텔 판정승 : 인텔이 18% 집적도가 더 높음.

#### 그런데 제일 중요한 것은, 양산 제품으로 비교하기
삼성 양산 : 2014년 5월 128Gb / 32 layer
인텔 양산 : 2015년  말  384Gb / 48 layer : 이 부품을 채용한 소비자용 SSD 제품은 2016년 초에 나옴.
(물론 10TB SSD는 빨라 봤자 몇년 후 이야기)

( 내가 봤을 땐, 삼성이 이미 예전부터 V-Nand 24-layer 제품을 양산했었는데
이 제품을 구한 인텔과 마이크론이, 
래이저 절단기와 첨단 전자 현미경을 동원해서 삼성 제품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삼성 제품을 일부분 모방해서 이번에 시제품 제작에 성공했을 가능성도 있음 )

올해 말 즈음에, 인텔이 384Gb 48-layer 3D V-Nand 제품을 양산할 즈음에
삼성도 비슷하거나 더 뛰어난 제품을 양산할 듯.
코카폴라 15-03-29 11:33
   
인텔이 반도체 1위지 않나 ㅎ 늘 삼성이랑 인텔이 1위 다툼 하던데 .. 어떨땐 삼성이 1위할때더 잇고 몇번이나 1위자리 바낀듯 저둘만 싸워서
로마전쟁 15-03-29 11:47
   
일단 양산해라 삼성하고의 경쟁이고 뭐고 우린 소비자 입장에서 그 전쟁에서의 결과물을 즐기면 됌
griaso 15-03-29 12:59
   
반도체 기술력 랭킹으로 보면

인텔(신급)>>>>>>>>>삼성(사기캐릭터)>>>>>>>>>3.4.5위 기타등등

아닌가요?

원래 인텔 SSD가 성능과 무관하게 안정성면에있어서 최고였죠. 다들 알다시피 샌드포스 콘트롤러 파동으로 SSD산업 전체의 기술력 전반에대한 의구심이 있었을때도 혼자 잘나갔었죠.

삼성SSD의 장점 몇가지중에 하나가 자기가 직접 제조하는거죠.

나머지 커세어니 뭐니 중국 대만계열 메이커들이 메모리 삼성이나 하이닉스 도시바에서 떠다가 판에 밖고 샌드포스 콘트롤러 달고 자기 브랜드 마크 찍어서 파는거죠.  마치 컴퓨터 램 파는것처럼요.

몇년전까지만 해도 인텔 (독보적) + 나머지 메모리 업체에서 메모리 받아서 재조립해서 파는 샌드포스 계열 쩌리들의 시장이었고 삼성은 메모리산업처럼 대만애들한테 팔고 기업용만 신경쓰던 중이었는데.

샌드포스 메모리 콘트롤러 파동으로 샌드포스 콘트롤러 달린 엄청난 수의 SSD들이 맛탱이가 가면서 삼성이 튀어나왔죠. 왜냐 혼자만 자체 생산 콘트롤러 썼거든요. ARM계열 CPU도 제조할수 있던 사업부의 도움으로 콘트롤러 칩셋ARM CORTAX 계열 도 자기가 생산. 거기에 또 SSD에 들어가는 RAM도 삼성 자체 생산. 사실상 SSD는 작은 컴퓨터 입니다. CPU+RAM+ROM 근데 거기에 들어가는 삼박자가 다 삼성에서 자체 생산 가능이니 채산성으로 보나 부품  조달성. 최신 공정 기술 콘트롤까지 삼성이 맘만 먹으면 주도할수있는 시장이지요.

그동안 가격때문에 기다리다가 시게이트에 하드사업부 팔면서 삼성 특기인 간보다가 됐다싶으면 자본 인력 때려넣기 신공으로 지금 된거죠. 물론 그때까지 기술력 쌓고 기다린것도 칭찬해줘야하지만요.

게다가 인텔이 갑자기 미친짓을 하면서 콘트롤러도 샌드포스로 가면서 자기자신의 가장큰 장점을 버리는 듯한 의중을 모를 짓을하는데.... 요새는 삼성도 돈 맛을 보고서 욕심을 부리면서 갑자기 MLC에서 TLC로 가면서 문제점이 생기는...
griaso 15-03-29 13:01
   
SSD는 콘트롤러 성능이 중요한지라... 두고봐야죠. 전송 속도는 이제 의미가 없죠. SATA 최대 대역폭 속도보다 SSD 속도가 더 빨라서 안정성이 더 중요해졌죠. 콘트롤러가 구리면 언제 맛이 갈지 모르는데 비싸고 안정성 높은거 쓰는게 더 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