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4-11-24 21:38
미국,유럽,호주 vs 한국,쪽바리국 등 아시아에서 쫌 사는 국가들
 글쓴이 : 노홍철2
조회 : 1,486  

미국,유럽,호주 등등 서양국가들 = 지하자원,관광자원 넘침,교육열이 동양국가들처럼 쎄지 않음,노동시간이 높지 않음,복지가 동양국가들보단 훨씬 잘되어있음...

쫌 사는 동양국가들 = 지하자원,관광자원 빈약함,교육열 지나침=사교육비 많이 나감,노동시간 지나치게 높음,복지도 미국,유럽,호주에 비해 현저히 떨어짐



이게 쫌 사는 아시아 국가들이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으로 낮은 이유 아닐까요??

비슷한 소득이더라도 효율이 너무 떨어지죠....일단 노동시간이 서양에 비해 너무 기니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ㅁㄴㄴㅁㄴ 14-11-24 21:43
   
일본봐도 우리보단 낮지만 oecd 평균이상이죠.근무 시간이.
네덜란드,노르웨이가 부럽네요.아시아는 아무래도 안됨.
들풀 14-11-24 21:44
   
서구의 산업화 프레임을 가져다 쓴지 100년도 넘질 못했어요
공장이나 가져다 쓸줄 알았지 사회정책면에서는 아직 걸음마 수준입니다.
애초에 비교자체가 무의미
     
Irene 14-11-24 22:02
   
산업 혁명이 18세기라고 하지만 실제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준건 1850년대 이후고, 유럽 대륙이 본격적으로 산업화 경쟁이 시작된 건 1870년대 부터입니다.
일본이 영국, 프랑스, 미국등 선발 산업국보다 수십년 정도 후발 산업국이었지만 그외 유럽 국가와 산업화 시기가 거의 차이가 안나죠.
          
코호몰로지 14-11-24 22:19
   
산업혁명이라고 정의하고 기간을 정해놓은 토인비의 말대로 산업혁명은 1760년~1820년정도로 봄. 산업혁명의 실질성격을 놓고 홉스봄이 사람들이 착각하는 기술의 승리가 아니라 경영의 승리로 봤을 만큼 산업혁명의 기술적조건보다 제도적 성격에 많이 치중하는 편입니다. 1850년대라고 해봐야 철도투자가 막 일어날려고 했을 때이니 '영향을 주었다'라는 말도 어딘가 틀린 말.

그리고 1870년대가 되면 산업화라고 말할 시기인건 맞지만 '본격'이라고 하기에도 어려워요.
     
코호몰로지 14-11-24 22:28
   
"공장이나 가져다 쓸줄 알았지 사회정책면에서는 아직 걸음마 수준입니다. "

구체적인 사례나 이론 좀 꺼냈으면 합니다만. 제눈에는 이게 성인인지 걸음마인지 도통 모르겠거든요. 모호한 개념을 쓰기보다 구체적인 지표로 깠으면 합니다.

그 사회정책 좋다고 하는 나라들, 북유럽에 집중되어 있지요. 그것도 북유럽유토피아판타지가 겹쳐서요. 그 나라의 조세제도는 좋다고 빨지만 그 전에 왜 그 나라가 소득세에 그렇게 과세하는가의 이유는 알고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자그네브 14-11-24 21:53
   
미국 캐나다 호주에서도 한국아이들은 과외받고 뤽베송의 영화보면 프랑스에서도 한국인 택시기사들은 차 한대를 2교대로 운전하는 모습 나오죠. 한명은 트렁크에서 자고 한명이 운전하고 교대하고....두명이 교대로 24시간 택시를 운행하는거죠.. 남들이 보기에 기괴하지만 아직 우리의 가치관이 그런거죠. 사교육도 노동시간도 어느나라에 가던지 한국인들은 똑같습니다. 그 나라에 맞춰서 여유로워지지 않아요. 악착같이 해야하죠. 아직은 우리 가치관이 그래요.
narang77ㅔ 14-11-24 21:55
   
수출 제조업으로 먹고 사는 나라와 금융,고급 이미지 등으로 먹고 사는 나라의 차이지요. 우리나라 제조업 영업이익률 평균이 4%정도 됩니다. 그것도 평균이 그렇다는 이야기고 적자내는 기업들도 수두룩하죠.

같은 제조업을 하더라도 프랑스 같은 나라들이 명품가방 하나 아시아에 팔아서 남겨먹는 이익보면 참 거시기하죠. 한국이나 일본 같은 아시아 제조업 국가들은 면상에 개기름 좔좔 흐를때까지 야근 특근 돌리는데 기축통화,준기축통화를 쥐고 흔드는 나라들은 넘쳐나는 돈 빌려주고 편하게 이자 받아먹거나 아니면 자기들이 틀어쥐고 있는 세계 메이져 언론 이용해서 범세계적으로 찌라시 날리고 신흥국 시장에서 작전으로 편하게 앉아서 돈 벌어먹고~~

사실 뭐 유럽처럼 고급 이미지도 아닌 그저 범용 상품을 만들어서 그걸 다시 금융,이미지로 먹고 사는 나라로 수출하는 구조로 밥 벌어먹고 사는 아시아 국가들은 근로시간을 낮추고 싶어도 낮출수가 없네요...
     
강허세 14-11-24 22:05
   
사실 프랑스 수출비중에서 명품은 아주 조금 차지합니다 , 대신 명품이 가져다주는 프랑스의 브랜드 파워가 나머지 산업에 버프(?)효과를 주는셈..
          
노홍철2 14-11-24 22:06
   
이탈리아도 명품으로 먹고사는 나라...
               
ㅁㄴㄴㅁㄴ 14-11-24 22:08
   
그리고 하나 관광도 꽤 있죠.
               
파스포트 14-11-24 22:19
   
독일도 명품,