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8-19 18:20
고대 유럽에서 봤던 고(구)려인(코리언)
 글쓴이 : 굿잡스
조회 : 5,976  

 
gmmusa.jpg

 
%C5뱸_~2.JPG
 
%B0%ED%B1%B8%B7%C12.jpg


%C0%FD~2.JPG

 
"고구려와 백제는 전성시에 강병이 100만이고 남으로는 오(吳), 월
 
(越)의 나라를 침입하였고, 북으로는 유주,연,제,노나라를 휘어잡아
 
중국의 커다란 위협이 되었다.

수(隨) 왕조의 멸망도 요동 정벌에 의한 것입니다."


高麗百濟 全盛之時 强兵百萬 南侵吳越 北撓幽燕齊魯 爲中國巨 隋皇失馭 由於征遼

-삼국사기 <최치원전>
 
 
613년, 비잔틴 제국의 역사가 테오필락트 시모카타(Theophylactus Simocatta)가 저술한
<Historiam> P.188~190
 
원문 - bonn. < Corpus orum Historiae Byzantinae > - 현재 영국 옥스퍼드대학 소장 中
 
 
━━━━━━━━━━━━━━━━━━━━━━━━━━━━━━━━━━━━━━━━━

대륙의 북부 전체를 지배했던 강력한 유목민족인 Avars(유연)는
그들의 서쪽 관할구에서 한 신흥민족 Turks(돌궐, 투르크)에게 멸망당했다.
그리고 그 잔당들은 Turks(돌궐, 투르크)로부터 동남쪽으로 1500마일(2400Km) 떨어진 Taugast(중국 북제)로 달아났다.
Taugast(중국 북제)는 India(인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주요국가인데 그곳에서 거주하고 있는 barbarian들은
 매우 용감하고 그 수가 많아 세상에 대적할 나라가 없었다.
 
그곳에서 Avars(유연)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Taugast(북제)의 공격을 받고 다시 한번 비참하게 몰락하여
 
Taugast(북제)와 동쪽으로 이웃해있는 Mouxri(고구려)로 가 도움을 요청했다.
 
이 Mouxri(고구려)라 불리는 나라의 국민들은, 비록 Taugast(북제)에 비해 소수였으나 체
 
격이 크고 건강했으며 위험에 대처하는 강인한 정신력과 일상처럼 행해지는 혹독한 군사
 
훈련으로 그 투지가 매우 높았다.

Avars - 유연, 4~5세기 시베리아에서 맹위를 떨친 강력한 유목제국
Turks - 돌궐, 6세기에 유연을 몰아내고 시베리아를 지배한 현재 터키의 조상국
Taugast barbarians -  북제
India - 인도
Mouxri(Moukli, Mucri) - 고구려
 아프로시압 서벽 오른쪽에 조우관을 쓰고 환두대도를 찬 두 명의 사신이 고구려인일 것이란 추측이 역사 학자들 사이에서 제기됐다. 복원된 벽화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아프로시압 서벽 오른쪽에 조우관을 쓰고 환두대도를 찬 두 명의 사신이 고구려인일 것이란 추측이 역사 학자들 사이에서 제기됐다. 복원된 벽화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의 아프로시압 서벽 오른쪽에 조우관을 쓰고 환두대도를 찬 두 명의 사신이 고구려인일 것이란 추측이 역사 학자들 사이에서 제기됐다. 복원된 벽화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옛날부터 기골이 크고 용맹했던 걸로 기록.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한남동태희 15-08-19 18:31
   
그림으로 봤을 때 고구려인의 키가 가장 작습니다. 그리고 사진속의 고구려 영토가 제가 학교에서 배운 영토의 크기와 다릅니다. 사진 속 제일 작은 영토가 장수왕 때 고구려 최대 영토잖아요
     
굿잡스 15-08-19 18:40
   
?? ㅋㅋ

한남>

벽화야 원근감이 없는 부분으로 그리는 거고 ㅋ 그걸 보고 키가 작니 어쩌고 합니까?

그냥 고구려가 저기 중앙아시아까지 교류하고 있었고 그러다 보니 비잔틴 제국의

유럽까지 기록이 남아 있다는 흐름의 역사를 이해하라는 거지. 참 말하는게 왜

이리 한심한지. 쯧. 그리고 뭔 광개토태왕때 고구려가 최대 영토임??

광개토태왕의 아들 장수태왕때 유연과 내몽골 지두우 분할등 더 팽창했구만.

그리고 7세기 영양태왕시절로 갈수록 고구려는 더 막강한 국력을 과시했고.
          
우승 15-08-19 18:45
   
관심주면 재미있어서 합니다 ... 무시하세요..
     
굿잡스 15-08-19 19:26
   
참고로 고구려 이후 남북국시대 후신 해동성국 대발해는 무왕 시기에

당나라의 산둥 등주의 해군시설을 박살내고 요서 산해관 일대 마도산에서 당나라를 분쇄,

산해관 이서로 밀어버리면서 서로는 요서 일대부터 동으로는 연해주 북으로 현재 한러 고고학 탐사로

남시베리아 일대와 근접한 아무르 일대까지 트로이츠코예 발해 유적이 발견되는

상황임(이는 고구려 말기 기온이 상승하면서 발해시대에 북방쪽으로 더욱 넓게

확장되면서 개척.)

그리고 이후 후발해 시기에 신라계황제와 반요사상의 (후)발해민 연합의 금나라는

요나라를 멸망시키고 압박해오던 북송까지 멸망시켜 금나라 국무총리격인

고(구)려계 장호가 서토를 적극적으로 지배 남송 공략을 위해 북경에 중도라는

도시를 건설하고 100여년간 동북아의 패자로 군림.


삼국시대 앞선 고조선 시대 출토 유물로 본 영역

http://blog.daum.net/joo119114/1550

 
東海之內 北海之偶 有國名曰 朝鮮

동해지내 북해지우 유국명왈 조선

"동해(서토 동해안) 안쪽, 북해(발해) 모퉁이에 조선이란 나라가 있었다”

-산해경(춘추전국시절 편찬된 지리서)


요서에서 발견된 두로영은(豆盧永恩)의 비문에

조선건국 고죽위군朝鮮建國 孤竹爲君’(조선이 건국을 하고 고죽이 임금이 되었다)


그리고 저 지도에서 옅은 색은 고구려의 간접 지배지역으로 보면 이해하기

편할(고구려는 주변의 요서 거란부터 실위(후대 몽골), 일부 선비, 동북방의

흑수말갈등을 복속시켜 부용세력으로 평시에 식량등 지원과 보호를

전시에 휘하 군사력으로 동원)
     
끄으랏차 15-08-20 22:30
   
영토크기는  애초에 지금 저 지도에 여러가지 어느 것도 사실 맞는게 아닙니다.
지금의 국경선처럼 명확하게 정해진게 아니고
특히나 확장되어 표시된 지역은 말갈을 비롯한 유목민족이 다수이던 지역인데
당시의 유목민족은 영토개념이 사실상 없어요.
목축을 위해서 시베리아 전역을 누비던 부족도 있는데 이 부족을 복속시켰으면
영토선을 그럼 어디로 그려야되는데요?
그 부족이 전투에서 패배할 당시에 고작 몇달 머물었던 그 지역 근처를 영역을 표시해야합니까?
그 부족이 돌아다니고 영향력을 행사한걸로 추정되는 지역 전체를 표시해야합니까?
어느 쪽이 정확한겁니까?

전자로 표기하면 몽골제국조차도 전체 영토의 80% 이상을 줄여서 표기해야하고
후자로 표기해야 우리가 역사서에 배우는 영토가 나와요.

농경민족과 유목민족은 다릅니다. 유목민족은 농경민족의 기준으로 표기하면 오히려 그게 오류예요.
썩소 15-08-19 18:31
   
투르크에게 밀려 동남쪽으로 갔는데 그곳에 북제 ?
북제는 인도와 국경을 접했고 ?
북제옆에 고구려 ?

난 이해가 안가죠 ?
     
한남동태희 15-08-19 18:34
   
혹시 썩소필 아세요?
          
썩소 15-08-19 18:35
   
닉인가요  ? 잘 몰라요 .
               
한남동태희 15-08-19 18:36
   
쏘리~
                    
썩소 15-08-19 18:38
   
전 옆동네 출신입니다 .
썩소 15-08-19 18:34
   
북제가 북위였군 ㅋㅋㅋ
     
굿잡스 15-08-19 19:12
   
북제 자체가 위치상으로 북주의 동쪽으로 그런 북제 동북방의 고구려와 맞물려 있어

인도와 붙어 있었다는 건 정확하지 않지만 북제를 서토(중국)으로 인식하고 넓게 보면

딱히 틀린 표현은 아닌 것으로. 그보다 우리쪽에선 고구려 관련 기록을 주목해서 볼 필요가 있겠죠.
외계생명체 15-08-19 18:42
   
맨 위 그림은 딱 봐도 김범스타일
옥철아줌마 15-08-19 20:36
   
좋은정보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